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부24

로그인
정부24

접속 대기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시면 해당 페이지로 자동 접속됩니다.

대기시간 이미지

예상대기시간



--:--:--
(注記) 재접속하시면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정부24

서비스 접속이 차단 되었습니다.

현재 접속하신 아이피에서는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정부24

서비스 접속이 불가합니다.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フレーム]
이전페이지

중소벤처기업부

기관정보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벤처기업중심의 경제구조로 전환될수있도록 중소벤처기업이 일자리 창출과 소득주도 성장을 하기위해 앞장서겠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 조직도, 직원검색, 기관장, 누리집(홈페이지), 주소,, 대표전화 등 기본적인 정보 제공
조직도
직원검색
장관 한성숙
차관 노용석
누리집(홈페이지) http://www.mss.go.kr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가름로 180 세종파이낸스센터 3차 / 우 30121 지도
대표전화 국번없이 1357
[画像:한성숙]

한성숙

장관

  • 경력
    • 2025. 7. ~(現)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 2025. 4.네이버(주) 고문
    • 2022. 3.네이버(주) 유럽사업개발 대표
    • 2017. 3.네이버(주) 대표이사
    • 2017. 3.(사)한국인터넷기업협회장(12대, 13대)
    • 2015. 1.네이버(주) 서비스 총괄이사
    • 1997. 4.(주)엠파스 검색서비스본부장
    • 1996. 3.한경피씨라인 기자
    • 1989. 5.(주)민컴 기자
[画像:노용석]

노용석

차관

  • 경력

    2025.7. ~ (現)중소벤처기업부 차관
    2025. 2. ~ 2025. 7.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정책실장
    2024. 2. ~ 2025. 2. 중소벤처기업부 정책기획관
    2023. 1. ~ 2023. 11.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교육훈련
    2022. 6. ~ 2022. 12.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정책관
    2021. 7. ~ 2022. 6.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정책관
    2020. 1. ~ 2021. 7.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성장정책관
    2017. 8. ~ 2019. 8. 대통령비서실 중소벤처비서관실 선임행정관
    1997. 제41회 행정고시

기관소식

  • 회복에 이어 성장을 위한 시즌2 릴레이 간담회 개최 - '소상공인 성장'을 주제로 중기부 정책방향 및 KDI 주제발표에 이어, 각계 전문가 및 소상공인 등과 패널토론 진행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20일(목) 서울 강남구 씨스퀘어에서 '소상공인 성장'을 주제로 하는 제1차 릴레이 간담회(이하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제1차 릴레이 간담회 개요 】 · 일시 : 2025. 11. 20.(목), 16:00~17:30 · 장소 : 서울 씨스퀘어(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326 컬쳐랜드타워 1층) · 참석자 : 중기부 장관, 소상공인연합회 회장, 도시형소공인연합회 회장, 민간 전문가, 일반 소상공인 등 · 주요내용 : 소상공인 성장 관련 주제 발표 이후 패널토론 및 Q&A 이번 간담회는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 '소상공인 회복과 안정'을 주제로 한 릴레이 간담회에 이어, '소상공인 성장'을 주제로 향후 정책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행사에는 소상공인연합회 회장 및 도시형소공인연합회 회장, 디지털·AI 및 지역상권 전문가, 청년 상인 및 글로컬상권 창출팀 대표 등이 패널 토론자로 참석하였으며, 성장에 관심이 있는 일반 소상공인 30여명도 함께 배석했다. 간담회의 첫 순서로는 중기부에서 소상공인 성장정책 방향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중기부 설명 이후에는 KDI 이진국 선임연구위원이 「소상공인 성장의 선순환 구조 구축방향」을 발제했다. 소상공인의 현황과 경제적 중요성을 짚고, 소상공인 업계가 마주하고 있는 과밀·양극화·생산성 저하 등의 구조적 문제와 향후 소상공인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 등에 대해 발표했다. 이후, '소상공인 성장정책 방향'을 주제로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이날 참석한 김지영 교수는 소상공인 디지털·AI 전환을 위해 교육·도입·활용·성과관리까지 상시적 지원 체계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류태창 교수는 성장을 위한 상권 데이터 활용 필요성에 대한 의견 등을 개진했다. 이어서 진행된 Q&A 세션에서는 성장가능성이 있는 소상공인 구분을 통한 집중 지원, 실습형 AI 교육의 다각화 필요 등 다양한 질문과 패널들의 답변이 이어졌다. 오늘 간담회를 시작으로, 중기부에서는 향후 디지털·AI 전환, 청년, 로컬·글로벌, 지역상권, 소공인 등 다양한 주제의 릴레이 간담회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소상공인 성장의 정책방향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간담회에서 한성숙 장관은 "지난 10회의 간담회가 당면위기 극복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희망의 메시지가 필요한 때"라면서, "향후 이어질 릴레이 간담회를 통해, 소상공인 성장을 위한 청사진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첨부파일1251120_회복에_이어_성장을_위한_시즌2_릴레이_간담회_개최(소상공인정책과).hwpx첨부파일2251120_회복에_이어_성장을_위한_시즌2_릴레이_간담회_개최(소상공인정책과).pdf
  • 미래를 다시 쓰는 시간, '컴업(COMEUP) 2025' 시작을 알리다 -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국내외 혁신 스타트업, 투자자, 글로벌·대·중견기업 등이 참여하는 스타트업 페스티벌 개최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20일(목) 서울 글로벌스타트업센터(GSC)에서 '컴업 2025 미디어데이'를 개최하고, 오는 12월 10일(수)부터 12일(금)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2025'의 시작을 알렸다. 2019년 시작한 '컴업(COMEUP)'은 국내외 스타트업 생태계 관계자가 모여 소통·교류하는 장으로, 2024년에는 역대 최대인 45개국 150여개 해외 스타트업이 참여하는 등 글로벌 행사로 자리매김하였다. 올해 7번째를 맞는 행사의 슬로건은 'Recode the Future'로, 스타트업이 그간의 혁신적인 기술과 도전 정신을 바탕으로 산업·국가 간 경계를 넘어 미래를 새롭게 만들어간다는 의미를 담았다. 테크, 글로벌, 기업가 정신을 세부 주제로 하여 컨퍼런스, 전시, IR, 오픈이노베이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주요 연사로는 사우디 국영 AI 기업인 휴메인의 CEO 타렉 아민, 리벨리온 박성현 대표 등이 참여한다. 올해 컴업의 가장 큰 첫 번째 특징은 국내 스타트업과 글로벌 투자자·대기업 간의 실질적인 협력 및 투자유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는 점이다. 특히, 글로벌 VC, CVC 및 액셀러레이터까지 폭넓게 초청하여 국내 유망 스타트업에 글로벌 투자자와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사전·자율매칭을 통한 1:1 밋업, 투자자 부스 운영, 유망기업 벤처투자 설명회 연계를 통해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지원을 강화한다. 글로벌기업과 국내 대·중견기업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에 메르세데스 벤츠, 현대자동차, 엔비디아, NHN 등 35개사가 참여하여 전시부스 운영, 스타트업과의 협업 사례 공유, 1:1 밋업 등을 진행한다. 두 번째, 해외 국가 참여가 확대되었다. 2024년 UAE 등 4개국에서 국가관을 설치한 데 이어 올해는 사우디아라비아, 인도, 일본, 캐나다 등 7개국에서 국가관을 운영한다. 또한 호주, 앙골라, 시에라리온 등 3개국이 신규 참여하여 각국의 스타트업이 전시, IR, 컨퍼런스, 네트워킹 이벤트 등 컴업의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계획이다. 세 번째, 사회적 가치와 혁신을 추구하는 소셜벤처 스타트업 특화 세션을 마련하였다. 식스티헤르츠 김종규 대표 등 3명의 창업가가 연사로 나서 기후 위기라는 사회적 문제를 혁신 기술로 해결해가는 창업가들의 여정을 공유한다. 또한 소풍벤처스, 임팩트재단 등 임팩트 투자사도 현장 부스를 운영하며 소셜벤처 등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홍보담당관글ᄅ 네 번째, 학생 등 일반 참관객을 위한 프로그램을 강화하였다. 창업에 대한 관심도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가와 함께하는 행사장 가이드 프로그램 '컴업 도슨트 투어'를 진행하고, B2C 스타트업 제품을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는 '컴업 플리마켓'도 운영한다. 행사 마지막 날인 12일(금)에는 서울대 등 국내·외 6개 대학의 8개 창업팀이 참여하는 창업 아이디어 발표, 기초 창업 세미나를 진행해 미래 창업 인재를 발굴·육성할 계획이다. 다섯 번째, 컴업 본행사 외에도 다양한 연계 행사를 마련하였다. AI 스타트업에 실증 기회를 제공하는 'OpenData X AI 챌린지 개막식', 10개 부처 합동 창업경진대회 '도전!K-스타트업 2025 왕중왕전', 올해 최고의 외국인 창업팀을 가리는 '2025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 데모데이' 등이 컴업 행사장 내에서 펼쳐져 더욱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중기부 한성숙 장관은 "일상의 변화를 이끄는 딥테크 혁신에서 산업 분야와 국가의 경계를 넘는 글로벌 확장, 사회 전반에 퍼지는 기업가정신까지, 스타트업이 새롭게 다시 써내려가는 미래를 컴업 2025에서 보여드리겠다. 컴업 2025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컴업 2025는 창업 생태계에 관심있는 누구나 참여가능하며, 참가 사전 등록은 12월 8일까지 컴업 누리집(comeup.org)에서 할 수 있다. 첨부파일1251120_"미래를_다시_쓰는_시간",_‘컴업(COMEUP)_2025’_시작을_알리다(글로벌창업팀).hwpx첨부파일2251120_"미래를_다시_쓰는_시간",_‘컴업(COMEUP)_2025’_시작을_알리다(글로벌창업팀).pdf

소속기관 (16)

  • 강원지방중소벤처기업청
  •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
  •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 대전·세종지방중소벤처기업청
  •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
  • 강원지방중소벤처기업청
  •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
  •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 대전·세종지방중소벤처기업청
  •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
  •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충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펼쳐보기 접기

유관기관 및 단체 (16)

  •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 (재)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 기술보증기금
  •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 사단법인한국산학연협회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신용보증재단중앙회
  • 주식회사공영홈쇼핑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중소기업중앙회
  •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 (재)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 기술보증기금
  •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 사단법인한국산학연협회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신용보증재단중앙회
  • 주식회사공영홈쇼핑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중소기업중앙회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창업진흥원
  • 한국벤처투자
  • 한국여성경제인협회
  • 한국중소벤처기업유통원
펼쳐보기 접기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