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EN. 생명에 대한 깊은 사랑

열기

본문 영역

기본응급처치

기본이 되는 응급처치법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 및 자동심장충격기(AED) 성인 심폐소생술 소아 심폐소생술
성인&소아 기도폐쇄 영아 기도폐쇄 드레싱 및 붕대이용법 환자를 옮기는 법

심폐소생술 및 자동심장충격기 (AED)

심폐소생술(CPR) 이란?

정지된 심장을 대신해 심장과 뇌에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공급해 주는 응급처치이다.
일반인이 심정지 환자를 발견 했을 때 그림과 같은 흐름도로 구조를 진행하면 된다.

심폐소생술(CPR) 방법

1. 심정지 및 무호흡 확인

양어깨를 두드리며 말을 걸고 눈과 귀로 심정지 및 무호흡 유무를 확인한다.
(반응과 호흡이 있으면 심정지 아님)

2. 도움 및 119신고 요청

주변사람에게(꼭 집어서) 119신고를 부탁하고 자동심장충격기를 요청한다.

3. 가슴압박 30회 시행

환자의 가슴 중앙에 깍지낀 두손으로 몸과 수직이 되도록 압박한다.
압박은 성인기준 5cm 이상 1분에 100 ~ 120회 이상의 속도로 압박한다.

4. 인공호흡 2회 시행

코를 막고 구조자의 입을 완전히 밀착하여 정상호흡을 약 1초에 걸쳐 2회 숨을 불어 넣는다.
(인공호흡이 어려울 경우 가슴압박을 지속적으로 시행)

5. 가슴압박, 인공호흡 반복

이후에는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한다.

자동심장충격기(AED) 란?

자동심장충격기(AED)란 심실세동(심장의 박동에 의해서 심실의 각 부분이 불규칙적으로 수착하는 상태)환자들에게 극히 잛은 순간에 강한 전류를 심장에 통과시켜서 대부분의 심근에 활동전위를 유발하여 심실세동이 유지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심실세동을 종료시키고 심장이 다시 정상적인 전기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

자동심장충격기(AED)를 심폐소생술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놓은 뒤에 전원 버튼을 눌러 전원을 켠다.

준비된 자동심장충격기(AED)의 패드를 부착부위에 정확히 부착한다.

패드1 : 오른쪽 빗장뼈 바로 아래 부착
패드2 : 왼쪽 젖꼭지 옆 겨드랑이 부착

* 패드와 자동심장충격기 본체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연결하며, 패드 부착부위에 이물질이 있다면 제거한다.

"분석 중...." 이라는 음성 지시가 나오면 심폐소생술을 멈추고 환자에게서 손을 뗀다.

* 자동심장충격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심폐소생술을 계속 하십시오" 라는 음성 지시가 나온다.

"쇼크 버튼을 누르십시오" 라는 음성 지시가 나오면 점멸하고 있는 쇼크 버튼을 눌러 자동심장충격을 시행한다.

* 쇼크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반드시 다른 사람이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자동심장충격을 시행한 뒤에는 즉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비율을 30 : 2로 심폐소생술을 다시 시행한다.

* 자동심장충격기는 2분마다 심장리듬 분석을 반복해서 시행하며, 자동심장충격기 사용과 심폐소생술 시행은 119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지속되어야 한다.

저작권 공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내용은 참고자료이며, 본인에 맞는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注記) 본 이미지는 작가와 공동저작권임으로 본 웹페이지 외에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 영역
TOP
NEMC
내 주변 정보
달빛어린이병원으로 이동합니다.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
NEDIS 자료신청
아이안심톡 바로가기
응급똑똑 알아보기
업무/직원안내 - 상담가능시간 (오전)08:30~12:00, (오후)13:00~17:30
병 의원 약국 진료시간 수정
자동심장충격기(AED) 점검관리로 이동합니다.
상단으로

Footer 영역

중앙응급의료센터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04539) 서울시 중구 을지로 5길 16 (을지로2가 204-0)
삼화타워 중앙응급의료센터

2013(c) All rights Reserved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웹 접근성 우수사이트 인증마크(WA인증마크)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