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날씨

40

미세먼지 보통

내일의 천안 맑음 2°C
information-정보참고사항

현지 사정이나 수신 상태에 의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공(환경부/한국환경공단)

천안시

  • 통합검색
2025-2026 천안방문의해 tour 천안

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 제도

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 제도

정보통신설비의 고장 및 훼손 방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관리주체가 건축물 등에 설치된 정보통신설비를 유지보수‧관리하고 설비 운용에 필요한 성능을 점검하는 제도
관련근거
  • 정보통신공사업법 제37조의2~4, 같은 법 시행령 제37조의2~3
  •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규칙 제8조~제11조
  • 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관리기준 고시
유지보수·관리 대상 건축물
  •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의 건축물

    공동주택 및 학교시설(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 제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학교시설
유지보수·관리 업무처리 절차
1. 신고인이 신고(관리주체) 2. 처리기관에서 접수(지자체 담당자) 3. 신고서류 확인 및 시스템 입력 4. 기안 및 결재 5. 신고인에게 신고 결과 통보
유지보수·관리 신고내용
유지보수·관리 신고내용 - 구분, 유지보수·관리자 선·해임 신고, 변경신고 정보 제공
구분 유지보수·관리자 선·해임 신고 변경신고*
신고기간 선임일 또는 해임일로부터 30일 이내 신고된 사항이 변경된 때에는 변경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
신고기간 신고(변경)서류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제출
변경신고 사항
  • 관리주체 : 상호(명칭), 대표자 성명, 사업자등록번호, 주소(법인인 경우 : 법인의 명칭, 대표자 성명, 법인등록번호, 주소)
  • 유지보수 관리자 : 성명, 정보통신기술자 등급, 정보통신기술자 경력 수첩 발급번호
유지보수·관리자 선임기준
유지보수 관리 및 성능점검 대상 - 구분, 선임자격, 선임인원 정보 제공
유지보수·관리 및 성능점검 대상 선임자격 선임인원
연면적 6만m2 이상 건축물 특급기술자 1
연면적 3만m2 이상 6만m2 미만 건축물 고급기술자 이상 1
연면적 1만5천m2 이상 3만m2 미만 건축물 중급기술자 이상 1
연면적 5천m2 이상 1만5천m2 미만 건축물 초급기술자 이상 1

관리주체가 유지보수·관리자를 직접 고용하거나 유지보수 등의 업무를 공사업자에게 위탁한 경우, 1명의 관리자가 최대 5개의 건축물에 중복 선임 가능

유지보수·관리 및 성능점검
유지보수·관리 및 성능점검 - 구분, 유지보수 관리, 성능점검 정보 제공
구분 유지보수·관리 성능점검
관리방식 관리주체는 건축물 등 규모별 선임기준에 맞춰 관리자 선임

공사업자에게 관리위탁 가능

관리주차게 성능점검을 직접 실시하는 경우, 규칙 별표1의 유지보수·관리자 선임기준을 준용하여 연면적 규모에 적합하게 고용하여 성능점검 실시

공사업자, 용역업자에게 점검대행 가능

점검주기 반기별 1회 이상 매년 1회 이상
점검사항 1. 설비의 외관, 기능 및 안전상태를 매년 주기적으로 점검 실시 1. 정보통신설비 성능 점검표 기록 및 보존
2. 점검결과를 반기별 1회 이상 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 관리 점검표에 기록 2. 정보통신설비 성능점검표 제출(지자체 요청시)
보존기간 - 5년
관리주체 구비자료 등 계획사항
관리주체 구비자료 등 계획사항 - 구분, 항목 정보 제공
구분 항목
구비자료
  • - 정보통신설비 준공도면
  • - 정보통신설비 설치 현황표
유지보수·관리 및
성능점검 계획수립
  • 1 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 관리 및 성능점검 대상 현황표
  • 2 점검대상 정보통신설비의 유지보수·관리 및 성능점검 절차, 주기
  • 3 유지보수·관리 및 성능점검 전 산업재해방지 대책
  • 4 유지보수관리 및 성능점검 시 긴급 상황에 대한 매뉴얼
  • 5 유지보수·관리 및 성능점검 후 정보통신설비의 사고 또는 이상상황 발생시 조치 방법
  • 6 사고재발방지 대책(사고이력이 있는 경우)

관리주체는 정보통신설비 설치 현황표를 작성, 비치하며 세부 내용 변경 시 갱신하여야 함.

유지보수관리 대상설비
유지보수관리 대상설비 - 구분, 대상 정보 제공
구분 대상
통신설비 (8개 설비) 케이블설비, 배관설비, 국선인입설비, 단자함설비, 이동통신구내선로설비, 전화설비, 방송 공동수신 안테나 시설, 종합유선방송 구내전송선로설비
방송설비 (1개 설비) 방송음향설비
정보설비 (23개 설비) 네트워크설비, 전자출입(통제)시스템, 원격검침시스템, 주차관제시스템, 주차유도시스템, 무인택배시스템, 비상벨설비, 영상정보처리기기시스템, 홈네트워크 설비,빌딩안내시스템(BIS), 전기시계시스템, 통합 SI시스템, 시설관리시스템,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지능형 인원수시스템, 지능형 경계감시 시스템, 스마트 병원설비, 스마트 도난방지시스템, 스마트공장 시스템, 스마트 도서관 시스템, 지능형 이상음원 시스템, IoT기반 지하공간 안전관리 시스템, 디지털 사이니지
기타설비 (2개 설비) 통신용 전원설비, 통신접지설비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결과는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담당부서 :
연락처 :
최종수정일 :
2025年11月21日 14:52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