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2 Issue 3
[画像:해외 감염병]
[画像:국내 감염병]
[画像:클릭 핫 뉴스]
"감염병 발생 동향에 지속적인 관심 필요" 2016년 겨울 비교적 조기에 시작된 계절 인플루엔자의 유행이 감소 추세를 보이기 시작할 무렵 노로바이러스 감염 유행이 있었습니다. 동물감염병으로는 조류인플루엔자의 유행이 있었고 이 질병이 소강 상태에 들어간 지금 구제역의 유행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과거 감염병은 주로 날씨가 따뜻한 계절에 주로 발생하고 추운 겨울철에는 감기, 인플루엔자 정도만 생각하던 시절에 비하면 다양한 질병이 계절을 가리지 않고 발생하여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Osterholm 교수는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는 현재 "hyperinfectious disease world"에 살고 있다고 말하였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지난 60년간 신종감염병의 수는 4배 이상 증가하였고, 1980년 이후 매년 발생하는 감염병의 유행 건수는 3배가 증가하였습니다. 이처럼 우리는 현재 언제 어디서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할 지 모르며, 그 질병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작년 봄 지카바이러스 유행으로 문제가 되었던 브라질에서는 현재 황열병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황열병이 집중 발생하는 지역은 Minas Gerais로 우리 국민들이 많이 방문하는 리우데자네이로와 인접한 지역입니다. 또한 겨울철 방학 기간을 이용, 많은 분들이 찾는 볼리비아에서도 최근 황열병이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지속적으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메카에서도 환자가 발생하였습니다. 중국에서는 지속적으로 H7N9 조류인플루엔자의 인체 감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필리핀에서는 2015년, 2016년 2년 연속 뎅기열 환자가 연간 20만명 이상 발생하였고 필리핀을 방문한 우리 국민들 중에서 올해도 지속적으로 뎅기열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장 흔한 모기매개 감염병인 Ross river virus 감염병은 올해 1월 654명이 발생하여 큰 폭의 증가를 보였습니다. 이처럼 북반구-남반구, 선진국-저개발국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질병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보도되는 감염병 뉴스에 관심을 갖고 의심되는 환자를 발견할 경우 조기에 신고하고, 진단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의뢰되어 더 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항상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겠습니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감염내과 염준섭
질병리뷰, 구제역 (Foot and mouth disease) 충북보은에서 구제역이 계속 발생하고 있어 축산농가에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주로 가축류에 발생하는 질환이라 의사들이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은 질환이지만 국내에 계속 문제가 될 수 있는 감염병이어서 정리해 보고자 한다. 사람에서의 수족구병(Hand-foot-mouth disease)과 영문이 비슷하지만 바이러스 종류가 전혀 다르다..
본 메일은 발신 전용으로 회신이 불가능합니다.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질병관리본부: 043-719-7979 (의료인 핫라인), 대한의사협회: 02-6350-6538 (신종감염병TF)로 문의하십시오. 또한, 본 내용은 질병관리본부 (www.cdc.go.kr) 및 대한의사협회 (www.kma.org)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편집위원: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강북삼성병원 감염내과 염준섭, 서울삼성병원 감염내과 정두련, 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은병욱, 인천의료원 감염내과 김진용, 질병관리본부 위기대응총괄과 홍정익, 위기분석국제협력과 곽진, 감염병관리과 조은희, 감염병감시과 이동한, 예방접종관리과 공인식
질병관리본부로고본 내용은 질병관리청(kdca.go.kr )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본 내용은 질병관리청(kdca.go.kr )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로고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