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뢰관측장비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기상청은 1987년에 LLP(Lightning Location and Protection) 시스템을 도입,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낙뢰현상을 관측해 예보업무에 활용하여 왔으나, 장비 노후화 등의 문제로 2001년 10월 IMPACT・LDAR II(Improved Accuracy from Combined Technology. Lightning Detection And Ranging II)시스템을 도입・운영하였다. 기존의 LLP 시스템에 비해 IMPACT・LDAR II시스템은 방전현상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구름방전을 관측할 수 있었다. 현재 기상청에서 운영 중인 LINET(LIghtning NETwork) 낙뢰관측시스템은 2014년에 독일의 nowcast사로부터 도입된 장비로, 하나의 센서가 대지방전과 구름방전을 모두 관측할 수 있다. 낙뢰의 발생시각, 위치, 강도, 극성 등의 낙뢰관측자료는 시각화되어 홈페이지와 모바일 웹 서비스를 통하여 국민에게 제공되고 있다.
□しろいしかく 기상청 낙뢰관측망 개요
○しろまる 장 비 명 : LINET(LIghtning Detection NETwork) 시스템
○しろまる 장비구성 : 센서 21조, 통합자료처리시스템 2조, 스토리지시스템 등
○しろまる 관측요소 : 낙뢰의 발생시각, 위치, 극성(+,-), 강도, 고도 등
○しろまる 탐지방식 : TOA(Time Of Arrival, 도달시간차 분석 방식)
○しろまる 기상청 낙뢰관측장비 관측망 현황: 총 21개소(기준일 2023年9月25日.)
    - 전국 21개소에 설치하여 운영 중임
: 간성, 백령도, 춘천, 파주, 대관령, 울릉도, 인천, 울진, 충주, 서해기지, 보령, 추풍령, 포항, 거창, 고창, 부산, 여수, 흑산도, 완도, 제주, 서귀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