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EWS LETTER 2024年10月18日
코로나19 백신
코로나19 백신은 바이러스 진화에 따라 백신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해마다 주로 유행하는 변이주를 반영하여 업데이트 되어왔다. 작년(2023-24절기) 동절기에는 XBB.1.5 단가백신 접종을 독려하였는데, 백신 접종자의 경우 미접종자 대비 입원 및 중증 예방효과가 70%이상 높게 관찰되었다(국내 6개 병원-기반 연구)[그림1-1]. 세계보건기구는 이번 절기(2024-25절기) JN.1 계열 백신 접종을 권고(2024年4月26日)하였으며, 이는 최근 국내에서 우세하게 관찰되는 JN.1의 하위변이(예, KP.2, KP.3)에도 충분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그림1-2].인플루엔자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 역시 매년 변화하는 바이러스를 반영하여 개량된다. 인플루엔자 감염의 고위험군은 코로나19와 유사한데, 고위험군 및 그들에게의 전파 가능성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예방접종을 권고한다 (▷만 50세 이상 성인,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 ▷임신부, ▷소아·청소년, ▷의료기관 종사자 및 고위험군을 대하는 직종, ▷사스·조류인플루엔자 대응기관 종사자, ▷닭·오리·돼지농장 및 관련업계 종사자). 현재 국가에서는 65세 이상 고령자, 생후 6개월-13세 어린이, 임신부를 대상으로 무료 접종을 지원하고 있다.노인층의 인플루엔자 질병 부담과 고면역원성 백신의 필요성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김수영
백신 접종을 위하여 내원하였다. 최근 20개월 손자를 돌보는 중으로 확인이 되었다.
올해 본격적인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하면서
내원한 환자에게 드리는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십시오.
01 인플루엔자는 코로나19와 달리 60개월 미만 특히 24개월 미만의 어린이가 고위험군에 해당하여 적극적인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권고할 필요가 있다.
02 65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기존 인플루엔자 백신의 효과가 낮은 경향을 보여 고면역원성 백신의 활용이 고려되어야 한다.
03 인플루엔자 백신과 코로나19 백신의 이상 반응을 고려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접종할 것을 권고한다.
04 올해 코로나19 백신은 JN.1 변이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만들어졌다.
05 JN.1 변이 바이러스로 제작된 올해 코로나19 백신은 최근 유행 중인 하위변이(KP2, KP3)에 충분한 중증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민간위원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엄중식,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 병원 감염내과, 염준섭, 을지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은병욱, 인천광역시 의료원 감염내과 김진용,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김민재, 방배지에프내과 이영목, 이양덕내과 이양덕, 아산진내과 정현연,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감염내과 오홍상, 가천대학교 길병원 예방의학교실 문종윤질병관리청
질병감시전략담당관본 내용은 질병관리청(kdca.go.kr )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