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검색어
# 구인구직 # 공공근로 # 건축과 # 폐기물 # 문화재

2021년 재정공시(예산)

재정공시 제도란

재정공시제도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서 및 결산서를 기준으로 재정운용 결과와 주민의 관심사항 등을 주민에게 공개하는 제도

공시내용

예산규모

  • 세입예산, 세출예산, 지역통합재정통계

재정여건

  •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통합재정수지

재정운용계획

  • 중기지방재정계획, 성인지예산, 주민참여예산사업 현황, 성과계획서, 재정운용상황개요서, 국외여비 편성현황, 행사·축제경비 편성현황, 예산편성기준별 운영상황

재정운용성과

  • 보통교부세 자체노력 반영현황, 지방교부세 감액현황, 지방교부세 인센티브 현황
  • 우리 구의 ‘21년도 예산규모(세입예산)는 3,751억원으로, 전년 예산대비 192억원이 증가하였으며, 유형 지방자치단체 평균액(4,223억원)보다 472억원이 적습니다.
    • 그 중 일반회계 세입재원별 예산편성 현황을 살펴보면, 자체수입(지방세 및 세외수입)은 625억원, 이전재원(지방교부세, 조정교부금, 보조금)은 2,572억원, 지방채·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는 123억원입니다.
  • 우리 구의 ’21년도 당초예산 일반회계 예산규모 대비 자체수입의 비율인 ‘재정자립도’는 18.83%이며, 자체수입에 자주재원을 더하여 계산한 비율인 ‘재정자주도’는 34.98%입니다.
  • 우리 구의 ‘21년 당초예산(일반회계+특별회계+기금) 기준 통합재정수지(순세계잉여금 포함)는 20억원 적자입니다.
  • 이러한 전반적인 상황으로 볼 때, 우리 구의 재정은 재개발 지역대규모 공동주택 준공(예정)등으로 인한 재산세 증가로 자체수입이 전년대비 증가한 동시에 정부의 복지정책 강화로 이전재원도 증가하였습니다. 세입분야의 이전재원 비율이 자체수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만 지방채무가 없는 등 재정구조가 양호한 편이나, 코로나19 긴급생활안정자금 지원 및 작년까지 적립해온 지역발전사업기금의 최초지출이 발생하면서 기금을 포함한 통합재정수지는 수치상 적자를 보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우리 구 인터넷 홈페이지(www.suyeong.go.kr)에서 보실 수 있으며, 건의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아래 담당자 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담당자 : 수영구청 기획감사실 051)610-4025

공통공시 총괄

  • 다음은 공시하는 내용을 요약한 표입니다.

    (단위 : 억원, %)

    재정운영 결과, 수영구(19년도(A), 18년도(B), 증감(C=A-B)), 유사단체 평균(19년도(A), 18년도(B), 증감(C=A-B))의 공통공시 총괄 목록표입니다.
    재정운영 결과 수영구 유형 지방자치단체 평균
    ’21년도
    (A)
    ’20년도
    (B)
    증감
    (C=A-B)
    ’21년도
    (A)
    ’20년도
    (B)
    증감
    (C=A-B)
    예산규모 세입예산
    (기금포함)
    3,751 3,559 192 4,223 3,871 352
    세출예산 (기금포함) 3,751 3,559 192 4,223 3,871 352
    지역통합 재정통계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재정여건 재정자립도 18.83 18.41 0.42 14.95 15.25 しろさんかく0.3
    재정자주도 34.98 34.82 0.16 32.97 33.53 しろさんかく0.56
    통합재정수지 -20 8 しろさんかく27 23 4 19
    재정운용계획 중기지방재정계획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성인지예산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주민참여예산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성과계획서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재정운용상황 개요서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국외여비 편성현황 1 1 0 1 2 しろさんかく1
    행사・축제경비 편성현황 16 14 2 15 15 しろさんかく0
    업무 추진비 기관운영 2 1 1 2 1 1
    시책추진 2 2 0 2 2 0
    지방의회 관련경비 2 2 0 2 2 しろさんかく0
    지방보조금 12 11 1 17 15 2
    1인당 기준경비 편성현황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재정운용성과 보통교부세 자체노력 반영현황(세출효율화)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보통교부세 자체노력 반영현황(세입확충)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지방교부세감액현황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지방교부세인센티브현황 항목별 공시내용 참조
  • 수영구의 유사지방자치단체는 인구와 재정여건이 비슷한 광역 자치구(II) 유형의 전국 22개 자치구입니다.
    대구 중구, 부산 동래구, 부산 사하구, 부산 금정구, 부산 연제구, 울산 중구, 부산 사상구, 대전 대덕구, 대전 중구, 부산 북구, 부산 수영구, 대전 동구, 부산 중구, 광주 남구, 대구 서구, 대구 남구, 인천 동구, 부산 서구, 광주 동구, 부산 동구, 부산 영도구

예산규모

2-1. 세입예산(기금포함)

1년 동안 들어올 모든 수입을 예상하여 편성한 것을 세입예산이라 합니다. 2021년도 수영구의 세입측면에서 본 예산규모와 내용입니다.

(단위 : 백만원)

세입예산 총계, 일반회계, 공기업 특별회계, 기타 특별회계, 기금의 세입예산 목록표입니다.
세입예산 총계 일반회계 공기업 특별회계 기타 특별회계 기금
375,135 332,065 0 4,388 38,682

- 당초예산 총계기준

연도별 세입예산규모 현황

(단위 : 백만원)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의 연도별 세입예산규모 현황 목록표입니다.
2017 2018 2019 2020 2021
241,631 260,739 304,170 355,894 375,135

- 당초예산 총계기준

세입재원별 연도별 현황(일반회계)

(단위 : 백만원, %)

세입재원,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의 세입재원별 연도별 현황(일반회계) 목록표입니다.
세입재원 2017 2018 2019 2020 2021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합 계 218,222 100% 233,212 100% 270,146 100% 310,879 100% 332,065 100%
지 방 세 30,813 14.1% 33,624 14.4% 38,643 14.3% 43,972 14.1% 49,538 14.9%
세외수입 9,803 4.5% 11,798 5.1% 11,068 4.1% 13,268 4.3% 12,984 3.9%
지방교부세 2,450 1.1% 2,450 1.1% 4,500 1.7% 14,350 4.6% 17,000 5.1%
조정교부금 등 35,166 16.1% 35,170 15.1% 35,670 13.2% 36,663 11.8% 36,636 11%
보 조 금 125,037 57.3% 138,007 59.2% 168,084 62.2% 178,450 57.4% 203,584 61.3%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14,954 6.9% 12,162 5.2% 12,181 4.5% 24,177 7.8% 12,324 3.7%

- 당초예산 총계기준

세입재원별 현황(2021년, 일반회계)

유사 지방자치단체와 세입재원별 현황 비교확대보기

2-2. 세출예산

1년 동안 수영구에서 사회복지, 보건, 문화관광, 지역개발 등의 목적을 위한 지출을 예상하여 편성한 것을 세출예산이라 합니다. 2021년도 수영구의 세출측면에서 본 예산규모 내용입니다

(단위 : 백만원)

세출 총계, 일반회계, 공기업 특별회계, 기타 특별회계, 기금의 세출예산표입니다.
세출 총계 일반회계 공기업 특별회계 기타 특별회계 기금
375,135 332,065 0 4,388 38,682

- 당초예산 총계기준

도별 세출예산(기금포함)규모 현황

(단위 : 백만원)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의 연도별 세출예산규모 현황표입니다.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41,631 260,739 304,170 355,894 375,135

- 당초예산 총계기준

세출분야별 연도별 현황(일반회계)

(단위 : 백만원, %)

세출분야,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2020년의 세출분야별 연도별 현황(일반회계) 표입니다.
세출분야 2017 2018 2019 2020 2021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합 계 218,222 100% 233,212 100% 270,146 100% 310,879 100% 332,065 100%
일반공공행정 9,758 4.5% 11,414 4.9% 9,735 3.6% 9,687 3.1% 9,969 3.0%
공공질서 및 안전 1,596 0.7% 1,738 0.8% 1,761 0.7% 1,894 0.6% 3,211 1.0%
교 육 0 0% 644 0.3% 1,210 0.5% 2,002 0.6% 2,175 0.7%
문화 및 관광 5,182 2.4% 11,231 4.8% 11,445 4.2% 7,222 2.3% 8,024 2.4%
환경보호 10,452 4.8% 13,891 6.0% 15,839 5.9% 12,083 3.9% 12,648 3.8%
사회복지 122,233 56.0% 131,818 56.5% 160,117 59.3% 175,908 56.6% 203,086 61.2%
보 건 4,967 2.3% 5,595 2.4% 6,100 2.3% 7,097 2.3% 8,039 2.4%
농림해양수산 1,806 0.8% 1,626 0.7% 1,578 0.6% 2,497 0.8% 2,419 0.7%
산업・중소기업 1,026 0.5% 85 0.0% 76 0.0% 682 0.2% 265 0.1%
수송 및 교통 6,344 2.9% 3,987 1.7% 3,649 1.4% 4,054 1.3% 5,390 1.6%
국토 및 지역개발 5,415 2.5% 4,366 1.9% 1,663 0.6% 8,426 2.7% 6,384 1.9%
과학기술 0 0% 0 0% 0 0% 0 0% 0 0%
예비비 1,802 0.8% 862 0.4% 1,675 0.6% 10,038 3.2% 12,689 3.8%
기 타 47,642 21.8% 45,955 19.7% 55,298 20.5% 69,290 22.3% 57,765 17.4%

- 당초예산 총계기준

분야별 현황(2021년, 일반회계)

유사 지방자치단체와 세입재원별 현황 비교확대보기

2-3. 지역통합재정통계

지방자치단체의 일반회계, 특별회계(교육비특별회계 포함), 기금, 지방공사‧ 공단 및 출자‧출연기관의 재정상황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통계입니다.
다음은 수영구의 지역통합재정통계입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 2018년 당초예산(A), 2018년 당초예산(B), 증감액(B-A), 비율(B-A)/A의 지역통합재정통계표입니다.
구 분 2020년 당초예산
(A)
2021년 예산
(B)
증감액
(B-A)
비율
(B-A)/A
합 계 356,018 375,135 19,117 5.37
수영구 355,894 375,135 19,241 5.41
출자‧출연기관 124 73 しろさんかく51 しろさんかく41.13

당초예산 총계기준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

출자출연기관(1개) : 수영구장학재단

재정여건

3-1. 재정자립도

재정자립도란 스스로 살림을 꾸릴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재정자립도가 100%에 가까울수록 재정운영의 자립능력은 우수하게 됩니다. 2021년도 수영구의 당초예산 기준 재정자립도는 18.83%입니다.

(단위 : 백만원, %)

재정자립도(B/A), 세입 합계(A=B+C+D+E), 자체세입(B), 이전재원(C), 지방채(D), 보전수입의 재정자립도 목록표입니다.
재정자립도
(B/A)
세입 합계
(A=B+C+D+E)
자체세입
(B)
이전재원
(C)
지방채
(D)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E)
18.83%
(22.54%)
332,065
(332,065)
62,522
(74,845)
257,220
(257,220)
0 12,324
(0)
  • 일반회계기준, ( )는 2014년 세입과목이 개편되기 이전을 기준으로 산출한 값입니다.
    * 2014년 세입과목 개편으로 잉여금, 이월금, 전입금, 예탁.예수금 등이 세외수입에서 제외
  • 자체세입 : 지방세(지방교육세 제외) + 세외수입
  • 이전재원 : 지방교부세 + 조정교부금 등 + 보조금

재정자립도 연도별 현황

(단위 :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의 재정자립도 연도별 현황표입니다.
2017 2018 2019 2020 2021
18.61%
(25.46%)
19.48%
(24.69%)
18.40%
(22.91%)
18.41%
(26.19%)
18.83%
(22.54%)

유형 지방자치단체와 재정자립도(당초예산) 비교

유사 지방자치단체와 재정자립도(당초예산) 비교확대보기

우리구 이전재원의 비중이 3.6% 증가하였으나 자체수입인 지방세 및 세외수입 비율이 전년도 보다 소폭 상승하여 재정자립도는 18.8%를 기록하였습니다.

3-2. 재정자주도

재정자주도란 전체 세입에서 용처를 자율적으로 정하고 집행할 수 있는 재원의 비율을 말합니다. 재정자주도가 100%에 가까울수록 재정운용의 자율성도 좋다는 의미이며 2021년도 수영구의 당초예산 기준 재정자주도는 34.98%입니다.

(단위 : 백만원, %)

재정자주도(B/A), 세입 합계(A=B+C+D+E), 자주재원(B), 보조금(C), 지방채(D), 보전수입 및 내부거래 등(E)의 재정자주도 목록표입니다.
재정자주도
(B/A)
세입 합계
(A=B+C+D+E)
자주재원
(B)
보조금
(C)
지방채
(D)
보전수입 및 내부거래 등
(E)
34.98%
(38.69%)
332,065
(332,065)
116,158
(128,481)
203,584
(203,584)
0 12,324
(0)
  • 일반회계 기준, ( )는 2014년 세입과목이 개편되기 이전을 기준으로 산출한 값입니다.
    * 2014년 세입과목 개편으로 잉여금, 이월금, 전입금, 예탁.예수금 등이 세외수입에서 제외
  • 자주재원 : 자체세입 + 지방교부세 + 조정교부금 등

재정자주도 연도별 현황

(단위 :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의 재정자주도 연도별 현황표입니다.
2017 2018 2019 2020 2021
35.85%
(42.70%)
35.61%
(40.82%)
33.27%
(37.78%)
34.82%
(42.60%)
34.98%
(38.69%)

유사 지방자치단체와 재정자주도(당초예산) 비교

유사 지방자치단체와 재정자주도(당초예산) 비교확대보기

우리구의 자체세입 비율은 0.4%증가하였으며, 지방교부세·조정교부금 비율은 소폭 감소하여 재정자주도가 작년보다 0.2% 상승하였습니다.

3-3. 통합재정수지

통합재정수지란 당해연도의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을 모두 포괄한 수지로서 회계-기금간 내부거래 및 차입, 채무상환 등 보전거래를 제외한 순수한 재정수입에서 순수한 재정지출을 차감한 수치를 의미합니다. 다만, 예산기준 통합재정수지는 세입 측면의 순세계잉여금에 대응되는 세출 측면의 집행액이 드러나지 않아 흑‧적자를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어, 순세계잉여금을 포함한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로 구분하였습니다. 다음은 2021년 수영구의 당초예산 기준 통합재정수지입니다.

(단위 : 백만원)

회계별, 통계규모(세입(A), 지출(B),융자회수(C),융자지출(D),순융자(E=D-C),순세계잉여금(F)), 통합재정규모(G=B+E), 통합재정수지 1 H=A-G, 통합재정수지 2 I=A-G+F의 통합재정수지 목록표입니다.
회계별 통 계 규 모 통합재정
규모
(G=B+E)
통합재정
수지 1
(H=A-G)
통합재정수지 2
(I=A-G+F)
세입
(A)
지출
(B)
융자
회수 (C)
융자
지출
(D)
순융자
(E=D-C)
순세계
잉여금
(F)
총 계 324,121 338,918 0 40 40 12,887 338,958 -14,838 -1,951
일반회계 320,065 331,639 0 0 0 12,000 331,639 -11,574 426
기타 특별회계 3,501 4,388 0 0 0 887 4,388 -887 0
기 금 555 2,892 0 40 40 0 2,932 -2,377 -2,377
  • 당초예산 총계 기준
  • 통합재정규모 = 지출(경상지출+자본지출) + 순융자(융자지출-융자회수)
  • 통합재정수지 1 = 세입(경상수입 + 이전수입 + 자본수입) - 통합재정규모
  • 통합재정수지 2 = 세입(경상수입 + 이전수입 + 자본수입) - 통합재정규모 + 순세계잉여금

통합재정수지 연도별 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의 통합재정수지 연도별 현황표입니다.
구 분 2017 2018 2019 2020 2021
통합재정수지 1 -13,455 -8,565 -8,246 -12,124 -14,838
통합재정수지 2 3,689 5,823 5,678 778 -1,951

통합재정수지 1은 세입이 증가한 반면, 인건비 등 경상지출이 대폭 증가함과 동시에 재난관리기금의 코로나19 긴급생활안정자금 지원 및 지역발전사업기금의 최초 지출이 발생하면서 적자를 보였습니다. 통합재정수지 2의 경우 또한 순세계잉여금이 작년보다 소폭 감소하였으며, 동일한 사유로 수치가 다소 하락하였습니다.

재정운용계획

4-1. 중기지방재정계획

지방자치단체의 발전계획과 수요를 중・장기적으로 전망하여 반영한 다년도 예산으로, 효율적인 재원배분을 통한 계획적인 지방재정 운용을 위해 수립하는 5년간의 계획을 중기지방재정계획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수영구의 중기지방재정계획입니다.

연도별 재정전망

(단위 : 백만원, %)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합계, 연평균 증가율의 연도별 재정전망표입니다.
구 분 2021 2022 2023 2024 2025 합 계 연평균
증가율
세 입 397,639 399,749 396,478 403,753 414,955 2,012,574 1.1%
자체수입 68,344 68,724 68,183 69,045 70,858 345,154 0.9%
이 전 수 입 277,963 279,044 287,524 287,810 291,008 1,423,349 1.2%
지방채 0 0 0 0 0 0 0%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51,332 51,982 40,770 46,898 53,090 244,071 0.8%
세 출 397,639 399,749 396,478 403,753 414,955 2,012,574 1.1%
경 상 지 출 102,777 99,980 104,652 113,314 119,902 540,625 3.9%
사 업 수 요 294,862 299,769 291,826 290,439 295,053 1,471,949 0%
  • 대상회계 : 일반회계, 특별회계(공기업, 기타), 기금
  • 연평균 증가율 = [(최종연도/기준년도)^(1/(전체연도 수 - 1))-1] × 100

4-2. 성인지 예산현황

  • 성인지예산은 예산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칠 영향을 미리 분석하여 예산을 편성하는 것으로, 예산을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점검하는 방법입니다.

    일례로 건물에 설치될 화장실 중 여성과 남성의 화장실 수를 분석하여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예산이 편성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불평등하다고 할 때 이를 조정하여 예산을 편성하는 방법입니다.

  • 성인지예산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편성운영하고 있으며, 아래의 표에서는 수영구의 2021년 성인지예산 대상사업, 소요예산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 개, 백만원)

    구분, 사업수, 예산액의 성인지 예산현황 목록표입니다.
    구분 사업수 예산액
    총 계 16 16,487
    양성평등정책추진사업 2 460
    성별영향분석평가사업 13 16,023
    자치단체 별도 추진사업 1 4

양성평등정책추진사업이란 ?

  • 여성가족부장관이 수립한 양성평등정책기
  • 성평등 문화예술 콘텐츠 확산, 여성노동자 역량강화 및 경력개발 지원 등이 해당됩니다.

성별영향분석평가사업이란 ?

성별영향분석평가란 법령·계획·사업 등 정부의 주요 정책을 수립·시행하는 과정에서 여성과 남성의 특성과 사회·경제적 격차 등의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평가함으로써 정부정책이 성평등 실현에 기여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자치단체 별도추진사업이란 ?

자치단체장의 공약사업 및 주력사업으로 성별 수혜분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사업, 성불평등 혹은 성격차 개선 가능성이 큰 사업

4-3. 주민참여 예산현황

  •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주민이 예산편성 등 예산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제도입니다. 주민참여예산은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따라 예산편성에 관한 주민의견 수렴, 주민제안사업 구체화 및 우선순위 결정 등으로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참여방법은 주민회의,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등 제도화 된 절차 또는 인터넷, 팩스, 우편 등을 통한 참여도 가능합니다.
  •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예산에 반영된 주민참여예산사업은 참여 방식과 참여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민제안사업(주민주도형‧주민참여형)과 일반참여예산사업으로 구분됩니다.

주민참여예산사업 구분기준

구분, 주민제안사업, 일반 참여예산사업의 주민참여예산사업 구분기준표입니다.
구분 주민제안사업 일반 참여예산사업
주민주도형 주민참여형
구분기준
  • 예산편성 한도 설정
  • 참여예산기구 또는 주민총회에서 사업 우선순위 결정
  • 예산편성 한도 미설정
  • 또는 한도가 있으나 참여예산기구의 사업 우선순위 결정 권한이 제한적
  • 주민제안사업이 아닌 사업 중 자치단체가 주민참여의 일정한 기준을 설정한 사업
    (注記)단, 다른 법령에 의한 참여절차는 제외
  • 단위·세부사업별 주민의견서 작성

다음은 수영구의 사업예산과 주민참여예산사업 규모입니다.

(단위 : 백만원)

사업예산규모(당초예산), 주민제안사업, 일반참여예산사업의 주민참여예산사업 규모표입니다.
주민참여예산 사업 규모 주민제안사업 일반참여예산사업
주민주도형 주민참여형
138.5 - 138.5 -

2021년 당초예산 기준

2021년 주민참여예산 세부내역

(단위 : 백만원)

구분, 부서명, 사업명, 예산반영액, 비고의 2019년 주민참여예산 세부내역 목록표입니다.
구 분 부서명 사업명 예산반영액 비고
총 액 140.7
주민참여형 주민제안사업 복지정책과 수영구 청소년 문화의집 청소년 문화체험 시설구축 20 신규사업
주민참여형 주민제안사업 가족행복과 유모차 살균소독기 설치 8
주민참여형 주민제안사업 자원순환과 남자 공중화장실 영유아 기저귀교환대 설치 3,9
주민참여형 주민제안사업 일자리경제과 주민쉼터조성(망미1동) 50
주민참여형 주민제안사업 망미1동 망미1동 주민센터 동아리방 (2,3층 시설 정비) 35
주민참여형 주민제안사업 일자리경제과 망미근린공원 걷기코스 바닥 정비 20
주민참여형 주민제안사업 일자리경제과 거리를 아름답게, 산길 끝 쪽 사고위험 방지 2.2
주민참여형 주민제안사업 총무과 공원 운동기구 교체-다리 뻗치기 (삼익비치아파트 ~ 남천마리나사이) 1.6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주민참여예산 반영결과 바로가기

4-4. 성과계획서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사업의 효율적 목표 달성을 위해 사업 목표, 성과지표 및 목표수준을 사전에 설정한 연도별 시행계획을 성과계획서라고 합니다.

성과계획서는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수립 운영하고 있으며, 아래의 표에서는 수영구의 2021년 성과계획서 목표수, 단위사업수, 예산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 개, 백만원)

실국명, 성과계획(전략목표수, 정책사업목표, 단위사업수), 예산액(예산액, 전년도예산액, 비교증감)의 성과계획서표입니다.
실국명 성과계획 예산액
전략 목표수 정책사업목표 단위사업수 예산액 전년도 예산액 비교 증감
개수 지표수
8 53 122 83 336,453 315,207 21,245
기획감사실 1 3 10 6 13,885 11,181 2,703
창조도시교육추진단 1 3 6 3 5,028 8,164 -3,137
총무국 1 13 33 22 64,627 62,465 2,162
복지환경국 1 23 47 33 224,189 197,179 27,010
안전도시국 1 8 17 14 14,857 23,877 -9,021
의회사무과 1 1 3 1 834 894 -59
보건소 1 1 3 3 9,564 8,478 1,086
도서관 1 1 3 1 1,022 685 337
동행정복지센터 0 0 0 0 2,448 2,284 164

4-5. 재정운용상황개요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운용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주요 재정지표 및 분석자료를 정리한 자료를 재정운용상황개요서라고 합니다.
재정운용상황개요서는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사회복지분야 예산 비율, 자체사업 및 보조사업의 비율, 인건비 비율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 %)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사회복지분야 예산비율, 자체사업비율, 보조사업 비율, 지방세와 세외수입의 총액 중 인건비의 비율의 재정운용상황개요서표입니다.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사회복지분야
예산비율
자체사업비율 보조사업 비율 지방세와 세외수입의
총액 중
인건비의 비율
18.83 34.98 61.16 17.48 65 69.45

당초예산, 일반회계 기준

4-6. 국외여비 편성현황

2021년도 국외출장 및 국외여비 편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세출예산총계(A), 국외여비 총액(B=C+D), 국외업무여비(C), 국제화여비(D), 비율(B/A)의 국외출장 및 국외여비 편성내역표입니다.
세출예산총계
(A)
국외여비 총액
(B=C+D)
국외업무여비
(C)
국제화여비
(D)
비율
(B/A)
336,453 81 41 40 0.02

일반회계, 특별회계 (202-03 국외업무여비, 202-04 국제화여비) (지방의회 국외여비 제외)

국외여비 연도별 현황

(단위 : 백만원, %)

구분, 연도별( 2017, 2018, 2019, 2020, 2021)의 국외여비 연도별 현황표입니다.
구분 연도별
2017 2018 2019 2020 2021
세출예산총계(A) 224,583 239,424 275,766 315,207 336,453
국외여비 총액 (B=C+D) 131 97 89 79 81
국외업무여비(C) 81 57 49 39 41
국제화여비(D) 50 40 40 40 40
비율 0.06% 0.04% 0.03% 0.03% 0.02%

국외여비 비율 유형 지방자치단체와 비교

국외여비 비율 유사지방자치단체와 비교확대보기

4-7. 행사·축제경비 편성현황

다음은 우리 수영구가 2021년 한 해 동안 구에서 주관하여 개최하고자 하는 행사와 축제의 운영비, 실비보상금 등을 편성한 내역입니다.

(단위 : 백만원, %)

세출예산액(A), 행사·축제경비(B), 비율(B/A), 비고의 행사·축제경비 편성현황표입니다.
세출예산액(A) 행사·축제경비(B) 비율(B/A) 비 고
332,065 1,587 0.48%
  • 대상회계 : 일반회계, 2021년 예산편성 내역 중 통계목별 총 금액의 합계 기재
  • 대상과목 : 행사운영비(201-03), 행사실비보상금(301-09), 민간행사사업보조(307-04), 행사관련시설비(401-04)

행사·축제경비 연도별 현황

(단위 : 백만원, %)

연도별(2017, 2018, 2019, 2020, 2021)의 행사·축제경비 연도별 현황표입니다.
구 분 연도별
2017 2018 2019 2020 2021
세출예산액 218,222 233,212 270,146 310,879 332,065
행사・축제경비 884 960 980 1,401 1,587
비율 0.40% 0.41% 0.36% 0.45% 0.48%

행사·축제경비 비율 유사 지방자치단체와 비교

행사·축제경비 비율 유사 지방자치단체와 비교확대보기

4-8. 업무추진비 편성현황

업무추진비는 업무추진비란 지방자치단체의 장 등이 기관을 운영하고 정책을 추진하는 등 공무를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우리 수영구의 2021년 업무추진비 편성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체장·부단체장 기관운영업무추진비

(단위 : 백만원, %)

단체장·부단체장 기관운영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표입니다.
기관운영 업무추진비 총액한도액(A) 기관운영 업무추진비 예산편성액(B) 총액한도액 대비 편성액 비율(B/A)
소계 단체장 부단체장 실국장 및 읍면동장 등 기타
187 174 54 41 79 93.22%

(注記) 2021회계연도부터 “실국장 및 읍면동장 등 기타” 예산금액이 추가되었습니다.

기관운영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

(단위 : 백만원, %)

단체장·부단체장 기관운영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표입니다.
2017 2018 2019 2020 2021
95 95 95 95 174

기관운영업무추진비 유형 지방자치단체와 비교

기관운영업무추진비 유형 지방자치단체와 비교확대보기

총액한도액 산출기준은 ‘2021년도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행정안전부)’을 참조하세요(http://lofin.mois.go.kr)

시책추진업무추진비

(단위 : 백만원)

시책추진업무추진비 기준액, 예산편성액, 비율현황표입니다.
시책업무추진비
기준액(A)
시책업무추진비
예산편성액(B)
기준액 대비 편성액
비율(B/A)
242 205 84.89%

시책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

(단위 : 백만원, %)

시책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표입니다.
2017 2018 2019 2020 2021
195 201 199 201 205

기관운영업무추진비 유사 지방자치단체와 비교

행사·축제경비 비율 유사 지방자치단체와 비교확대보기

기준액 산출기준은 ‘2020년도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행정안전부)’을 참조하세요(http://lofin.mois.go.kr)

4-9. 지방의회 관련경비 편성현황

우리 수영구의 2021년 지방의회 관련경비 편성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시책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표입니다.
지방의회 관련경비
총액한도액(A)
지방의회 관련경비 예산편성액(B) 총액한도액 대비 편성액 비율(B/A)
소계 의정운영
공통경비
의회운영
업무추진비
의원
국외여비
의원역량
개발비
(민간위탁)
174 175 51 67 44 13 100.34%

지방의회 관련경비 연도별 편성현황

(단위 : 백만원, %)

지방의회 관련경비 연도별 편성현황표입니다.
2017 2018 2019 2020 2021
126 143 164 170 175

지방의회 관련경비 유형 지방자치단체와 비교

행사·축제경비 비율 유사 지방자치단체와 비교확대보기

총액한도액 산출기준은 ‘2021년도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행정안전부)’을 참조하세요(http://lofin.mois.go.kr)

4-10. 지방보조금 편성현황

우리 수영구의 2020년 지방보조금 편성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방자치단체가 민간 등이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사업에 대하여 자체재원으로 개인 또는 단체 등에 지원하는 경비

(단위 : 백만원, %)

지방의회 관련경비 연도별 편성현황표입니다.
총한도액(A)* 예산편성액 총한도액 대비
편성액 비율(B/A)
한도 내(B) 한도 외**
1,984 1,199 1,199 0 60.44%

* 총한도액 산출기준은 ‘2021년도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행정안전부)’을 참조하세요(http://lofin.mois.go.kr)

** 일자리 직접 연계된 사업 및 균형발전특별회계 국고보조사업 지방이양사업, 국제행사 및 전국(시‧도)단위 정기적인 순회 행사 등은 총한도액 대상에서 제외

지방보조금 연도별 편성현황

(단위 : 백만원)

지방의회 관련경비 연도별 편성현황표입니다.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811 896 838 1,135 1,199
한도 내 0 0 0 0 1,199
한도 외 0 0 0 0 0

(注記) 작성대상 : 민간경상사업보조, 민간단체법정운영비보조, 민간행사사업보조, 사회복지시설법정운영비보조, 사회복지사업보조, 민간자본사업보조

(注記) 대상회계 : 일반 + 기타특별회계

유형 지방자치단체와 지방보조금 비교

행사·축제경비 비율 유사 지방자치단체와 비교확대보기

총액한도액 산출기준은 ‘2020년도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행정안전부)’을 참조하세요(http://lofin.mois.go.kr)

4-11. 1인당 기준경비 편성현황

건전한 지방재정운용과 자치단체간 균형을 확보하기 위해 「자치단체 예산편성 운영기준(행안부 훈령)」에서 공무원 맞춤형복지제도 시행경비, 공무원 일‧숙직비, 통장·이장·반장 활동보상금 등에 대한 기준경비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우리 수영구의 기준경비에 대한 1인당 예산편성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명)

지방의회 관련경비 연도별 편성현황표입니다.
항목별 대상인원
(A)
총 예산편성액
(B)
1인당 편성액
(B/A)
맞춤형복지제도시행경비 853 1,423,590 1,669
공무원 일‧숙직비 1,730 103,800 60
통장이장반장 활동보상금 228 1,073,040 4,706

2021년 우리구 1인당 기준경비 편성 현황은 2020년 예산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나 통·반 설치조례개정에 따른 점진적 반장 위촉해제로 통장·이장·반장 대상인원이 전년대비 대폭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활동보상금 1인당 편성액이 전년대비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재정운용성과

5-1. 보통교부세 자체노력 반영현황(세출 효율화)

우리 수영구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5-2. 보통교부세 자체노력 반영현황(세입확충)

우리 수영구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5-3. 지방교부세 감액 현황

우리 수영구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5-4. 지방교부세 인센티브 현황

2021년에 우리 수영구가 지방세외수입 혁신 등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어 지방교부세가 증액된 현황입니다.

2021년 지방교부세가 증액된 현황
증액 사유 평가분야와 성적 지방교부세
증액금액
합 계 90
지방세외수입 혁신 지방세 세외수입 혁신 최우수단체 40
재정분석 우수 지방재정분석 효율성 우수 50

예산의 효율적인 사용 등과 관련하여 행안부 등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지방교부세가 증액된 경우

재정용어 해설

부산시 재정공시

부산시 재정공시 바로가기

예산낭비신고센터

예산낭비신고센터 바로가기
  • 담당부서 : 기획감사실
  • 연락처 : 051-610-4021
  • 최종수정일 : 2022年02月28日
만족도 영역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