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검색어
# 구인구직 # 공공근로 # 건축과 # 폐기물 # 문화재

2023년 재정공시(예산)

예산낭비신고센터 바로가기

재정공시 제도란

재정공시제도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서 및 결산서를 기준으로 재정운용 결과와 주민의 관심사항 등을 주민에게 공개하는 제도

공시내용

예산규모

  • 세입예산, 세출예산, 지역통합재정통계

재정여건

  •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통합재정수지

재정운용계획

  • 중기지방재정계획, 성인지예산, 주민참여예산사업 현황, 성과계획서, 재정운용상황개요서, 국외여비 편성현황, 행사·축제경비 편성현황, 업무추진비 편성현황, 지방의회 관련경비 편성현황, 지방보조금 편성현황, 사회보장적 수혜금 편성현황, 1인당 기준경비 편성현황

재정운용성과

  • 보통교부세 자체노력 반영현황, 지방교부세 감액현황, 지방교부세 인센티브 현황
  • 우리 구의 ‘23년도 예산규모(세입예산)는 4,355억원으로, 전년 예산대비 277억원이 증가 하였으며, 동일유형 지방자치단체 평균액(5,282억원)보다 927억원이 적습니다.
    • 그 중 일반회계 세입재원별 예산편성 현황을 살펴보면, 자체수입(지방세 및 세외수입)은 801억원, 이전재원(지방교부세, 조정교부금, 보조금)은 2,938억원, 지방채·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는 264억원입니다.
  • 우리 구의 ’23년도 당초예산 중 일반회계 예산규모 대비 자체수입의 비율인 ‘재정자립도’는 20.01%이며, 자체수입에 자주재원을 더하여 계산한 비율인 ‘재정자주도’는 32.53%입니다.
  • 우리 구의 ‘23년 당초예산(일반회계+특별회계+기금) 기준 통합재정수지(순세계잉여금 포함)는 9억원의 흑자입니다.
  • 이러한 전반적인 상황으로 볼 때, 우리 구 재정은 코로나20 이후 일상회복을 위한 보건・복지・고용 분야예산 확장 편성으로 이전재원비율이 자체수입보다 다소 높으나, 재산세와 지방소비세 등 자체수입이 증가세를 보이며, 채무가 없고 통합재정수지가 전년대비 개선되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우리 구 인터넷 홈페이지(www.suyeong.go.kr)에서 보실 수 있으며, 건의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아래 담당자 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담 당 자 : 기획전략과 신미림(☏610-4021)

공통공시 총괄

다음은 공시하는 내용을 요약한 표입니다.

(단위 : 억원, %)

재정운영 결과, 수영구(23년도(A), 23년도(B), 증감(C=A-B)), 유형 지방자체단체 평균(23년도(A), 22년도(B), 증감(C=A-B))의 공통공시 총괄 목록표입니다.
재정운영 결과 수영구 유형 지방자치단체 평균
’23년도
(A)
’22년도
(B)
증감
(C=A-B)
’23년도
(A)
’22년도
(B)
증감
(C=A-B)
예산규모 세입예산(기금포함) 4,355 4,078 277 5,282 4,691 591
세출예산(기금포함) 4,355 4,078 277 5,282 4,691 591
지역통합 재정통계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재정여건 재정자립도 20.01 19.2 0.81 15.67 15.03 0.64
재정자주도 32.53 34.12 -1.59 33.35 33.56 -0.21
통합재정수지 9 -4 13 31 26 5
재정운용계획 중기지방재정계획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성인지예산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주민참여예산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성과계획서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재정운용상황 개요서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국외여비 편성현황 1 1 0 2 1 1
행사·축제경비 편성현황 44 32 12 21 17 4
업무 추진비 기관운영 2 2 0 2 2 0
시책추진 2 2 0 2 2 0
지방의회 관련경비 2 2 0 2 2 0
지방보조금 19 16 3 21 18 3
지방보조금 29 12 - -
1인당 기준경비 편성현황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재정운용성과 보통교부세 자체노력 반영현황(세출효율화)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보통교부세 자체노력 반영현황(세입확충)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지방교부세 감액현황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지방교부세 인센티브현황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수영구의 유사지방자치단체는 인구와 재정여건이 비슷한 광역 자치구(II) 유형의 전국 22개 자치구입니다.

수영구의 유사지방자치단체 현황표입니다.
부산 중구 부산 서구 부산 동구 부산 영도구 부산 남구
부산 북구 부산 사하구 부산 금정구 부산 연제구 부산 수영구
부산 사상구 대구 중구 대구 서구 대구 남구 인천 동구
광주 동구 광주 남구 대전 동구 대전 중구 대전 대덕구
울산 중구 울산 동구

예산규모

2-1. 세입예산(기금포함)

1년 동안 들어올 모든 수입을 예상하여 편성한 것을 세입예산이라 합니다.
2023년도 수영구의 세입측면에서 본 예산규모와 내용입니다.

(단위 : 백만원)

세입예산 총계, 일반회계, 공기업 특별회계, 기타 특별회계, 기금의 세입예산 목록표입니다.
세입예산 총계 일반회계 공기업 특별회계 기타 특별회계 기금
435,502 400,365 0 5,664 29,472
  • 당초예산 총계기준

연도별 세입예산(기금포함)규모

(단위 : 백만원)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의 연도별 세입예산(기금포함)규모 목록표입니다.
2019 2020 2021 2022 2023
304,170 355,894 375,135 407,793 435,502
  • 당초예산 총계기준

세입재원별·연도별 현황(일반회계 기준)

(단위 : 백만원, %)

세입재원,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의 세입재원별·연도별 현황(일반회계 기준) 목록표입니다.
세입재원 2019 2020 2021 2022 2023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합 계 270,146 100 310,879 100 332,065 100 366,320 100 400,365 100
지 방 세 38,643 14.3 43,972 14.1 49,538 14.9 56,843 15.5 67,502 16.9
세외수입 11,068 4.1 13,268 4.3 12,984 3.9 13,496 3.7 12,598 3.2
지방교부세 4,500 1.7 14,350 4.6 17,000 5.1 18,000 4.9 13,500 3.4
조정교부금 등 35,670 13.2 36,663 11.8 36,636 11 36,640 10 36,640 9.2
보 조 금 168,084 62.2 178,450 57.4 203,584 61.3 223,968 61.1 243,702 60.9
지 방 채 0 0 0 0 0 0 0 0 0 0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12,181 4.5 24,177 7.8 12,324 3.7 17,373 4.7 26,424 6.6
  • 당초예산 총계기준

세입재원별 현황(2023년, 일반회계)

2023년 세입재원별 일반회계 총액을 나타낸 도표확대보기

2-2. 세출예산(기금포함)

1년 동안 수영구에서 사회복지, 보건, 문화관광, 지역개발 등의 목적을 위한 지출을 예상하여 편성한 것을 세출예산이라 합니다.
2023년도 수영구의 세출측면에서 본 예산규모 내용입니다.

(단위 : 백만원)

세출 총계, 일반회계, 공기업 특별회계, 기타 특별회계, 기금의 세출예산표입니다.
세출 총계 일반회계 공기업 특별회계 기타 특별회계 기금
435,502 400,365 0 5,664 29,472
  • 당초예산 총계기준

연도별 세출예산(기금포함)규모 현황

(단위 : 백만원)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의 연도별 세출예산(기금포함)규모 현황표입니다.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04,170 355,894 375,135 407,793 435,502
  • 당초예산 총계기준

세출분야별·연도별 현황(일반회계 기준)

(단위 : 백만원, %)

세출분야, 2019년, 2020년, 2020년, 2022년, 2023년의 세출분야별·연도별 현황(일반회계 기준) 목록표입니다.
세출분야 2019 2020 2020 2022 2023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합 계 270,146 100 310,879 100 332,065 100 366,320 100 400,365 100
일반공공행정 9,735 3.6 9,687 3.1 9,969 3 13,759 3.80% 12,474 3.1
공공질서 및 안전 1,761 0.7 1,894 0.6 3,211 1 6,245 1.70% 6,264 1.6
교 육 1,210 0.5 2,002 0.6 2,175 0.7 539 0.20% 455 0.1
문화 및 관광 11,445 4.2 7,222 2.3 8,024 2.4 8,461 2.30% 9,605 2.4
환경 15,839 5.9 12,083 3.9 12,648 3.8 14,070 3.80% 16,269 4.1
사회복지 160,117 59.3 175,908 56.6 203,086 61.2 222,745 60.80% 251,010 62.7
보 건 6,100 2.3 7,097 2.3 8,039 2.4 11,893 3.30% 9,740 2.4
농림해양수산 1,578 0.6 2,497 0.8 2,419 0.7 3,023 0.80% 3,091 0.8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 76 0 682 0.2 265 0.1 258 0.10% 487 0.1
교통 및 물류 3,649 1.4 4,054 1.3 5,390 1.6 6,505 1.80% 5,413 1.4
국토 및 지역개발 1,663 0.6 8,426 2.7 6,384 1.9 7,219 2.00% 4,018 1
과학기술 0 0 0 0 0 0 0 0.00% 0 0
예비비 1,675 0.6 10,038 3.2 12,689 3.8 9,613 2.60% 16,900 4.2
기 타 55,298 20.5 69,290 22.3 57,765 17.4 61,990 16.90% 64,638 16.1
  • 당초예산 총계기준

분야별 현황(2023년, 일반회계)

2023년 분야별 일반회계 총액을 나타낸 도표확대보기

2-3. 지역통합재정통계

지방자치단체의 일반회계, 특별회계(교육비특별회계 포함), 기금, 지방공사·공단 및 출자·출연기관의 재정상황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통계입니다.
다음은 수영구의 지역통합재정통계입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 2022년 당초예산(A), 2023년 당초예산(B), 증감액(B-A), 비율(B-A)/A의 지역통합재정통계표입니다.
구 분 2020년 당초예산
(A)
2022년 예산
(B)
증감액
(B-A)
비율
(B-A)/A
합 계 407,866 435,640 27,773 6.81
수영구 407,793 435,502 27,708 6,79
출자·출연기관 73 138 65 89.04
  • 당초예산 총계기준
  • 출자출연기관(1개) : 수영구 장학재단

재정여건

3-1. 재정자립도

재정자립도란 스스로 살림을 꾸릴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재정자립도가 100%에 가까울수록 재정운영의 자립능력은 우수하게 됩니다.
2023년도 수영구의 당초예산 기준 재정자립도는 20.01%입니다.

(단위 : 백만원, %)

재정자립도(B/A), 세입 합계(A=B+C+D+E), 자체세입(B), 이전재원(C), 지방채(D), 보전수입의 재정자립도 목록표입니다.
재정자립도
(B/A)
세입 합계
(A=B+C+D+E)
자체세입
(B)
이전재원
(C)
지방채
(D)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E)
20.21%
(26.61%)
400,365
(400,365)
80,100
(106,523)
293,842 0 26,424
(0)
  • 일반회계기준, ( )는 2014년 세입과목이 개편되기 이전을 기준으로 산출한 값입니다.
    * 2014년 세입과목 개편으로 잉여금, 이월금, 전입금, 예탁·예수금 등이 ‘세외수입’에서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로 이동
  • 자체세입 : 지방세(지방교육세 제외) + 세외수입
  • 이전재원 : 지방교부세 + 조정교부금 등 + 보조금

재정자립도 연도별 현황

(단위 : %)

구분, 2019년, 2020년, 2020년, 2022년, 2023년의 재정자립도 연도별 현황표입니다.
2019 2020 2021 2022 2023
18.40%
(22.91%)
18.41%
(26.19%)
18.83%
(22.54%)
19.20%
(23.94%)
20.01%
(26.61%)

유형 지방자치단체와 재정자립도(당초예산) 비교

유형 지방자치단체와 재정자립도(당초예산) 비교확대보기
  • 우리구 예산규모 대비 이전재원의 비중은 감소한 반면, 자체수입인 지방세 및 세외수입 비중은 상승하여 재정자립도는 전년보다 0.81% 상승하였습니다.

3-2. 재정자주도

재정자주도란 전체 세입에서 용처를 자율적으로 정하고 집행할 수 있는 재원의 비율을 말합니다. 재정자주도가 100%에 가까울수록 재정운용의 자율성도 좋다는 의미이며 2023년도 수영구의 당초예산 기준 재정자주도는 32.53%입니다.

(단위 : 백만원, %)

재정자주도(B/A), 세입 합계(A=B+C+D+E), 자주재원(B), 보조금(C), 지방채(D), 보전수입 및 내부거래 등(E)의 재정자주도 목록표입니다.
재정자주도
(B/A)
세입 합계
(A=B+C+D+E)
자주재원
(B)
보조금
(C)
지방채
(D)
보전수입 및 내부거래 등
(E)
32.53%
(39.13%)
400,365
(400,365)
130,240
(156,664)
243,702 0 26,424
(0)
  • 일반회계 기준, ( )는 2014년 세입과목이 개편되기 이전을 기준으로 산출한 값입니다.
    * 2014년 세입과목 개편으로 잉여금, 이월금, 전입금, 예탁·예수금 등이 ‘세외수입’에서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로 이동
  • 자주재원 : 자체세입 + 지방교부세 + 조정교부금 등

재정자주도 연도별 현황

(단위 :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의 재정자주도 연도별 현황표입니다.
2019 2020 2021 2022 2023
33.27%
(37.78%)
33.82%
(42.60%)
38.69%
(38.69%)
38.86%
(38.86%)
39.13%
(39.13%)

유형 지방자치단체와 재정자주도(당초예산) 비교

유형 지방자치단체와 재정자주도(당초예산) 비교확대보기
  • 우리구의 자체세입은 전년대비 9.3% 증가하였으나 자주재원 비율은 소폭 감소하여 재정자주도는 전년대비 1.6% 감소하였습니다.

3-3. 통합재정수지

통합재정수지란 당해연도의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을 모두 포괄한 수지로서 회계-기금간 내부거래 및 차입, 채무상환 등 보전거래를 제외한 순수한 재정수입에서 순수한 재정지출을 차감한 수치를 의미합니다. 다만, 통합재정수지1은 세입에 순세계잉여금이 포함되지 않아 실제 흑‧적자 규모를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어, 순세계잉여금을 포함한 통합재정수지2도 함께 공시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023년 수영구의 당초예산 기준 통합재정수지입니다.

(단위 : 백만원)

회계별, 통계규모(세입(A), 지출(B),융자회수(C), 융자지출(D), 순융자(E=D-C), 순세계잉여금(F)), 통합재정규모(G=B+E), 통합재정수지 1(H=A-G), 통합재정수지 2(I=A-G+F)의 통합재정수지 목록표입니다.
회계별 통계규모 통합재정규모
(G=B+E)
통합재정수지 1
(H=A-G)
통합재정수지 2
(I=A-G+F)
세입
(A)
지출
(B)
융자
회수 (C)
융자
지출
(D)
순융자
(E=D-C)
순세계
잉여금
(F)
총 계 378,878 406,015 225 20 -205 27,868 405,810 -26,933 935
일반회계 374,365 399,731 0 0 0 26,000 399,731 -25,366 634
기타 특별회계 3,796 5,664 0 0 0 1,868 5,664 -1,868 0
기 금 716 620 225 20 -205 0 415 301 301
  • 당초예산 총계 기준
  • 통합재정규모 = 지출(경상지출+자본지출) + 순융자(융자지출-융자회수)
  • 통합재정수지 1 = 세입(경상수입 + 이전수입 + 자본수입) - 통합재정규모
  • 통합재정수지 2 = 세입(경상수입 + 이전수입 + 자본수입) - 통합재정규모 + 순세계잉여금

통합재정수지 연도별 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의 통합재정수지 연도별 현황표입니다.
구 분 2019 2020 2021 2022 2023
통합재정수지 1 -8,246 -12,124 -14,838 -18,249 -26,933
통합재정수지 2 5,678 778 -1,951 -358 935
  • 통합재정수지1은 세입은 증가하였으나, 코로나19 이후 일상회복을 위한 복지,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 따른 지출로 수치가 다소 하락하였습니다. 반면 통합재정수지2는 순세계잉여금이 증가하여 전년보다 수치가 개선되었습니다.

재정운용계획

4-1. 중기지방재정계획

지방자치단체의 발전계획과 수요를 중·장기적으로 전망하여 반영한 다년도 예산으로, 효율적인 재원배분을 통한 계획적인 지방재정 운용을 위해 수립하는 5년간의 계획을 중기지방재정계획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수영구의 중기지방재정계획입니다.

연도별 재정전망

(단위 : 백만원, %)

2023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합계, 연평균 증가율의 연도별 재정전망표입니다.
구 분 2023 2024 2025 2026 2027 합 계 연평균
증가율
세 입 473,844 487,883 500,369 505,242 509,906 2,477,243 1.9%
자체수입 89,806 90,489 98,332 103,319 105,361 487,309 4.1
이전수입 315,318 333,784 336,020 339,824 342,961 1,667,907 2.1
지방채 0 0 0 0 0 0 0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68,719 63,610 66,016 62,099 61,584 322,028 -2.7
세 출 473,844 487,883 500,369 505,242 509,906 2,477,243 1.9%
경상지출 128,759 122,269 125,641 117,125 124,325 618,119 -0.9
사업수요 345,085 365,614 374,727 388,116 385,582 1,859,124 2.8
  • 대상회계 : 일반회계, 특별회계(공기업, 기타), 기금
  • 연평균 증가율 = [(최종연도 / 기준년도) ^ (1 / (전체연도 수 - 1)) - 1] × 100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2023~2026 중기지방재정계획 바로가기

4-2. 성인지 예산현황

성인지예산은 예산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칠 영향을 미리 분석하여 예산을 편성하는 것으로, 예산을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점검하는 방법입니다.

일례로 건물에 설치될 화장실 중 여성과 남성의 화장실 수를 분석하여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예산이 편성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불평등하다고 할 때 이를 조정하여 예산을 편성하는 방법입니다.

성인지예산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편성운영하고 있으며, 아래의 표에서는 수영구의 2023년 성인지예산 대상사업, 소요예산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 개, 백만원)

구분, 사업수, 예산액의 성인지 예산현황 목록표입니다.
구 분 사 업 수 예 산 액
총 계 19 17,526
양성평등정책추진사업 4 1,110
성별영향분석평가사업 13 16,363
자치단체 별도 추진사업 2 53

양성평등정책추진사업이란 ?

  • 여성가족부장관이 수립한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에 따라 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사업
  • 자치단체에서 자체적으로 수립한 양성평등정책관련 기본계획에 포함된 사업, 그 밖에 여성을 주대상으로 하며 여성의 사회참여확대 및 권익증진 등을 도모하거나 여성의 돌봄부담 등 가족내 성불평등을 개선할 수 있는 사업

성별영향분석평가사업이란 ?

  • 성별영향평가법에 따른 성별영향평가 대상 예산사업

자치단체 별도 추진사업이란 ?

  • 자치단체장의 공약사업 및 주력사업으로 성별 수혜분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사업, 성불평등 혹은 성격차 개선 가능성이 큰 사업

4-3. 주민참여예산사업 현황 및 주민의견서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주민이 예산편성 등 예산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제도입니다. 주민참여예산은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따라 예산편성에 관한 주민의견 수렴, 주민제안사업 구체화 및 우선순위 결정 등으로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참여방법은 주민회의,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등 제도화된 절차 또는 인터넷, 팩스, 우편 등을 통한 참여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예산에 반영된 주민참여예산사업은 참여 방식과 참여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민제안사업(주민주도형‧주민참여형)과 일반참여예산사업으로 구분됩니다.

주민참여예산사업 구분기준

구분, 주민제안사업(주민주도형, 주민참여형), 일반 참여예산사업의 주민참여예산사업 구분기준표입니다.
구분 주민제안사업 일반 참여예산사업
주민주도형 주민참여형
구분기준
  • 예산편성 한도 설정
  • 참여예산기구 또는 주민총회에서 사업 우선순위 결정
  • 예산편성 한도 미설정
  • 또는 한도가 있으나 참여예산기구의 사업 우선순위 결정 권한이 제한적
  • 주민제안사업이 아닌 사업중 자치단체가 주민참여의일정한 기준을 설정한 사업
    (注記) 단, 다른 법령에 의한 참여절차는 제외
  • 단위·세부사업별 주민의견서 작성

2023년 수영구의 주민참여예산사업 예산 반영 규모입니다.

(단위 : 건, 백만원)

주민참여예산사업 반영규모(합계), 주민제안사업(주민주도형, 주민참여형), 일반참여예산사업의 주민참여예산사업 규모표입니다.
주민참여예산 사업 규모 주민제안사업 일반참여예산사업
주민주도형 주민참여형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12 215.4 0 0 12 215.4 0 0
  • 당초예산 기준

2023년 주민참여예산사업 내역

(단위 : 백만원)

구분, 부서명, 사업명, 예산반영액, 비고의 2023년 주민참여예산사업 내역표입니다.
구 분 부서명 사업명 예산반영액 비고
총 액 215.4
주민참여형 평생교육과 수영구청소년문화의집 문화예술공간 조성 및 사업운영 15
평생교육과 수영구 특화동아리 지원을 통한 마을공동체 형성 및 운영 5
일자리경제과 수영구도서관 옆 등산로 정비 40
행정지원과 수영구스포츠클럽 인바디 측정기 설치 7.5
안전관리과 부산전통예술관인근 쌈지공원길목 조명설치 - 타예산 추진
교통행정과 수영동 주거지 주차장 환경을 개선해주세요 2.8 주차장 특별회계
건설과 수영로 일대 보도블럭 정비사업 100
건설과 광일로9번길 일원 도로정비 10
동행정복지센터 사랑의 공구 대여함 정비 2.5 남천1동
2.5 수영동
1 망미1동
1 광안3동
동행정복지센터 동행정복지센터 화장실 내 핸드드라이기설치 1.8 망미1동
1.5 광안1동
1.8 광안3동
광안4동 호암골 유래지 벽면 조형물 간접 조명 설치 3
민락동 수영구 민락동 주민개방화장실 리모델링 건의 20

4-4. 성과계획서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사업의 효율적 목표 달성을 위해 사업 목표, 성과지표 및 목표수준을 사전에 설정한 연도별 시행계획을 성과계획서라고 합니다.

성과계획서는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수립 운영하고 있으며, 아래의 표에서는 수영구의 2023년 성과계획서 목표수, 단위사업수, 예산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 개, 백만원)

실국명, 성과계획[전략목표수, 정책사업목표(개수, 지표수), 단위사업수], 예산액(예산액, 전년도예산액, 비교증감)의 성과계획서표입니다.
실국명 성과계획 예산액
전략 목표수 정책사업목표 단위사업수 예산액 전년도 예산액 비교 증감
개수 지표수
6 58 129 91 406,029 372,486 33,543
미래전략국 1 15 38 22 36,082 28,888 7,193
행정문화국 1 14 33 22 71,619 70,633 986
복지환경국 1 15 29 25 264,182 234,355 29,827
안전도시국 1 11 22 17 19,449 21,535 -2,087
의회사무과 1 1 3 1 963 1,226 -263
보건소 1 2 4 4 11,167 13,415 -2,248
동행정복지센터 - - - - 2,569 2,434 135

4-5. 재정운용상황개요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운용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주요 재정지표 및 분석자료를 정리한 자료를 재정운용상황개요서라고 합니다.

재정운용상황개요서는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사회복지분야 예산 비율, 자체사업 및 보조사업의 비율, 인건비 비율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 %)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사회복지분야 예산비율, 자체사업비율, 보조사업 비율, 지방세와 세외수입의 총액 중 인건비의 비율의 재정운용상황개요서표입니다.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사회복지분야
예산비율
자체사업비율 보조사업 비율 지방세와 세외수입의
총액 중
인건비의 비율
20.01 32.53 62.70 18.17 65.53 56.96

4-6. 국외여비 편성현황

2023년도 국외출장 및 국외여비 편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세출예산총계(A), 국외여비 총액(B=C+D), 국외업무여비*(C), 국제화여비**(D), 비율(B/A)의 국외출장 및 국외여비 편성내역표입니다.
세출예산총계
(A)
국외여비 총액
(B=C+D)
국외업무여비*
(C)
국제화여비**
(D)
비율
(B/A)
406,029 83 43 40 0.02%
  • * 공무원여비규정에 의한 공무원 등의 국외출장여비 중 업무수행(특정업무, 국제회의, 국제행사 등)관련 여비
  • **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해외시찰, 견학, 참관 등 및 국외훈련여비
  • 대상회계 : 일반회계, 특별회계 (202-03 국외업무여비, 202-04 국제화여비)

국외여비 연도별 현황

(단위 : 백만원, %)

구분, 연도별(2019, 2020, 2021, 2022, 2023)의 국외여비 연도별 현황표입니다.
구분 연도별
2019 2020 2021 2022 2023
세출예산총계(A) 275,766 315,207 336,453 372,486 406,029
국외여비 총액(B=C+D) 89 79 81 81 83
국외업무여비(C) 49 39 41 41 43
국제화여비(D) 40 40 40 40 40
비율 0.03% 0.03% 0.02% 0.02% 0.02%

수영구-유형평균 국외여비 비교

수영구-유형평균 국외여비 비교확대보기

4-7. 행사·축제경비 편성현황

다음은 우리 수영구가 2023년 한 해 동안 시에서 주관하여 개최하고자 하는 행사와 축제의 운영비, 실비보상금 등을 편성한 내역입니다.

(단위 : 백만원, %)

세출예산액(A), 행사·축제경비(B), 비율(B/A), 비고의 행사·축제경비 편성현황표입니다.
세출예산액(A) 행사·축제경비(B) 비율(B/A) 비 고
400,365 4,435 1.11%
  • 대상회계 : 일반회계, 2023년 예산편성 내역 중 통계목별 총 금액의 합계 기재
  • 대상과목 : 행사운영비(201-03), 행사실비보상금(301-09), 민간행사사업보조(307-04), 행사관련시설비(401-04)

행사·축제경비 연도별 현황

(단위 : 백만원, %)

구분, 연도별(2019, 2020, 2021, 2022, 2023)의 행사·축제경비 연도별 현황표입니다.
구 분 연도별
2019 2020 2021 2022 2023
세출예산액 270,146 310,879 332,065 366,320 400,365
행사·축제경비 980 1,401 1,587 3,216 4,435
비율 0.36% 0.45% 0.48% 0.88% 1.11%

수영구-유형평균 행사・축제경비 비율 비교

수영구-유형평균 행사・축제경비 비율 비교확대보기

4-8. 업무추진비 편성현황

업무추진비는 업무추진비란 지방자치단체의 장 등이 기관을 운영하고 정책을 추진하는 등 공무를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우리 수영구의 2023년 업무추진비 편성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체장·부단체장 기관운영업무추진비

(단위 : 백만원, %)

기관운영 업무추진비 총액한도액(A), 기관운영 업무추진비 예산편성액(B)(소계, 단체장, 부단체장, 실국장 및 읍면동장 등 기타), 총액한도액 대비 편성액 비율(B/A)의 기관운영업무추진비 편성현황표입니다.
기관운영 업무추진비 총액한도액(A) 기관운영 업무추진비 예산편성액(B) 총액한도액 대비 편성액 비율(B/A)
소 계 단체장 부단체장 실국장 및 읍면동장 등 기타
206 177 54 41 83 86.10%
  • (注記) 2023회계연도부터 “실국장 및 읍면동장 등 기타” 예산금액이 추가되었습니다.

기관운영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

(단위 : 백만원, %)

2019, 2020, 2021, 2022, 2023의 기관운영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표입니다.
2019 2020 2021 2022 2023
95 95 174 177 177

수영구-유형평균 기관운영업무추진비 비교

수영구-유형평균 기관운영업무추진비 비교확대보기
  • 총액한도액 산출기준은 ‘2023년도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행정안전부)’을 참조하세요 지방재정 365 바로가기

시책추진업무추진비

(단위 : 백만원)

시책업무추진비 기준액(A), 시책업무추진비 예산편성액(B), 기준액 대비 편성액 비율(B/A)의 시책추진업무추진비 현황표입니다.
시책업무추진비 기준액(A) 시책업무추진비 예산편성액(B) 기준액 대비 편성액 비율(B/A)
245 232 94.74%

시책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

(단위 : 백만원, %)

2019, 2020, 2020, 2022, 2023의 시책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표입니다.
2019 2020 2020 2022 2023
199 201 205 219 232

수영구-유형평균 시책추진업무추진비 비교

수영구-유형평균 시책추진업무추진비 비교확대보기
  • 기준액 산출기준은 ‘2023년도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행정안전부)’을 참조하세요 지방재정 365 바로가기

4-9. 지방의회 관련경비 편성현황

우리 수영구의 2023년 지방의회 관련경비 편성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지방의회 관련경비 총액한도액(A), 지방의회 관련경비 예산편성액(B)[소계, 의정운영 공통경비, 의회운영 업무추진비, 의원 국외여비, 의원역량 개발비(민간위탁)], 총액한도액 대비 편성액 비율(B/A)의 지방의회 관련경비 편성현황표입니다.
지방의회 관련경비 총액한도액(A) 지방의회 관련경비 예산편성액(B) 총액한도액 대비 편성액 비율(B/A)
소 계 의정운영
공통경비
의회운영
업무추진비
의원
국외여비
의원역량
개발비
(민간위탁)
190 181 51 67 49 14 95.32%
  • (注記) 2023회계연도부터 “지방의회 관련경비 총액한도액” 산정방법이 변경되었습니다.

지방의회 관련경비 연도별 편성현황

(단위 : 백만원, %)

2019, 2020, 2021, 2022, 2023의 지방의회 관련경비 연도별 편성현황표입니다.
2019 2020 2021 2022 2023
164 170 175 175 181

수영구-유형평균 지방의회 관련경비 비교

수영구-유형평균 지방의회 관련경비 비교확대보기
  • 총액한도액 산출기준은 ‘2023년도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행정안전부)’을 참조하세요 지방재정 365 바로가기

4-10. 지방보조금 편성현황

우리 수영구의 2023년 지방보조금 편성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방자치단체가 민간 등이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사업에 대하여 자체재원(순 지방비)으로 개인 또는 단체 등에 지원하는 경비

(단위 : 백만원, %)

총한도액(A)*, 예산편성액[계, 한도 내(B), 한도 외**], 총한도액 대비 편성액 비율(B/A)의 지방보조금 편성현황표입니다.
총한도액(A)* 예산편성액 총한도액 대비
편성액 비율(B/A)
한도 내(B) 한도 외**
2,394 1,878 1,878 0 78.44%
  • 대상회계 : 일반 + 기타특별회계
  • 적용대상 : 민간경상사업보조, 민간단체법정운영비보조, 민간행사사업보조, 사회복지시설법정운영비보조, 사회복지사업보조, 민간자본사업보조
    (注記) 일자리 직접 연계된 사업, 국고보조사업 지방이양사업, 국제행사 및 전국(시‧도)단위 정기적인 순회 행사 등은 총한도액 대상에서 제외

지방보조금 연도별 편성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의 지방보조금 연도별 편성현황표입니다.
구 분 2019 2021 2020 2022 2023
838 1,135 1,199 1,575 1,878
한도 내 0 0 1,199 1,575 1,878
한도 외 0 0 0 0 0

수영구-유형평균 지방보조금 비교

수영구-유형평균 지방보조금 비교확대보기
  • 총액한도액 산출기준은 ‘2023년도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행정안전부)’을 참조하세요 지방재정 365 바로가기

4-11. 사회보장적 수혜금(현금성 복지비) 편성현황

우리 수영구의 2023년 사회보장적 수혜금(현금성 복지비) 편성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세출 예산액(A), 사회보장적 수혜금(B), 비율(B/A), 비고의 사회보장적 수혜금(현금성 복지비) 편성현황표입니다.
세출 예산액(A) 사회보장적 수혜금(B) 비율(B/A) 비고
406,029 2,859 0.7
  • 대상회계 : 일반 + 기타특별회계
  • 적용대상
    • 301-01 사회보장적수혜금(국고보조재원)
    • 301-02 사회보장적수혜금(취약계층, 지방재원)
    • 301-03 사회보장적수혜금(지방재원)

4-12. 1인당 기준경비 편성현황

건전한 지방재정운용과 자치단체간 균형을 확보하기 위해 「자치단체 예산편성 운영기준(행안부 훈령)」에서 공무원 맞춤형복지제도 시행경비, 공무원 일‧숙직비, 통장·이장·반장 활동보상금 등에 대한 기준경비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우리 수영구의 기준경비에 대한 1인당 예산편성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항목별, 대상인원(A),총 예산편성액(B), 1인당 편성액(B/A)의 1인당 기준경비 편성현황표입니다.
항목별 대상인원(A) 총 예산편성액(B) 1인당 편성액(B/A)
맞춤형복지제도시행경비* 936 1,522,512 1,627
공무원 일‧숙직비 2,074 124,440 60
통장이장반장
활동보상금
232 1,091,760 4,706

맞춤형복지제도시행경비 : 맞춤형 복지제도 배정액 + 보험료 + 직원건강검진비지원 공무원 일・숙직비 : 구본청 휴일 일직 + 숙직 + 명절상황근무 + 구본청,동 비상당직 수당 통장활동보상금 : 기본수당 월 30만원 + 상여금 연 200% + 회의참석수당 1회 2만원

재정운용성과

5-1. 보통교부세 자체노력 반영현황(세출 효율화)

우리 수영구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5-2. 보통교부세 자체노력 반영현황(세입확충)

우리 수영구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5-3. 지방교부세 감액 현황

우리 수영구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5-4. 지방교부세 인센티브 현황

우리 수영구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재정용어 해설

부산시 재정공시

부산시 재정공시 바로가기

예산낭비신고센터

예산낭비신고센터 바로가기
  • 담당부서 : 기획감사실
  • 연락처 : 051-610-4021
  • 최종수정일 : 2024年03月04日
만족도 영역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