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결
FaceDown break.png 漢字의 使用例 |
---|
漢字文化圈 公式言語 |
中國語 |
英語 |
倭語 |
朝鮮語 |
韓國語 |
越南語 |
漢字의 使用 및 變形 |
草書 |
日本式 漢字 |
平仮名 |
片仮名 |
朝鮮/韓國式 漢字 |
口訣 |
吏讀 |
越南式 漢字 |
字喃 |
漢文 한문 漢字 한자 |
漢字의 弊害 |
漢字 依存症 |
漢文 (敎科) |
漢字 4888字 |
口訣隱 漢文衣 單語乃 韓國語衣 助詞乙 表現爲乙時 使用大方七加阝 文字夕. 原來隱 입겿伊彌 한글伊 無存在因爲 口訣是 表記爲七夕.
吏讀臥隱 奄然 異文字/異表記法伊彌 少 複雜爲. 全部衣 動詞/名辭 等乙 漢字以 變更伊 必要 爲稱 複雜爲阝 助詞隱 漢文乙 使用爲阝夕.
助詞表記法[편집 ]
은,는 - 隱
와,과 - 臥
이,가 - 伊
을,를 - 乙 / 받침ᄅ도 乙이기 때문에 주의한다.
의 - 衣 / 으로,로 - 以
~하다 - ~爲(할 위) / ~할 - ~爲乙(하ᄅ) / ~했다 - ~爲七夕(하ᄉ다)
~하며 - ~爲稱 / ~한 - 爲阝 / ~이다,~다 - 夕
~했기 때문에 - ~因為(원인,하다)
~때에 - 時
吏讀臥衣 差異点[편집 ]
↑ 본 문서는 이두를 욕하는 것이 아닙니다. 단지 차이점을 나열한 문서입니다. 양해부탁 바랍니다.本 文書隱 吏讀乙 不汚辱爲. 不外 差異点乙 羅列爲阝 文書夕. 諒解付託!?
例[편집 ]
한글 | 離枓 | 口訣 |
---|---|---|
안녕하다 | 安寧河多 | 安寧夕 |
사랑한다 | 舍廊韓多 | 愛爲阝夕 |
너 잘났다 | 累漁 自累羅多 | 汝 好生夕 |
必是再見 [편집 ]
한국어 | |
---|---|
방언 | 가어 · 거시기어 · 고양이어 · 군바리어 · 법률어 · 서울 사투리 · 제주어 · 충청도 방언 · 표준어 |
유사 방언 | 콩글리시 · 영어 번역어 · 왜말번역어 · 이모티콘 · 개파르타어 · 근성체 · 내 입 안에 밥 있어 ·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 · 늙어 · 뒤집어 · 드셨어 · 러어 · ᄆ니다체 · 말많어 · 몰라어 · 불확실어 · 비명어 · 싫어 · ᄋ · 오타어 · 형님어 · 앙드뤠 킴 한국어 · 김덕배어 · 노홍철어 · 남고생어 · 여고생어 · 득셈프흐드즈어 · 랄까어 · 러시아식 안드로어 · 만하다어 · 메메아아리리어어 · 뒤에 남어남어남어 · 구개음화어 · 無구개음화어 · 바르머 · 바르미어브는어 · 벙어 · 비어 · 야민정음 · 엔하어 · 오덕어 · 왈도어 · 우르두어 번역어 · 자리바꾸어 · 점프어 · 조선어 · 존나어 · 헤이리어 · X어 · 3어 · 화교체 · 이랬어 · 오징오징어 · 재수없어 · 허구연어 · 헐어 · 꺽기도어 · 약어 · 멈뭄미어 · 으리어 · 韓1漁 · 웃민정음 · 박근혜 화법 · 농닭체 · 백괴사전어 · 휴먼급식어 |
표기법 | 구결 · 고양체 · 이두 · 푸ᄅ어쓰기 · 漢文 · 로마자 표기 · 종성 내려 쓰기 · 촛엉 올려 쓱이 · 글자 ᅓힵᆸ 쓰기 · 國漢文混用體 · 읍니다체 · 존댓말 · 반말 · 75%말 · 하오체 · 두두개개체체 · 씨쁘뜨쳬 · 느ᄅ여쓰기 · 로꾸거어 · 음슴체 · gksrmfdl djscuwudydj · 종성 아으롶 다경 쓰기 · ᄅ어 · AAAAAAAAA! · ?어 · 잘어 · 순우리말 |
활용법 | 이명박 · 반어법 · 역설법 · 부정의문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