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행동강령 30주년 기념(웹자보).jpg
[토론회] 변화를 위한 도전, 미래를 향한 여정
- 베이징행동강령 30주년 기념 이행 평가 및 향후 과제
베이징행동강령은 1995년 제4차 세계여성대회에서 189개국 만장일치로 채택된 국제적인 여성인권규범으로, 성평등 사회 실현과 함께 여성의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는 성주류화 전략을 담고 있습니다. 베이징행동강령 발표 30주년을 맞이한 오늘, 최근 5년간 한국 사회의 여성인권 현황과 향후 과제를 통합적으로 분석해 나누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이를 통해 국제사회가 30년 전부터 요구한 여성정책의 국내 이행 수준을 점검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한국 사회의 여성인권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〇 일시
2025년 9월 23일(화) 14:00~17:30
〇 장소
창비서교빌딩 50주년홀(B2),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12길 7
〇 주최
한국여성단체연합
〇 참여단체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평화를만드는여성회, 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노동자회,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의전화, 한국여성장애인연합,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〇 후원
한국여성재단
〇 프로그램
사회
양이현경(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
[기조발제]
- 베이징+30 국제사회 성평등정책 흐름과 여성운동의 과제
조영숙(한국여성단체연합 국제연대센터 센터장)
[분야별 발표]
1. 포용적 발전, 공동 번영, 양질의 일자리(여성과 경제)
노헬레나(한국여성노동자회 사무처장)
2. 빈곤 퇴치, 사회 보호 및 사회 서비스(여성과 빈곤, 여성 교육 및 훈련, 여성과 건강)
류형림(한국여성민우회 성평등복지팀 팀장)
3. 폭력, 낙인, 고정관념으로부터의 자유(여성에 대한 폭력, 여성과 미디어)
송란희(한국여성의전화 상임대표)
최란(한국성폭력상담소 부소장)
정슬아(한국여성민우회 성평등미디어팀 팀장)
4. 참여, 책임 및 성인지 감수성 있는 기관(권력과 의사결정에서의 여성 참여, 여성발전을 위한 제도적 메커니즘)
임선희(한국여성단체연합 사무처장)
5.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여성과 무력분쟁)
안김정애(평화를만드는여성회 상임대표)
[토론]
-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
- 백선희 조국혁신당 의원
- 손솔 진보당 의원
- 신지혜 기본소득당 최고위원
[질의응답 및 전체 토론]
* 자료집(전체본) 다운로드
변화를 위한 도전, 미래를 향한 여정 - 베이징행동강령 30주년 기념 이행 평가 및 향후 과제
* 자료집(요약본) 다운로드
(국문)베이징+30 시민사회보고서 요약본.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