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통일부

주메뉴 닫기
검색창열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주요사업

메뉴

지원제도

  • 글자크기

본문영역

지원제도

지원제도에 대해 구분, 항목, 내용으로 나열한 표입니다. 구분은 사회적응교육, 정착금, 주거, 취업, 사회보장, 교육, 상담 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구분 항목 내용
사회적응교육 기본교육
(하나원)
▶ 하나원 12주, 400시간 교육
지역적응교육
(지역적응센터)
▶ 전국 지역적응센터 8일, 50시간 초기집중교육 및 지역적응지원
정착금 기본금 ▶ 1인세대 1,500만원 지급, 2인세대 2,400만원, 3인세대 3,150만원, 4인세대 3,900만원, 5인세대 4,650만원, 6인세대 5,400만원, 7인세대 이상 6,150만원
지방거주장려금 ▶ 지방 2년 거주시 광역시(인천 제외)는 주거지원금의 10%, 기타지역은 주거지원금의 20%
취약계층 보호 가산금 ▶ 고령가산금(만 60세 이상인자): 800만원
▶ 장애가산금: 1,540만원(중증), 360만원(경증)
▶ 장기치료가산금(중증질환으로 3개월 이상 연속 입원시): 1개월에 80만원(최대 9개월까지)
▶ 한부모가정아동보호가산금(보호결정 당시 만 13세 미만 아동): 세대당 400만원
▶ 제 3국 출생 자녀 양육가산금: 만 16세 미만 아동 1인당 450만원
▶ 무연고청소년가산금: 1개월에 20만원(만 18세부터 만 24세 이하)
주거 주택알선 ▶ 한국토지주택공사(LH)·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연계하여 임대주택 알선
주거지원금 ▶ 1인 세대 기준 1,600만원, 2~4인 세대 2,000만원, 5인 이상 세대 2,300만원(보증금의 잔액은 거주지 보호기간 종료 후 지급)
취업 취업장려금 ▶ 3년간 근속시 최대 수도권 1,800만원, 지방 2,100만원
새출발 장려금 ▶ 거주지 보호기간 만료 후 1년 6개월간 근속시 최대 3회(1년6개월), 600만원
- 취업장려금 1년 이하 수급자, 최대 3회(600만원)
- 취업장려금 1년 6개월 수급자, 최대 2회(400만원)
- 취업장려금 2년 이상 수급자, 해당없음
자산형성제도
(미래행복통장)
▶ 소득 중 저축액에 대해 정부가 동일한 금액을 매칭하여 지원
- 적립 목적: 주택구입비 또는 임대비, 교육비, 창업자금, 결혼 등
- 지원 기간: 2년(1년 단위로 2회까지 연장 가능, 최대 4년)
- 적용 대상: '14.11.29. 이후 입국하여 보호결정된 사람
- 약정 금액: 소득의 30% 범위 내, 월 최대 50만원
* 거주지 보호기간 내 가입 요건 폐지
기타 ▶ 예비사회적기업 지원, 영농정착, 창업지원, 취업바우처 등
사회복지 생계급여 ▶ 생계급여 수급을 위한 소득안정액 기준 및 급여 지급시 특례
- 근로무능력 가구: 가구원수 1인 추가 기준 적용
- 근로능력자 가구: 최초 거주지 전입후 6개월간은 조건제시를 유예하고 생계급여 적용
의료보호 ▶의료급여 1종, 2종 수급자
-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책정시 선정기준 준용, 근로능력 유무에 따라 1·2종 부여
연금특례 ▶ 보호결정 당시 50세 이상~60세 미만 시, 국민연금 가입 특례
- 일반국민과 달리 가입기간이 5년이 지나면 노령연금 수령 가능
교육 특례 편·입학 ▶ 대학진학 희망 시 정원 외 특례입학
* 제3국 출생 자녀의 경우는 정원 내 특례입학
학비 지원 ▶ 중·고교 및 국·공립대 등록금 면제, 사립대 50% 보조
* '북한이탈주민과 그 자녀'로 대상 확대
상담 - ▶ 지역적응센터, 전문상담사, 정착도우미 등을 통한 지원
  • 관리부서 :
    정착지원과
  • 전화번호 :
    1855-0714
  • 콘텐츠 최종 수정일 :
    2025年04月09日
TOP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