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5년 대표누리집 (하반기) 만족도 조사 2025년 대표누리집 만족도 조사

감염병

contents area

공항만 오하수 코로나19 변이 감시

detail content area

공항만 오하수 코로나19 변이 감시

  • 코로나19 등 해외 감염병 유입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전국 13개 검역소의 공항만 검역구역 내 운송수단(항공기, 선박) 및 하수집하장의 오하수에 대한 병원체 검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전장유전체 분석을 통해 변이 유행 현황을 파악하고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신규 변이를 감시하고 있다.
하단내용 참조
  • 인천공항검역소
    • 하수(공항)
    • 오수(항공기)
  • 인천검역소
    • 하수(항만)
    • 오수(선박)
  • 평택검역소
    • 하수(항만)
    • 오수(항공기)
  • 군산검역소
    • 하수(항만)
    • 오수(선박)
  • 목포검역소
    • 하수(공항/항만)
    • 오수(항공기)
  • 제주검역소
    • 하수(공항/항만)
    • 오수(항공기)
  • 여수검역소
    • 하수(항만)
  • 마산검역소
    • 하수(항만)
    • 오수(선박)
  • 김해공항검역소
    • 하수(공항)
    • 오수(항공기)
  • 부산검역소
    • 하수(항만)
    • 오수(선박)
  • 울산검역소
    • 하수(항만)
  • 포항검역소
    • 하수(공항)
    • 오수(항공기)
  • 동해검역소
    • 하수(공항/항만)
    • 오수(선박)

공항만 오하수 코로나19 변이 감시 결과(10월 기준)

  • 10월 기준, 공항만 하수 검체는 NB.1.8.1이 62.5%로 가장 높은 점유율 차지하며 PQ.2의 지속 증가세 확인됨. 반면, 항공기·여객선 오수 검체에서는 XFG가 75.0%로 가장 높은 점유율 확인.
국내감염 코로나19바이러스 세부계통 현황을 나타낸 표로 분석주차,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XBB.1.8.1, PQ.2, XFG, XFW, XFC, 기타]로 구성
구분 오미크론 세부계통 점유율(%)
NB.1.8.1 PQ.2 XFG XFW XFC
공항만 하수 62.5 22.5 12.5 2.5 0.0
항공기>·>여객선 오수 16.7 4.2 75.0 0.0 4.2
국내감염 코로나19바이러스 세부계통 현황을 나타낸 표로 분석주차,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XBB.1.8.1, PQ.2, XFG, XFW, XFC, 기타]로 구성 공항만 오하수 코로나19 변이 감시 결과 현황을 나타낸 표로 변이 바이러스, 유행상황, 위험성으로 구성
변이 바이러스 유행상황 위험성
NB.1.8.1(XDV세부계통) ’25.1월 영국에서 첫 검출 후,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행 중 면역회피능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공중보건 위험성과 중증도 증가 관련성 없음(WHO, LP.8.1 초기위험도 평가, ‘25.5.25)
PQ.2(NB.1.8.1세부계통) ‘25.3월 홍콩 첫 검출 후, 일부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유행 중 상위 세부계통인 NB.1.8.1과 동일한 S(Spike) 단백질을 보유하고 있어, 유사한 면역회피능을 보유할 것으로 예측됨
XFG(JN.1재조합변이) ’25.1월 캐나다에서 첫 검출 후,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행 중 면역회피능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공중보건 위험성과 중증도 증가 관련성 없음(WHO, XFG 초기위험도 평가, ‘25.6.25)

XFW(JN.1재조합변이)

’25.1월 인도네시아에서 첫 검출 후, 전 세계적인 점유율 낮게확인

중증도 증가 관련 보고는 없음

XFC(JN.1재조합변이)

’24.12월 미국에서 첫 검출 후, 전 세계적인 점유율 낮게 확인

중증도 증가 관련 보고는 없음

(注記) 각 채취 지점의 우세 세부계통으로 해당 월의 점유율을 산출함. 공항만 오하수는 출발국가의 변이 현황을 반영하는 결과로 국내 변이 유행 상황과는 다름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