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기후통계분석
  • 기상현상일수
  • 폭염일수

폭염일수

자료설명

폭염일수는 일 최고기온이 33°C 이상인 날의 수를 의미합니다. 전일의 폭염일 여부는 다음날 오전 6시 35분부터 확인이 가능합니다.


* '지역/지점'의 '지역'은 전국 및 광역 단위의 평균 제공(1973년~)
- 전국 및 광역별 평균 산출에 사용되는 지점은 62개 지점이며 제주도 4개 지점은 제주지역 산출에만 사용됩니다.
(追記) [전국/지역별 통계 산출 지점 정보(더보기)] (追記ここまで) (追記) [전국/지역별 통계 산출 지점 정보(접기)] (追記ここまで)
참고 - 전국 62개 지점과 제주 4개 지점정보
구분 조회 지점
중부(26) 서울경기: 서울(108), 인천(112), 수원(119), 강화(201), 양평(202), 이천(203)
강원영동: 속초(90), 강릉(105), 태백(216)*
강원영서: 철원(95)*, 대관령(100), 춘천(101), 원주(114), 인제(211), 홍천(212)
충북: 충주(127), 청주(131), 추풍령(135), 제천(221), 보은(226)
충남: 서산(129), 대전(133), 천안(232), 보령(235), 부여(236), 금산(238)
남부(36) 경북: 울진(130), 안동(136)*, 포항(138), 대구(143), 봉화(271)*, 영주(272), 문경(273), 영덕(277), 의성(278), 구미(279), 영천(281)
경남: 울산(152), 창원(155)*, 부산(159), 통영(162), 진주(192), 거창(284), 합천(285), 밀양(288), 산청(289), 거제(294), 남해(295) 전북: 군산(140), 전주(146), 부안(243), 임실(244), 정읍(245), 남원(247), 장수(248)*
전남: 광주(156), 목포(165), 여수(168), 완도(170), 장흥(260), 해남(261), 고흥(262)
제주도(4) 제주(184), 고산(185), 성산(188), 서귀포(189)
(注記)단, 관측개시일 및 자료량을 고려하여 6개소(철원, 안동, 창원, 태백, 장수, 봉화)는 1990년 통계부터 반영
- 1973~1989년: 56개소
- 1990년 이후: 62개소



검색조건

기간
~
지점

폭염일수

조회 자료 결과 - 연도, 1~12월 폭염일수, 연합계, 순위
연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합계 순위
2025 0 0 0 0 0 3 15 9 1 0 0 28 1
평균 0.0 0.0 0.0 0.0 0.0 3.0 15.0 9.0 1.0 0.0 0.0

가장 긴 폭염

조회 자료 결과 - 연도, 봄(3~5월), 여름(6~8월), 가을(9~11월), 겨울(12~익년2월)
연도 지점 시작일 종료일 최장 지속일수
2025 서울 2025年07月23日 2025年08月02日 11

가장 빠른/늦은 폭염

조회 자료 결과 - 연도, 가장 빠른 지점/날짜, 가장 늦은 지점/날짜
연도 가장 빠른 가장 늦은
지점 날짜 지점 날짜
2025 서울 2025年06月12日 서울 2025年09月05日

폭염일수

조회 자료 결과 - 연도, 날짜, 지점
연도 날짜 지점

평가하기

5점 만점
loading...

로그인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