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

수산자원

생명자원

양식연구

식품위생

병리연구

연구사업

바로가기 메뉴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해양환경

해양환경

갯벌어장소개

갯벌어장이란?

경기도 갯벌, 충청남도 갯벌, 전라북도 갯벌, 전라남도 갯벌, 경상남도 갯벌, 제주도 갯벌 위치 안내 지도
  • 생물 다양성의 보고(수산생물의 산란장, 성육장 역할)
  • 미생물, 수산생물 등에 의한 오염물질의 정화기능
  • 홍수, 태풍, 해일 등 기상 재해의 완충지 및 인접 육지 기상조절 기능
  •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이 가능한 천연자원의 보고
  • 문화적 심미적 기능(해수욕장, 자연경관 등)
  • 현재 서·남해안 갯벌은 극히 일부만 양식장으로 활용되고 있어, 수산업적 활용과 생태관광 등 무한한 개발 잠재력 보유
    갯벌 양식 면허는 5,101건 1,131.2km2로 갯벌 전체 면적의 45.6% 활용(2019년 어업면허 기준)
  • 지구 온난화 가속화 등 식량 생산 여건의 악화로 저탄소·친환경형 생산에 전지구적인 관심 증가
    무급이·무항생제 친환경성과 저비용·고수익 창출을 동시에 만족시켜 줄 수 있음
  • 무분별한 갯벌의 매립·간척과 갯벌훼손으로 현재 남아있는 갯벌의 수산업적, 문화적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
    갯벌·산림 등 청정 환경에 대한 체험 욕구, 웰빙 및 유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욕구 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보유

우리나라 갯벌 현황

경기도 갯벌
경기도 갯벌
충청남도 갯벌
충청남도 갯벌
전라북도 갯벌
전라북도 갯벌
전라남도 갯벌
전라남도 갯벌
경상남도 갯벌
경상남도 갯벌
구분, 면적(km2), 비율(%), 비고로 구성된 표
구분 면적(km2) 비율(%) 비고
계(2023 기준) 2,443.3 100.0 서해
1,936.1km2

남해
507.1km2

동해
0.1km2
인천, 경기 836.1 34.2
충남 335.7 13.7
전북 108.4 4.4
전남 1,070.8 43.8
경남, 제주 73.2 3.0
부산, 울산 19.1 0.8
경북, 강원 0.04 0.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해양환경연구과
  • 연락처051-720-2533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