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이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막기 위해 인간 활동에 의한 배출량은 최대한 감소시키고, 흡수량은 증대하여 순 배출량이 ‘0’이 된 상태.
인간 활동으로 배출하는 온실가스(+요인)는 최대한 줄이고,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산림 흡수나 CCUS로 제거(-요인)하여 실질적인 배출량을 ‘0’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탄소중립(Net zero)이라고 한다.
(출처: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 :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활용 기술
‘순배출량 0(Net Zero)’을 달성하려면?
탄소배출 줄이고, 탄소흡수원 늘리기
탄소 중립의 방향
탄소중립 = 에너지 전환 + 흡수/제거
탄소 중립의 방향을 나타낸 이미지로 탄소중립은 에너지전환과 흡수,제거의 합으로 이루어지며 석탄,석유,LPG,원자력,재생으로 이루어진 탄소배출원 소비를 감축하고 공급원으로 전환으로 에너지 소비 및 공급을 개선하며 , 탄소를 흡수하여 온실가스배출을 줄인다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환경위생과
-
문의처
051-749-4387
-
최종수정일
2025年02月04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