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메인로고

종합 기후변화감시정보

이산화탄소 - 국내외 연월평균농도

대기(대기조성) > 이산화탄소 > 국내외 연월평균농도

(注記) '25.08. 최신정보 수정 / '26.08. 다음 업데이트 예정


국내 이산화탄소 월평균농도

(注記) 범례 클릭 시 그래프 추가·삭제할 수 있으며, 그래프 위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하면 확대 가능합니다.



국내 이산화탄소 월평균농도 | 안면도(1999~2024), 고산(2012~2024), 울릉도(2014~2024), 독도(2014~2024)의 이산화탄소 농도 월평균 자료로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계절변동을 보이며, 모든 지점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注記)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출처) 국립기상과학원



국내외 이산화탄소 연평균농도



전지구(1984~2023), 안면도(1999~2024), 고산(2012~2024), 울릉도(2014~2024), 독도(2014~2024)의 연평균 이산화탄소 농도이다.
2023년 이산화탄소 연평균농도는 전지구 420.0 ppm으로 산업화(1750년대) 이전(278.0 ppm) 대비 약 51.1% 증가했다. 안면도는 2024년 430.7 ppm으로 1999년 369.2 ppm 보다 61.5 ppm 증가했다.
최근 10년동안 안면도 이산화탄소 농도의 연평균 증가량은 2.7 ppm/연으로 전지구(2.4 ppm/연)보다 높은 수준이다.
안면도와 고산에서 각각 2012년, 2013년에 처음으로 연평균 농도가 400 ppm을 돌파하였으며, 모든 지점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注記) 일부 누락된 자료는 장비 수리, 점검 등에 의한 결측임.



(출처) 전지구: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출처) 국내자료: 국립기상과학원



국내외 이산화탄소 월평균농도



전지구(1984~2023), 안면도(1999~2024), 마우나로아(1974~2024), 케이프그림(1981~2023), 료리(1987~2024)의 월평균 이산화탄소 농도이다.
전지구 이산화탄소의 월평균농도는 2015년에 400 ppm을 돌파하였고, 2023년 12월 값은 422.5 ppm으로 전지구와 각 지점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출처) 전지구: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출처) 국외자료: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출처) 국내자료: 국립기상과학원



국내외 이산화탄소 절대증가값



전지구(2000~2023)와 안면도(2000~2024)의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의 전년대비 증가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2022년~2023년도 사이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값은 전지구 2.3, 안면도 2.6 ppm/연으로 안면도에서의 이산화탄소 증가값이 더 크다.



(注記) 절대증가값 = 올해 연평균값 - 전년도 연평균값



(출처) 전지구: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WDCGG)
(출처) 안면도: 국립기상과학원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