* 르완다, 우간다, 콩고민주공화국, 탄자니아, 에티오피아
마버그열 의심환자 진료 중 주의사항 및 신고 안내
* 발생국가 르완다, 확산우려국가 콩고민주공화국, 탄자니아, 우간다, 직항편 운행국가 에티오피아
* 발생국가 르완다, 확산우려국가 콩고민주공화국, 탄자니아, 우간다, 직항편 운행국가 에티오피아
** ▶의료기관 방문 또는 장례식 참석, ▶마버그열 유행지역 야생동물(박쥐, 원숭이, 침팬지, 영양 등) 접촉 및 섭취, ▶유행지역 돼지 접촉 및 동굴 체험, ▶확진환자와 첫 증상일로부터 10주 이내에 성접촉, ▶마버그 바이러스 검체 실험⋅취급
마버그열 검역관리지역 방문자 감염 예방 수칙
마버그열 의심환자 진단검사
*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 RT-PCR)
마버그열 의심환자 진료 시 주의사항
* 소변, 침, 땀, 대변, 구토물, 모유, 뇌척수액, 정액 등
* 소독 관련 세부 내용은 의료기관 사용기구 및 물품 소독지침 및 의료관련감염 지침 참조
[참고 1] 마버그열 개요
[참고 2] 국외 마버그열 발생 동향
[참고 3] 마버그열 신고
* 웹신고가 불가능한 경우 팩스를 통한 신고 후 관할 보건소에 접수 여부 유선으로 확인
** 신고 후 신속한 초기대응을 위해 관할 보건소장에게 유선으로 고지하며, 질병관리청으로 신고하는 경우 종합상황실(043-719-7789, 7790) 이용
민간위원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엄중식,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 병원 감염내과, 염준섭, 을지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은병욱, 인천광역시 의료원 감염내과 김진용,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김민재, 방배지에프내과 이영목, 이양덕내과 이양덕, 아산진내과 정현연,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감염내과 오홍상, 가천대학교 길병원 예방의학교실 문종윤질병관리청
질병감시전략담당관본 내용은 질병관리청(kdca.go.kr )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