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보기
기상레이더센터
알람
로고
레이더정보
레이더 정보
행정정보
행정정보

지식마당

에코종류

넓은 영역에서 시간당 10mm 미만의 강수에코가 관측됨

넓은 지역에서 보통 강도의 강수 현상을 보임. 눈이 낙하하면서 0°C 기온고도층을 통과하여 레이더 반사율이 높은 물방울로 녹으면서 반사도가 강한 밝은 띠 (Bright Band)가 관측되는 경우가 많음.

NQCM 2011年03月10日.07:00(KST)

Bright Band (밝은 띠) 특성

  1. 1강설입자가 낙하하는 동안 0°C고도를 통과하면서 녹기 시작함.
    1snow with a water coat bright band
  2. 2강설입자의 표면이 물로 덥히고 물은 얼음보다 전자파를 약 9배 더 많이 반사함.
    2snow with a water coat bright band
  3. 30°C 고도 부근에서 고리 형태의 강한 반사도가 나타나며, 이 고리 형태를 Bright Band라고 함.
    3snow with a water coat bright band
영직단면

< 연직단면 >

서울, 경기도, 강원도 북부 지방을 중심으로 뇌전과 함께 시간당 최대 30mm 이상의 강한 강수 현상이 나타남.

한랭전선 전면에서 줄을 서는 모양으로 탐지되거나, 뇌전을 동반하거나 우박을 포함한 잘 발달한 대류운에 의한 에코

  • cappi 1.5km 2011年04月30日 레이더 합성영상

    < 2011. 04. 30. 레이더 합성영상 >

  • cappi 1.5km 2011年07月27日 레이더 합성영상

    < 2011. 07. 27. 레이더 합성영상 >

산이나 건물 등 지표면의 고정물체에 의한 에코로써 대류성 에코와 그 모양이 유사하지만 움직이지 않음

지형 에코(Ground echo)의 발생원리

  • 레이더 빔의 부방사부가 저고도각에서 레이더부근의 지형, 건물 등에 반사되어 나타남.
  • 지형 에코는 레이더에서 가까운 거리에서 주로 나타남.
  • 과대굴절에 의해서 레이더 빔에 표준상태보다 더 많이 굴절하면서 멀리 있는 지형까지 탐지하게 되어 지형 에코가 더 많이 관측될 수 있음.
  • 오성산 레이더 PPI 0.0도 고도각 (좌) DZ(보정 전 반사도), (우) OZ(보정 후 반사도)

    [ 오성산 레이더 PPI 0.0도 고도각 (좌) DZ(보정 전 반사도), (우) OZ(보정 후 반사도) ]

대기중에 전파굴절률의 변화가 심한 곳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김.그 모양은 반점의 집합, 넓고 밝은 선, 층상 에코와 유사한 모양 등.

이상굴절 에코(Anomalous Propagation) 발생원리

고도에 따라 습도가 감소하거나 기온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대기(기온 역전층)에서 발생, 레이더빔이 평균적인 대기에서보다 지표면 쪽으로 과다굴절 현상
  • 고도에 따라 습도가 급격히 감소하거나 기온이 급격히 높아지는 대기(기온 역전층)에서 발생
  • 레이더 빔이 평균적인 대기에서보다 지표면 쪽으로 과대굴절
    • → 육지에서 보통 때 관측되지 않는 산이나 언덕에 레이더 에코로 탐지
    • → 해상에서도 자주 발생

이상굴절 에코 사례

2011년 4월 26일 레이더 반사도 합성영상

  • cappi 1.5km 2011年04月30日 레이더 합성영상

    < 2011. 04. 26. 04:00 레이더 반사도 합성영상 >

  • cappi 1.5km 2011年07月27日 레이더 합성영상

    <2011. 04. 26. 16:00 레이더 반사도 합성영상 >

2011년 4월 26일 고산 레이더 반사도, 시선속도 PPI 영상

  • cappi 1.5km 2011年04月30日 레이더 합성영상

    < 2011. 04. 26. 04:01 반사도 >

  • cappi 1.5km 2011年07月27日 레이더 합성영상

    < 2011. 04. 26. 16:00 레이더 반사도 합성영상 >

2011년 4월 26일 고산 레이더 반사도, 시선속도 PPI 영상

  • cappi 1.5km 2011年04月30日 레이더 합성영상

    <2011. 04. 26. 04:01 반사도 >

  • cappi 1.5km 2011年07月27日 레이더 합성영상

    < 2011. 04. 26. 16:00 레이더 반사도 합성영상 >

  • cappi 1.5km 2011年07月27日 레이더 합성영상

    < 2011. 04. 26. 04:01 시선속도 PPI 영상 >

  • cappi 1.5km 2011年07月27日 레이더 합성영상

    < 2011. 04. 26. 16:00 시선속도 PPI 영상 >

전파가 해면에 반사되어 나타나는 에코로써 파도가 높을 때나 파의 진행전면이 급경사이면 전파가 수면과의 입사각이 적어지므로 잘 나타남.

넓은 영역에서 시간당 10mm 미만의 강수에코가 관측됨

  • 레이더 빔의 부방사부가 파도에 부딛혀서 되돌아온 에코
  • 파도가 높을수록 반사도가 강하게 나타남.
ppio 2011年01月17日.10:20(KST)

파랑에코의 특징

  • 파랑에코가 나타나는 형태는 해수면에 대한 레이더 빔의 입사각
    • → 해면 상태 즉 파도가 치는 강도, 파도의 진행방향, 풍속, 레이더의 특성과 관련
  • 반사도 강도는 해상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 30dBZ 이상까지도 나타난다.
  • 파랑에코는 일반적으로 첫번째 고도각에서 나타나지만 두번째 고도각까지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 2011. 02. 09. 07시 구덕산 레이더 PPI 영상 (좌) 0.0도, (우) 0.78 고도각

    < 2011. 02. 09. 07시 구덕산 레이더 PPI 영상 (좌) 0.0도, (우) 0.78 고도각 >

레이더의 최대관측거리 밖에 위치한 목표물이 관측되어 최대관측사거리 안에 있는 것처럼 표출되는 비정상적인 에코

파랑에코(Sea echo) 발생원리

  • 레이더 수신기가 열려있는 시간 동안 목표물에 부딪혀 돌아올 수 있는 최대거리까지만 관측
  • 최대거리보다 멀리 있는 목표물로부터 온 에코가 마치 최근에 도달한 에코처럼 레이더 스코프에 표시
  • 2번 에코의 실제거리 = 최대관측거리 240 km + 스코프상의 거리 20 km

    <2번 에코의 실제거리 = 최대관측거리 240 km + 스코프상의 거리 20 km >

이착에코의 특징

  • 에코가 레이더 빔 방향으로 가늘고 길면서 빗살 모양으로 나타남.
  • 에코 모양이 뚜렷하지 않고, 반사도가 보통 낮게 나타남.
  • 에코의 연직단면을 보면 에코 최고점이 불규칙하게 나타남.
  • 레이더의 고도각을 높이면 에코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음.
  • 진도 레이더의 이착에코 사례 최대 : 관측거리 (좌) 249 km, (우) 480 km

    < 진도 레이더의 이착에코 사례 최대 : 관측거리 (좌) 249 km, (우) 480 km >

일출, 일몰 시간에 선 형태로 나타나는 에코

태양섬광 에코(Sun store echo) 특징

일출이나 일몰시간 태양의 고도각이 낮을 때 레이더 빔에 태양에너지가 관측되어 나타나는 에코
레이더 관측영역의 중심에서부터 가장자리까지 좁은 영역으로 나타남.

  • 2011. 01. 01. 17:20 합성영상

    < 2011. 04. 26. 04:00 레이더 반사도 합성영상 >

  • 2011. 12. 30. 07:50 합성영상

    <2011. 04. 26. 16:00 레이더 반사도 합성영상 >

군사목적으로 항공기에서 살포하는 채프에 의한 에코

채프 에코 (Chaff echo) 특징

  • 상대편 레이더에 탐지되어 공격의 대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
  • 작은 알루미늄 금속 조각, 유리섬유나 합성수지에 금속을 증착시켜 만듬.
  • 전파의 파장에 맞춰 일정한 길이로 잘라서 채프 카트리지에 넣어 발사
  • 채프의 길이가 레이더파장의 절반일 때, 반사율이 좋음.
  • 군사목적으로 살포된 항공기의 채프가 기상레이더에 에코로 탐지
    • → 기상실황감사 및 정량적 강수량 추정 오류, 수치모델입력자료 혼란 초래
    • 채프의 미사일 교란개념

      < 채프의 미사일 교란개념>

    • 채프와 플레어 살포

      <채프와 플레어 살포>

채프 에코 (Chaff echo) 특징

  • 처음 고도 4~8 km 에서 점 모양, 시간이 지나면서 풍향을 따라 확산
  • 확산시간 : 4~6시간 (최대 8시간)
  • 확산크기 : 초기 5~15 km, 좁고 길게 확산 (수십 km x 수백 km)
  • 반사도 : 초기 35~50 dBZ → 점차 감소 10 ~ 30 dBZ
  • 확산거리 : 약 200km (최대 340 km), 강한 반사도에도 불구하고 지상에서 강수가 관측되지 않음.
  • 채프에코 풍향 확산 거리 이미지

채프 에코 (Chaff echo) 특징

  • 지속시간 : 약 7시간, 발생 4시간 후 수평거리 약 215 km 최대 풍향 거리

    • 5월 16일 10:00부터 11:00까지 발행후 수평거리 약 215km 까지

      < 2010년 5월 26일 10:00 ~ 11:00 영상 >

전파간섭에 의한 선형 또는 나선형 모양의 에코

전파간섭 에코(Interference echo) 특징

  1. 레이더 빔이 다른 전파의 방해로 인해 나타나는
    에코
  2. 보통 PPI 영상에 점섬으로 나타나거나 짧은 파선이나
    나선 형태
  3. 간섭이 심한 경우 거의 직선 형태로 강하게 나타나기도
    함.
  4. 2011. 01. 07 10:00 관악산 개별영상

    < 2011. 01. 07 10:00 관악산 개별영상 >

  5. 2011. 03. 29. 18:00 영상

    < 2011. 03. 29. 18:00 영상 >

  6. 2011. 03. 30. 12:00 영상

    < 2011. 03. 30. 12:00 영상 >

새,곤충에 의한 에코

생물학적 에코(Biologica echo)

조류 에코

  • 별매

    < 별매 >

  • 진도 레이더 반사도 PPI 영상

    <진도 레이더 반사도 PPI 영상>

기상레이더센터

우) 07062 서울시 동작구 여의대방로 16길 61 (신대방 2동 460-18), 대표전화 (02) 2181-0831

COPYRIGHT c 2019 WEATHER RADAR CENTER ALL RIGHTS RESERVED.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