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상청 날씨누리

홈 바로가기

부속사이트

핵심
행동요령

호우는 하천 범람, 산사태, 침수 등을 통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대비합니다.

사전준비

  •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거주지역의 재해위험 요인(과거 피해 이력 등)을 미리 확인합니다.
    • 재난정보는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안전디딤돌 앱에서 수신합니다.
  •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대피계획을 세웁니다.
    • 지역의 대피 장소(행정복지센터, 학교 등)와 안전한 이동 방법, 대피요령을 미리 숙지하고, 어린이들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注記) 대피경로는 하천변, 산길, 전신주나 변압기 주변, 침수된 지역 등은 피하도록 합니다.
    • 가족이 각각 이동할 때를 대비하여 다시 만날 장소를 미리 정합니다.
  • 주변의 시설물을 점검합니다.
    • 주변의 배수로, 빗물받이는 수시로 청소를 실시하고 비가 새거나 막힌 곳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비탈면, 옹벽, 축대 등에 균열이 있는지 점검하고, 위험할 경우 정비하거나 시·군·구청에 신고합니다.
  • 재난 발생에 대비하여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합니다.
    • 전기와 가스, 수도 등이 멈추는 경우를 대비하여 최소 3일간 버틸 수 있는 식량ᆞ식수ᆞ생필품 등을 미리 비축해둡니다.
    •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라디오, 핸드폰 충전기, 휴대용 버너, 담요 등 비상용품을 미리 한 곳에 준비해 둡니다.
    •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연료를 미리 채워 두고,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차량이 있는 가까운 이웃과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미리 약속해 둡니다.

호우특보 예보시
행동요령

TV, 라디오, 인터넷 등에서 호우특보가 예보된 때에는 거주 지역에 영향을 주는 시기를 미리 파악하고, 호우가 발생하기 전에 가족이나 지역주민과 함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합니다.

호우특보 예보시

  • 외출을 자제하고 수시로 기상상황 및 거주지역 주변 위험상황, 재난정보를 파악합니다.
  • 산간·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등산, 야영, 물놀이, 낚시 등을 멈추고 즉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저지대나 상습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공간이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건물 등에서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차량이나 시설물 등의 보호 조치를 합니다.
    • (가정)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어야 합니다.
    • (지하주차장, 지하 공간)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물 등에서는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 등을 이용하여 피해를 예방합니다.
    • (하천이나 해변, 저지대)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注記) 대피를 권고하거나 명령하는 경우 둔치 주차장에 주차한 차량을 이동시켜야 하며, 대피 안내 수신을 위해 차량에 연락처를 남겨두어야 합니다.
    • (농촌) 농경지 용ᆞ배수로와 논둑을 정비하여 피해를 예방하고, 물꼬를 조정합니다.
      (注記) 단, 비가 오기 전(예비특보 단계)에만 조치합니다.
    • (어촌) 선박은 단단히 결박하거나 육지로 인양하고, 어망ᆞ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킵니다.
  •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 발생에 대비합니다.
    • 비상시 신속히 응급용품을 가지고 대피할 수 있도록 사전에 배낭 등에 모아둡니다.
    •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욕조 등에 미리 물을 받아둡니다.
  •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 주변의 대피약자 안부를 수시로 확인하고, 비상시 대피방법을 미리 전달합니다.

호우특보 중
행동요령

호우가 시작된 때에는 신속히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고, 외출을 삼가며 이웃이나 가족과의 연락을 통해 안전 여부를 확인합니다.

호우특보 중

  • 외출을 자제하고 수시로 기상상황 및 거주지역 주변 위험상황, 재난정보를 파악합니다.
    • 외부에 있는 가족, 지인, 이웃과 연락하여 안전을 확인하고 위험정보 등을 공유합니다.
    • 차량은 속도를 줄여 운행하고, 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등 급류에 휩쓸릴 수 있는 지역이나 침수 위험지역에는 접근하지 말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 줍니다.
  • 위험지역에 절대 접근하지 않습니다.
    • 침수된 도로, 지하차도, 교량 등은 사람과 차량의 통행을 엄격히 금지하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 진입하지 않도록 합니다.
    • 산간·계곡, 하천, 해안가 등 급류에 휩쓸릴 수 있는 지역에서 빠르게 벗어납니다.
    • 공사장, 가로등, 신호등, 전신주, 지하공간 등 위험지역에는 접근하지 않도록 합니다.
    • (농촌) 논둑이나 물꼬를 보러 나가지 않습니다.
    • (이동식 가옥ᆞ임시 시설) 이동식 가옥이나 임시 시설에 거주할 경우에는 견고한 건물로 즉시 이동하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위험지역을 알려줍니다.
    • (산사태 위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에 있는 경우 산사태 경보 발령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산사태 징후를 파악한 경우 스스로 대피합니다.
  • 건물, 집안에서는 안전수칙을 지킵니다.
    • 가스 누출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차단하고, 감전 위험이 있는 집 안팎의 전기시설은 만지지 않도록 합니다.
      (注記) 물에 젖은 손으로 절대 전기 시설을 만지지 않습니다.
    • 정전이 발생한 경우 양초를 사용하지 말고 손전등, 휴대폰 등을 사용합니다.
    • 건물 안에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를 경우 즉시 높은 곳 혹은 주변 대피장소로 이동합니다.
  • 침수, 붕괴 우려, 산사태 위험 등으로 대피가 필요할 시 주변에 대피에 어려움이 있는 약자(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와 함께 대피합니다.

호우 이후
행동요령

호우가 지나간 후에는 이웃 등 주변의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가까운 행정복지센터 등에 피해를 신고하여 보수·보강을 하도록 합니다.

호우 이후

  • 가족과 지인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피해지역에 접근하지 않습니다.
    • 가족과 지인에게 연락하여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연락이 되지 않고 실종이 의심될 경우에는 가까운 경찰서에 신고합니다.
    • 침수된 도로나 교량은 파손되었을 수 있으므로 건너지 않습니다.
    • 하천 제방 근처, 지반이 약해진 비탈면은 무너질 수 있으니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 고립된 지역에서는 무리하게 물을 건너지 말고, 119나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등에 신고하거나 주변에 도움을 요청합니다.
  • 집으로 복귀 후 피해여부를 확인하고 신고합니다.
    • 대피 후 집으로 돌아온 경우 반드시 주택 등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출입합니다.
    • 파손된 시설물(주택, 상하수도, 축대, 도로 등)은 가까운 시·군·구청이나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 신고합니다.
    • 파손된 사유시설을 보수 또는 복구할 때에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 둡니다.
  •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호우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합니다.
    • 물이 빠져나가고 있을 때에는 기름이나 동물 사체 등 오염된 경우가 많으므로 물에서 멀리 떨어져 있도록 합니다.
    • 수돗물이나 저장되었던 식수는 오염 여부를 확인한 후에 사용하고, 침수된 음식이나 재료는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 침수된 주택은 가스와 전기차단기가 내려가 있는지 확인하고, 한국가스안전공사(1544-4500)와 한국전기안전공사(1588-7500) 또는 전문가의 안전점검 후에 사용합니다.
    • 호우로 피해를 입은 주택 등은 가스가 누출될 수 있으므로 창문을 열어 충분히 환기하고, 성냥불이나 라이터는 환기 전까지 사용하지 않습니다.
    • 쓰러진 농작물은 일으켜 세우고, 침수된 논과 밭을 배수할 때에는 작물에 묻은 흙, 오물 등을 씻어내고 긴급 병해충 방제를 실시합니다.

자연재난에 대한 국민행동요령은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요약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http://www.safekorea.go.kr/)의 "국민행동요령" 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설정

  • 설명보기
    닫기
    화면설정

    기본화면: 현재날씨 및 시계열 정보가 포함된 첫화면
    지도화면: 날씨지도 화면을 첫화면으로 표출

  • 설명보기
    닫기
    풍속설정

    풍속단위를 바꿀 수 있습니다.

  • 설명보기
    닫기
    지역우선설정

    현재위치 우선: PC브라우저의 위치정보나 스마트폰의 GPS정보로 현위치를 확인하여 표출합니다.
    관심지역 우선: 관심지역으로 추가된 지점을 우선 표출합니다.
    위치 미확인: 브라우저에서 위치확인을 요청하지 않습니다. 조회한 지역이 없을 경우 기상청 서울청사 위치를 보여줍니다.

  • 설명보기
    닫기
    탭우선설정

    날씨 우선: 조회지점의 현재날씨 및 시계열 정보가 포함된 첫화면
    전국 우선: 전국지역의 날씨를 간략하게 표출

  • 설명보기
    닫기
    날씨아이콘

    3가지 타입의 날씨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맑음 구름조금 구름많음 흐림 비 또는 눈 눈 또는 비 소나기 빗방울 빗방울/눈날림 눈날림
  • 설명보기
    닫기
    시간별 예보설정

    3시간 간격: 시간별 예보를 3시간 간격으로 표출
    1시간 간격: 시간별 예보를 1시간 간격으로 표출

  • 개편된 날씨누리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지도를 통한 실시간 기상정보와 레이더영상, 전국 특보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내 지역의 현재 기상상황과 대기질 상태, 일출/일몰 시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인페이지의 우측 상단 설정 기능을 통해 기본화면과 지도화면으로 기본 화면을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영상·일기도 메뉴의 '날씨지도'를 통해 고해상도 지도 위에 기상자료(9종, 38개 요소)를 제공하여 날씨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날씨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좌측에 구성된 메뉴 영역을 클릭하여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날씨누리 홈페이지에 방문하게 되면 이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현재 위치 기준으로 날씨와 지도 정보가 제공됩니다.
    현재 위치가 육상일 경우 정보 제공의 기준이 되는 현재 위치가 지도 우측에 표기되며, 현재 위치가 해상인 경우 ‘일일예보’ 페이지로 이동하여 해역 정보가 표기됩니다.
    특정 지역을 조회시, 첫 화면에서 지도 상단의 검색창을 통해 지역별 육상날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육상지역 검색은 지역의 읍면동지역 뿐만 아니라 주요건물, 유명산, 공원 등 지명을 검색창에 입력하여 조회된 검색결과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다날씨를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 '날씨누리 바다>바다예보>일일예보' 페이지에서 해역을 선택하여 해역별 바다날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육상지역이나 해역을 검색하여 최대 10개소까지 내 관심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 위치 설정 혹은 검색을 통해 조회한 육상지역 및 해역은 위치 정보 우측의 별표를 클릭하여 관심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관심지역 설정 해제 또한 별표를 다시 클릭하여 해제할 수 있습니다.
    설정한 관심지역은 현재 위치 정보 우측의 화살표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중인 브라우저 캐시 영역에 저장되므로 캐시 삭제시 설정한 관심지역 정보가 초기화됩니다."
  • 첫 화면 상단의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하여 날씨누리 홈페이지 첫 화면(기본화면, 지도화면) 및 풍속단위(m/s, km/h)를 맞춤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화면에서 기본화면과 지도화면 모드 중 방문 시 처음으로 보여지는 첫 화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지도화면 모드 설정시 '날씨지도'를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설정한 첫 화면 모드 및 풍속단위는 사용중인 브라우저 캐시 영역에 저장되므로 캐시 삭제시 설정한 관심지역 정보가 초기화됩니다.
  • 날씨누리 첫화면에서 육상 및 해상의 현재 기상정보, 초단기 강수예측, 특보 상황을 지도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시되는 정보는 지도 좌측 상단의 버튼을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지도는 제공되는 범위안에서 확대 및 축소하여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육상 및 해상의 관측정보는 지점을 클릭하여 더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영상은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여 연속된 이미지로 확인 가능합니다.
  • 동네예보 시간별 예보보기 화면을 혼합형태, 그래프형태, 표형태로 총 3종을 제공하며,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날씨누리에서는 날씨정보 업데이트 시각은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업데이트 시각 정보는 데이터의 근처 혹은 페이지 하단에 제공됩니다.
  • 날씨누리 홈페이지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는 Chrome, Edge, Firefox, Safari의 최신 버전입니다.
  • 사용자 관심지역 정보는 사용중인 브라우저 캐시 영역에 저장되므로 인터넷 브라우저의 캐시/쿠키/검색기록 삭제 시 관심지역도 같이 초기화 됩니다. 브라우저에서 초기화 되지 않도록 설정하시면 관심지역 저장이 유지됩니다.
    익스플로러(Explorer): 브라우저 상단의 메뉴 중 도구(T) > 인터넷옵션(O) > 일반 에서 중앙의 검색기록 - 종료할 때 검색기록 삭제 부분을 체크 해제 후 재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익스플러러 설정 스크린샷
    크롬(Chrome): 브라우저 상단의 Chrome 맞춤설정 및 제어 > 설정(S) > 고급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메뉴에서 인터넷 사용기록,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캐시된 이미지 또는 파일을 삭제하였는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크롬(Chrome) 설정 스크린샷
    파이어폭스(Firefox): 브라우저 상단에 있는 메뉴열기 > 설정 > 개인 정보 및 보안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 Firefox를 닫을 때 쿠키와 사이트 데이터를 삭제(C)가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체크가 되어 있다면 해제해 주시고 브라우저를 끈 후 다시 접속해 주십시오. 또는 개인 정보 및 보안 메뉴에서 '현재 저장된 쿠키, 사이트 데이터 및 캐시가 ** KB의 디스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의 [데이터 지우기]를 하게되면 관심기록 설정이 초기화 됩니다.
    파이어폭스(Firefox) 설정 스크린샷
    모바일 및 기타 웹브라우저: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 캐시, 검색기록을 삭제하였는지 확인해주십시오.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 중 자동으로 캐시/쿠키/검색기록을 정리하는 프로그램(예: 알약, v3, 컴퓨터 청소/프로세스 클린 프로그램 등)이 인터넷 브라우저의 캐시와 쿠키, 검색기록을 삭제하면 관심지역 설정이 초기화 됩니다.
  •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상자료는 기상자료개방포털(data.kma.go.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누리집 안내지도

ENG | CHN | JPN
날씨
기상특보
- 특보현황
- 통보문
- 영향예보
- 안개정보
- 날씨상황판
예보
- 단기예보
- 중기예보
- 북한날씨
기상방송
바다
해상특보
바다예보
- 일일예보
- 중기예보
바다예측
- 바다실황·예측
- 해구별예측
- 이안류 예측정보
- 너울 예측정보
해양일기도
- 수치파랑
- 폭풍해일
- 해양순환
해양기상정보포털
영상·일기도
종합영상
초단기예측
- 강수
- 바람
레이더
위성
- 천리안위성 2A호
- ASCAT
- 사례영상
낙뢰
- 낙뢰
- 낙뢰 횟수
일기도
- 분석일기도
- 예상일기도
- 전문가용일기도
- 바다수온
태풍
상세정보
통보문
위험시점정보
모델예측
태풍감시
과거태풍
태풍발생통계
기본지식
- 태풍이란
- 태풍의 이름
- 태풍의 분류
기후
기후감시예측정보
기후예측 통보문
- 1개월전망
- 3개월전망
- 3개월전망 해설서
- 6개월전망
- 계절 기후전망
- 연 기후전망
- 엘니뇨라니냐 전망
WMO 기후예측 선도센터
가뭄·수문기상
- 기상가뭄 1개월전망
- 기상가뭄 3개월전망
- 기상가뭄 6개월전망
- 가뭄 예·경보(관계부처 합동)
- 수문기상 가뭄정보 시스템
기후통계
기후변화
기후변화 상황지도
종합기후변화감시정보
기후정보포털
주간기후이슈
지진·화산
실시간 지진감시
최근발표
지진조회
- 국내
- 국외
과거지진
- 지진통계
- 주요지진
- 역사지진
- 지진연보
지진해일
- 지진해일 사례
화산
- 과거 화산 사례
- 화산재해 유형
지진·화산 통보 기준
온라인 지진 과학관
테마날씨
생활기상정보
- 지역별 종합지수
- 생활기상지수
- 지수안내
산악날씨
공항예보
해수욕장예보
계절관측
- 봄꽃개화현황
- 유명산 단풍현황
세계날씨
황사
황사영상
- 지상일기도
- 위성영상
황사모델예측
황사관측현황
- 관측값
- 관측그래프
황사관측일수
관측
육상
- 도시별관측
-
-
- 과거관측
바다
- 해양기상부이
- 등표
- 파고부이
- 아시아연안관측실황
- 선박관측
소식·지식
소식
지식
- 날씨누리 도움말
- 기상특보 발표기준
- 국민행동요령
- 예보발표안내
- 예보용어해설
- 시간당 강수량 체감영상
로그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