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me > 소통/민원 > 자주 묻는 질문 > 전체
본문 시작지점

콘텐츠 영역

전체 106건

질문
답변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설치 위치는 다음과 같이 설치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1. 감지기(차동식분포형의 것을 제외한다)는 실내로의 공기유입구로부터 1.5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2. 감지기는 천장 또는 반자의 옥내에 면하는 부분에 설치할 것



3.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 또는 좁은 실내에 있어서는 출입구의 가까운 부분에 설치할 것



4. 천장 또는 반자부근에 배기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설치할 것



5. 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0.6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질문
답변
소방서에 별도의 신고 없이 구매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질문
답변
인터넷, 대형마트, 인근 소방기구 판매점 등에서 구입 할 수 있습니다.


* 지역별 자세한 사항은 주택용 소방시설 구매/설치 원스톱 지원센터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 원스톱 지원센터 안내게시판 참
질문
답변

정책정보 >> 법령정보 >> 훈령, 예규, 고시 검색창에 찾고자하는 시설명 등을 입력하시면 검색됩니다.




질문
답변

민방위 훈련은 민방위 기본법 제25조(민방위훈련)에 의거하여 매월 15일을 민방위의 날로 정하여 실시 할수 있으며, 국민안전처장관은 필요하다고 인정할때 훈련일정과 실시여부를 조정하거나 추가 할 수 있습니다.


(注記) 자세한 훈련일정은 세부일정을 참고 하세요

질문
답변

전국훈련인 경우 중앙민방위경보센터에서 14시를 기하여 사이렌을 울립니다. 사이렌은 공습경보와 경계경보로 나누어 지며, 훈련공습경보는 약3분간(14:00~14:03), 훈련경계경보는 약1분간(14:15~14:16)간 울립니다.

질문
답변

민방위훈련시 사이렌이 울리면 하던일을 잠시 멈추고 가까운 지하대피소나


건물지하로 대피하시고, 이동중인 차량은 도로 우측에 정차후 훈련실황 라디오 방송을 청취 합니다.(단, 전시에는 실제 대피하여야함)


(注記) 내 주변 대피소 찾기 안내


しろまる 국가재난정보센터(www.safekorea.go.kr) 또는 안전디딤돌 앱 활용

질문
답변

민방위기본법 제25조 규정에 의거 민방위사태에 대한 대처능력을 습득하기


위해 민방공대비훈련과 재난대비훈련을 전국적으로 실시합니다.

질문
답변

민방위훈련은 민방공 대피훈련과 재난대비훈련으로 나누어 집니다.


しろまる 민방공 대피훈련 : 실제 주민대피 훈련, 도심권역 긴급차량 확보훈련,


내 주면 대피소 찾기, 건물단위 화재대피 및 긴급탈출훈련


しろまる 재난대비훈련 : 재난 유형별 발생빈도와 취약여건을 고려하여 지역 직작별 발생 가능성 높은 재난에 대비한 훈련을 실시

질문
답변

국민 스스로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안전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안전교육 콘텐츠 확충, 안전교육 강사 육성, 안전교육 통합관리 DB 구축, 재난안전 체험시설 구축을 확대해 나갈 계획임


-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지도’를 활용, 연령별·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안전교육 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개발


- 대국민 안전교육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안전교육 강사’ 육성


* 교육 일정, 과목, 운영방식 등 세부계획을 수립하여 양성교육 시범운영


- 안전교육 콘텐츠, 강사, 체험관 등 정보를 망라하는 ‘안전교육 통합관리 DB’ 구축을 통해 안전관련 정보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며


- 체험기회 확대를 통한 효과적 안전교육 실시를 위해 ‘안전체험관 건립 표준모델’ 마련 및 ‘찾아가는 어린이 안전체험교실’ 확대실시하겠음

질문
답변

しろまる국민안전처는 과학기술에 기반한 재난안전관리를 위해 사회재난, 자연재난 관련 R&D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재난현장 대응 강화, 자연재해 예측·예방 기술, 재난복구 기술개발 등을 비롯하여,


- 화재 예방 및 경계 기술, 화재 및 특수재난 진압·대응기술, 인명구조·구급기술, 소방대원 안전확보 기술, 해양안전 기술, 해양오염 대응 기술 등 다양한 R&D 사업을 추진중입니다.

질문
답변

しろまる안전 및 재난관리와 관련된 제품, 서비스 등을 생산, 공급하는 산업이며, 주요 안전산업으로는 방재(자연재난)산업, 소방산업, 시설물 유지·관리업, 안전교육, 컨설팅, 보안산업 등이 있습니다.

질문
답변

しろまる2016년 정부의 재난안전 R&D는 전년대비 12.7%증가한 7,182억이 투입될 예정이며, 이 중 국민안전처에서 수행하는 R&D 사업은 663억원입니다.

질문
답변

しろまる국내 안전관련 기술수준은 세계 중위권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12년 KISTEP 평가)


- 재난구조 로봇기술 : 미국(최고수준)의 71.6% 수준(기술격차 5.5년)


- 재난정보통신체계기술 : 미국(최고수준)의 77.3% 수준(기술격차 4.2년)


- 사회복합재난 예측, 대응기술 : 미국(최고수준)의 66.7%수준(기술격차 5.5년)


- 기반기설 기능유지 및 복구, 복원기술 : 미국(최고수준)의 70.8%(기술격차 7.9년)


- 재난현장 소방, 구조장비 개발기술 : 미국(최고수준)의 68.9%(기술격차 6.4년)


- 범죄 및 테러 대응시스템 기술 : 미국(최고수준)의 73.1%(기술격차 7.0년)

질문
답변

しろまる아직까지 안전산업에 대한 독자적인 분류체계가 제정되어 있지 않아 중복산정의 가능성이 있으나, 소방, 방재, 시설물 유지·관리 등 안전산업 주요 분야 시장 규모를 합산하면 연간 3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しろまる정확한 안전산업 시장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16년부터 '재난안전산업 특수분류'(`15.12월 제정)에 따라 실태조사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 콘텐츠 담당부서
    혁신행정법무담당관
  • 전화
    044-205-7248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가 통계보기
  • 평가 의견

    ( 현재 페이지에 대한 평가 의견을 올려주세요.
    의견에 대한 답변은 올리지 않으며, 질의 등은 국민신문고로 등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