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백괴사전, 너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거짓말에는 세 종류가 있다. 낚이는 거짓말, 낚이지 않는 거짓말, 그리고 통계다."

벤저민 디즈레일리, 그 후 이루어진 연구에 의하면 통계는 낚이는 거짓말이라고 한다

통계는 사람들을 낚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그럴 듯한 거짓말을 하여 사람들을 선동하기 위한 존재다. 다른 거짓말쟁이로는 확률이 있는데, 그나마 확률이 정확한 곳은 로또 당첨 확률같은 곳뿐이고, 나머지는 죄다 쓸모가 없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과 친하다고 한다.

방법[편집 ]

모집단을 조작하여 '대부분의 사람'이라는 그럴 듯한 뻥을 친다. 모집단은 특정한 상태에 놓여 있으며, 그래서 일정한 패턴의 결과를 보일 수밖에 없게 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모집단을 바꾸고 바꾼다. 여기서 모집단은 적을 수록 좋다. 정 모집하기 힘들면 구글링이나 나베르 검색으로 대충 뜨는 매우 부정확한 출처 중 마음에 드는 자료 몇몇을 집어, 통계랍시고 낸다. 그리고 그것을 매우 일반화시킨다. 그래서 같은 주제여도 결과가 제멋대로일 수 있다.

그리고 평균이란 말로도 거짓말을 친다. 평균에도 산술장기하평균이나 조화 평균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각 값을 계산하여 낚시질하기에 가장 가까운 값을 구한다. 특히 청화면마냥 파란 마음인 세상에서 가장 잘 치는 뻥이 이것인데, 평균 소득이 높다고 해 놓고 상위 1% 소득이 모든 부를 차지해서 평균을 잔뜩 올려놓는 식이다. 이를 근거로 꼰대는 노오오오력을 하라는 말을 하게 된다. 이 양상은 한국쌀국 등에서 잘 나타난다. 누군가 평균이 다 해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값과 극도로 크거나 작은 값이 있음을 알려주는 표준편차를 만들었지만, 모두 쓰기 어렵고 귀찮다는 이유로 사람들은 너프를 쏴 대고 있다. 그리고 쓸 수 있어도 사기를 치려면 제대로 쓸 리가 없다. 이렇게 통계가 신뢰를 잃자, 한 통계학자는 신뢰도라는 것을 따로 만들었으나, 웬만하면 90%가 무조건 넘도록 설계되어서 오히려 더 낚는 용도로 쓰이고 있다.

그 외에도 숫자를 이용한 장난을 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작년엔 1명이었는데 올해엔 2명이면, 통계상 2배나 늘었다고 어마어마하게 부풀려 말하는 식이다. 그리고 소숫점을 붙이면 더욱 그럴듯한 숫자가 완성된다. 정 뻥을 못 치겠다면, 심지어 그래프로도 뻥을 칠 수 있다 카더라.

용도[편집 ]

통계 결과를 보이며 '다들 이런데 는 왜 아니냐'같은 소리를 하여 안 그래도 충분히 루저인 너를 더 루저로 만든다. 이 짓은 꼰대들이 특히 잘한다. 그리고 귀납을 핑계로 간단하게 Q.E.D.를 외치고 증명하던 펜을 던져버릴 수 있다.

낚이지 않는 방법[편집 ]

아무리 낚이지 않으려고 해도 결국 인간인 이상 어느 시점에서는 반드시 낚일 수밖에 없다. 그러니 답은 직접 조사하는 것밖에는 없다. 그러나 위에 나온 것처럼 발표하는 순간 는 거짓말쟁이가 된다. 그러니까 데이터 저장용으로만 쓴다. 단, GDPR은 지킬 것. 안 지켜도 된다고? 알 게 뭐람.

도보시오[편집 ]

 빌어먹을 수학
· · ·
수학 관련 문헌수학의 정석》 · 《개념원리》 · 《디엠》 · 《쎈 수학》 · 《코끼리를 냉장고에 집어넣는 법》 · 《미분 귀신 이야기》 · 《공대 개그
계산 도구 주판 · 계산자 · 계산기 · 마소 계산기
수학 관련 토론 가장 큰 수 · 가장 작은 수
수학의 하위 분야들
신비한 수식 1+1=3 · 1+1=田 · 1+1=2 · 1+1=1 · 1=−1 · 1=0 · 1=2 · 0=2 · 1*10=1 · 7*13=28 · 1+1=4
수학과 비슷한 것들
과학 자연 과학 (이 분야에 수학도 들어간다.) · 응용 과학
원본 주소 "https://uncyclopedia.kr/index.php?title=통계&oldid=479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