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산성화 - 해양산성화
※(注記) 국립수산과학원 자료 제공 시 업데이트
국내 해역별 표층 pH 월평균 편차
정선해양관측지점의 2015~2018년까지 4, 8, 10월 해역별 표층 pH 월평균 편차 그래프이다. 관측 기간이 짧아 경향이 뚜렷하게 보이지는 않으며, 지속적인 관측이 필요하다.
※(注記) 표층 pH 편차 : 표층 pH의 연간 변화 관찰을 위해 pH 측정값에서 평균적인 계절적 변동을 보정한 값 (pH 측정값 – 관측기간 해당 월 pH 평균값)
※(注記) 정선해양관측지점 : 동해(102, 103, 104, 105, 106, 107, 208, 209), 남해(203, 204, 205, 206, 207, 313, 314, 400), 서해(307, 308, 309, 310, 311, 312)
동해
남해
서해
국내 해역별 표층 pH, 이산화탄소의 대기 농도 및 해양 분압
국립수산과학원 정선해양관측지점의 2015~2018년까지 4, 8, 10월 해역별 표층 pH, 이산화탄소분압 월평균값과
기상청 안면도(1999~2020), 고산(2012~2020), 울릉도(2014~2020) 기후변화감시소에서
관측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월평균 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국내 세 관측 지점에서 이산화탄소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세 해역에서 대체적으로 표층 이산화탄소분압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이에 따라
표층 pH 농도도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산화탄소분압과 pH는 관측기간이 짧고,
계절에 따른 값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남에 따라 지속적인 관측이 필요하다.
※(注記) 정선해양관측지점 : 동해(102, 103, 104, 105, 106, 107, 208, 209), 남해(203, 204, 205, 206, 207, 313, 314, 400), 서해(307, 308, 309, 310, 311,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