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대비훈련
어린이 재난안전훈련
추진 배경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약 2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초·중등학생 3천명 모두가 생존한
"가마이시 시의 기적"은 우연히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평상시 재난에 대한 경각심에 기반을 둔 학교의 착실한 훈련과 반복된 연습의 결과입니다.
반면, 우리의 아이들은 교사중심의 주입식 재난교육이라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어 아이들이 흥미를 가지고 안전지식을 생활화·습관화할 수 있는 재난교육을 만들고자
"어린이가 기획하고 실행하는 어린이 재난안전훈련"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추진 경과
2016년 수원 정자초등학교와 평택 청옥초등학교를 시범학교로 지정하여 아이들이 직접 훈련을 기획하고 역할을 부여하여 훈련을 진행한 결과 재난유형 및 대피방법에 대한 인지도가 현격히 상승하는 효과를 얻었습니다. 이에 전국 시·도 대상 사전공모와 심사를 거쳐 2017년은 17개 학교, 2018년은 34개 학교로 확대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2018년은 특수학교(세종누리학교)를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2021년에는 197개 학교(특수학교 포함)로 확대하고 2022년에는 특수학교수를 14개교에서 21개교로 확대하였고, 2024년은 참여학교를 대폭 확대하여 총 513개교 재난취약계층에 대한 훈련을 중점 추진하였습니다.
훈련 계획
「어린이 재난안전훈련」은 총 4주차 훈련으로 구성되며, 1주차에는 재난 개념 이해(UNDRR 프로그램), 재난 유형 선정으로 2주차에는 안전커뮤니티맵핑으로 위험요소 조사 및 대피지도 제작으로
3주차에는 훈련 시나리오 작성, 역할체험 모둠, 유관기관 방문(필요시)으로 4주차에는 모의·현장훈련 실시, 결과 보고, 의견 나눔, 설문조사 등으로 진행됩니다.
1주차(우리 주변에서 발생하는 재난의 이해)
주변안전위험요소 학습
Risk Land 보드게임
주변안전위험요소 학습
Risk Land 보드게임
2주차(학교 위험요소 조사 및 대피경로 작성)
학교 소화전 위치 파악
안전지도 그리기
재난대응요령 작성
학교 소화전 위치 파악
안전지도 그리기
재난대응요령 작성
3주차(역할 체험 및 유관기관 방문)
역할체험
역할체험
안전체험관 방문
역할체험
역할체험
안전체험관 방문
4주차(모의·현장 훈련)
불시 대피훈련
모의 훈련
현장 훈련
불시 대피훈련
모의 훈련
현장 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