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여행

  • 이야기가 있는 여행
  • 함께하는 여행
  • 삽시도 둘레길

삽시도 둘레길

함께하는
여행
2

제주 올레길이 부럽지 않은 섬
삽시도

삽시도둘레길이미지0

면적 3.8km2, 해안둘레 11km. 여의도 면적의 반도 안 되는 크기의 작은 섬 삽시도는 해수욕장이 올망졸망 섬 주변을 수놓고 있는 아름다운 섬이다. 그 틈새 갯바위가 발달한 곳은 기암괴석이 수려한 경관을 연출하는가 하면 섬의 동쪽 밤섬 앞 해안은 삽시도를 찾아온 여행자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해수욕장만 빼고 해안 전체가 삽시도 어민들의 공동 양식장이라서 어민이 아니면 들어갈 수 없지만, 이곳만큼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갯벌이기 때문이다. 어민들이 섬을 찾아온 손님들을 위해 해안의 일부를 비워두고 섬마을 여행에서의 소중한 추억을 담아갈 수 있도록 특별히 배려한 공간이다.

삽시도에는 마을 사람들이 아끼고 자랑하는 3개의 보물이 있다. 황금곰솔과 물망터, 면삽지가 그것. ‘황금곰솔’은 솔잎이 금빛을 머금은 금송으로 50년 안팎의 젊은 나무이지만 그 희소가치를 나이에 빗댈 수는 없는 일, 마을 사람들이 아끼고 사랑하는 나무이다. 또 하나의 보물 ‘물망터’는 바닷물에 잠겼다 나타나 신비감을 더하는 바닷가 샘터이다. 물망터는 삽시초등학교 학생들의 소풍명소로 마을 어른들은 어릴 적 소풍의 추억으로 물망터 물맛을 이야기한다. 다음으로 ‘면삽지’가 그 세 번째. ‘면할 면’자를 써서 삽시도를 면한 땅이라는 의미다. 밀물 때 길이 끊겨 걸어서는 갈 수 없는 섬이지만 썰물 때면 길이 다시 이어지는 이곳은 해식동굴에서 솟는 샘터의 물맛 또한 빠지지 않는다.

삽시도둘레길 이미지1

섬마을 고샅길을 지나 황금곰솔, 물망터, 면삽지 등 삽시도의 바닷가 명소를 두루 돌아보며 송림을 거닐다, 경치 좋은 전망대에서 잠시 쉬면서 유유자적 걷다 보면 또 다른 섬마을로 이어지는 길. 이 길은 삽시도의 남쪽 끝 마을과 북쪽 끝 마을을 잇는 삽시도 둘레길이다. 밤섬선착장에 술뚱선착장(또는 그 반대, 물때에 따라 기점이 다름)까지 6.2km, 금송사에서 진너머해수욕장 인근까지 2km 구간은 섬의 서남쪽 바닷가 붕긋댕이산(114.2m) 허리를 개척한 자락길이다. 밤섬선착장에서 금송사 1.6km, 진너머해수욕장 남쪽 언덕에서 술뚱선착장까지 2.5km는 이웃과 이웃, 마을과 마을을 잇는 삶의 소통로. 섬마을 풍경 속으로 여행자를 안내한다.

삽시도둘레길의 시작 밤섬선착장에서 금송사까지 1.6km

삽시도둘레길 이미지2

(注記)일러두기 : 취재 당일 밤섬선착장에서 하선하여 둘레길 걷기를 시작했다. 술뚱선착장 하선 시 본문의 ‘코스안내’를 참고하여 기점은 술뚱선착장에서 진너머해변을 향하여 역순으로 걷기여행을 하면 된다.

한적한 섬마을 바닷가 밤섬선착장. ‘밤섬’이라는 전통지명을 가진 마을에 있는 선착장은 지명을 따 이름 지었다. 208세대 400여 명의 섬마을 사람들이 살아가는 삽시도의 남동쪽 해안에 둥지를 튼 이 마을의 가구 수는 어림잡아 열댓 채, 삽시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섬의 북쪽 술뚱마을에 비하면 외진 마을이다. 선착장에서 마을로 걸음을 옮기면 고샅길로 들어서는 길목에 민박집 ‘파도소리’의 표석을 보았다면 그 옆에 조그마한 팻말이 눈에 띌 것이다. ‘밤섬해수욕장 둘레길 가는 길’ 남색바탕에 흰 글씨의 팻말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돌아서서 마을로 들어서면 삽시도 둘레길 걷기여행의 첫발을 제대로 내디딘 것이다.

삽시도둘레길 이미지3

섬마을 한 귀퉁이를 차지하고 있는 작은 마을이지만 길은 제법 넓어 허전한 기분까지 드는 밤섬마을에 들어서는가 싶었는데 어느새 송림을 헤치고 나 있는 한적한 포장도로를 따라 걷게 된다. 걷다가 처음 나오는 삼거리에 닿는다면 왼쪽 길로 방향을 틀 것. 왼쪽 길로 들어서니 조붓한 오솔길이 제법 운치 있다. 소나무 숲이 가로수를 대신하여 길을 수놓는 이 길을 걷다 보면 길가 작은 연못만 한 습지가 반긴다. 초가을 푸른 하늘을 머금은 습지의 반영에 잠시 머문 발길, 이어가면 다시 나타나는 삼거리에서 다시 왼쪽으로 길을 잡을 것. 비포장도로가 반가운 길이 이어진다.

삽시도둘레길 이미지4

비포장도로가 시작되는 삼거리에서 100m 남짓, 연등을 달아놓은 삼거리에 닿으면 이곳에서는 오른쪽으로 길을 잡으면 된다. 금송사로 가는 길목이다. 길의 초입에 연등을 달아놓아 눈짐작만으로 절집 가는 길임을 알 수 있는 이 길은 무성한 소나무 숲 오솔길이 운치를 더한다. 구불구불 숲을 헤쳐 가는 조붓한 오솔길이 정겨운 이 길의 끝 해안은 섬의 남쪽에 있는 밤섬해수욕장, ‘수루미해수욕장’이라고도 부른다. 거멀너머, 진너머, 수루미.... 삽시도에 있는 세 개의 해수욕장 중 규모가 제일 크면서도 외진 곳에 있어 여름철 성수기에도 번잡하지 않은 곳이다.

삽시도 둘레길의 진수 붕긋댕이산 자락길 4.3km

삽시도둘레길 이미지5

밤섬해수욕장에서 시작하여 진너머해수욕장 남쪽 언덕까지 3.8km 구간의 둘레길은 보령시가 ‘명품섬 베스트 10 사업’의 하나로 삽시도에 조성해놓은 붕구뎅이산 자락길이다. 섬의 남서쪽에 펑퍼짐하게 솟아있는 언덕 ‘붕구뎅이산’의 서쪽 자락에 조성한 운치 있는 이 길은 황금곰솔, 물망터, 면삽지 등 ‘삽시삼보’를 굴비 엮듯 엮어놓은 길이다.

금송사에서 황금곰솔까지 1.00km

삽시도둘레길 이미지6

이 길을 가자면 밤섬해수욕장을 뒤로하고 산길로 접어들어야 한다. 해발 고도 114.2m의 산허리쯤, 황금곰솔/물망터 갈림길이 있는 곳까지는 0.2km의 거리를 두고 50m의 고도를 높여야 한다. 가파르지만 짧은 구간이니 어렵지 않게 오른 삼거리에서 길은 갈린다. 동쪽 해안길로 길을 잡아 황금곰솔을 찾아 발길을 옮기는 붕구뎅이산 동남쪽 자락길로 들어선다.

삽시도둘레길 이미지7

삼거리에서 황금곰솔까지 0.8km의 구간 중 처음 0.3km는 32.6m의 고도를 높이는 구간으로 오솔길과 바다의 풍경이 있는 아름다운 자락길을 걷게 된다. 길의 끝 조망 포인트에서 풍경 감상을 한 후 서쪽 자락길로 들어서면 0.5km 지점 곰솔이 있는 바닷가까지 8m의 해발고도를 낮추는 구간이다. 삽시도의 황금곰솔은 ‘보령시 보호수 제2009年4月17日-1호’로 수령 40, 높이 8m,가슴높이 둘레 77cm의 나무다. 곰솔은 소나뭇과로 잎이 소나무 잎보다 억세서 곰솔이라 한다.

황금곰솔에서 물망터까지 1.2km

삽시도둘레길 이미지8

황금곰솔에서 친절한 이정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길을 잡아 물망터로 향한다. 물망터는 붕긋댕이산이 서남쪽으로 자락을 내린 해안에 있는 곳으로 해안에 기암괴석과 갯바위가 발달한 곳이다. 해안에 면한 언덕에 제법 큰 평지가 있는 것을 보니 해마다 소풍은 물망터로 왔다는 마을 사람의 이야기가 떠오른다. 갯바위가 있는 해안 또한 가장자리에 앉아 쉬기 좋은 자그마한 백사장도 있는 아담한 곳. 호도, 녹도 등 유인도와 그 주변의 무인도가 앞바다를 수놓고 있어 경관도 아름답다.

물망터에서 붕긋댕이산 시작점까지 2.1km

삽시도둘레길 이미지9

물망터 해안을 뒤로하고 다시 삼거리로 돌아와 길을 잡으면 송림자락길이 제 모습을 갖추고 반긴다. 산모퉁이 돌고 돌아 걸으며 바다 풍경을 품에 안기도 하고, 길을 걷다 보면 거짓말처럼 나타나는 전망대, 그곳에 서면 "와락" 바다 풍경을 끌어안지 않을 수 없다. 전망대에서 바다와 민얼굴로 만나고 숲 속의 자락길을 걸으며 숲 너머 바다와 이야기하다 보면 면삽지로 내려서는 길목에 다다른다. 35m의 해발고도를 낮춰 면삽지에 내려선 다음 면삽지에서 71m의 고도를 높여 자락길로 올라서면 또다시 면삽지를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가 발길을 잡는다. 붕긋댕이산 자락길은 진너머해수욕장 너머로 안면도가 조망되는 전망대를 지나 삼거리에서 끝난다.

진너머해수욕장 남쪽 언덕에서 술뚱선착장까지 2.5km

삽시도둘레길 이미지10

삼거리에 다다랐다면 왼쪽으로 길을 잡을 일이다. 진너머해수욕장을 지나 술뚱마을을 지나고 술뚱선착장에 이르는 길이 기다리고 있다. 언저리에 펜션들이 밀집해있는 진너머해수욕장은 바닷가로 튀어나온 언덕을 사이에 두고 거덜너머해수욕장과 이웃해 있는 아담한 해수욕장이다. 규모는 두 해수욕장 모두 길이 500m 남짓 고만고만하다. 두 해수욕장 모두 찰모래 백사장이어서 바닥이 단단한 것이 특징, 완만하게 경사진 모래사장은 물이 들어와도 수심이 깊지 않아 아이들과 마음 놓고 해수욕을 즐길 수 있다.

삽시도둘레길 이미지11

진너머해수욕장을 뒤로하면 술뚱마을로 접어들게 된다. 밤섬마을에 비하면 술뚱마을은 삽시도의 번화가다. 보건소, 파출소, 해안경찰출장소, 발전소, 삽시초등학교, 삽시도연안여객터미널 등 삽시도의 주요기관과 시설이 모두 모여 있는 마을이기 때문이다. 손바닥만 한 논 한 자락 없는 밤섬마을과는 달리 20가구의 주민들이 논농사와 밭농사를 지어 살 수 있을 정도로 농경지도 발달해 있어 문전옥답의 풍요를 누리고 있는 마을도 술뚱이다. 술뚱마을에 가거든 오천초등학교 삽시분교는 꼭 들러볼 일이다. 1학년부터 6학년까지 17명의 아이가 이 학교의 전교생. 작고 아담한 교정이 예쁘기까지 하다. 배를 타기 위해서는 꼭 들러야 하는 삽시도여객터미널에 가면 표만 달랑 사가지고 나오지 말고 대기실에 앉아 문밖을 내다볼 일이다. 문밖에 바다가 그림처럼 펼쳐져 있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1

    삽시도 전경. 왼쪽 해안 언덕이 있는 곳이 밤섬선착장이다. 오른쪽 끝 해안 언덕이 있는 곳이 술뚱선착장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2

    삽시도둘레길 풍경. 붕구뎅이산 자락길의 시작점에서 황금곰솔 가는 길의 풍경이다. 자락길을 걷노라면 그림 같은 바다가 곳곳에서 발길을 잡는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3

    밤섬선착장 풍경. 배에서 내리면 밤섬선착장이 삽시도둘레길의 시작점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4

    선착장에서 내리면 매표소를 지나 밤섬마을에 이른다. 멀리 보이는 마을이 밤섬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5

    밤섬 갯벌 풍경. 삽시도의 해안은 해수욕장만 제외하고 해안 전체가 삽시도 어민들의 공동 양식장이라서 어민이 아니면 들어갈 수 없지만, 이곳만큼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어민들이 섬을 찾아 온 손님들을 위해 해안의 일부를 비워두고 섬마을 여행에서의 소중한 추억을 담아갈 수 있도록 특별히 배려한 공간이라서 섬마을 사람들의 풋풋한 인심이 그대로 묻어나는 곳이기도 하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6

    밤섬갯벌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7

    밤섬마을에서 바닷가로 들어서는 길목에서 슈퍼를 끼고 왼쪽으로 길을 잡으면 금송사가는 길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8

    금송사 가는 길. 소나무 우거진 숲 사이 오솔길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9

    금송사 가는 길의 습지가 있는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10

    금송사 가는 길. 구불구불 숲을 파고든 비포장 흙길이 정겹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11

    둘레길 안내도를 바라보고 있는 탐방객들. 금송사를 지나면 해안에 설치된 ‘삽시도 둘레길 종합안내도’가 설치되어있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12

    밤섬해수욕장 전경. 삽시도 둘레길 종합안내도가 있는 곳에서 해안으로 들어서면 밤섬해수욕장이다. 해안 끝의 언덕은 밤섬선착장이 있는 ‘딴뚝머리’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13

    금송사를 지나 남쪽으로 길을 잡으면 붕긋댕이산 자락길로 들어서게 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14

    황금곰솔/물망터/금송사 갈림길 전경. 금송사에서 출발하여 0.2km의 거리를 두고 50m의 고도를 높이면 닿는 곳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15

    황금곰솔/물망터/금송사 갈림길에서 11시 방향 길로 접어들면 황금곰솔 가는 길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16

    갈림길에서 황금곰솔을 향해가다 보면 길 오른쪽으로 밤섬마을의 해안을 수놓고 있는 딴뚝머리가 조망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17

    솔가지 사이로 조망되는 딴뚝머리가 있는 해안풍경이 조화롭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18

    0.3km의 거리를 두고 32.6m의 고도를 높이는 구간의 끝에서 황금곰솔까지 0.5km의 내리막길이 시작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19

    0.3km의 거리를 두고 32.6m의 고도를 높이는 구간의 끝 해안 쪽에서 바라본 풍경. 멀리 보이는 섬은 삽시도리에 속해있는 유인도 불모도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20

    황금곰솔 가는 길의 0.5km 구간 초입의 자락길. 왼쪽으로 바다가 있는 풍경을 끼고 이어지는 내리막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21

    황금곰솔이 위치한 곳도 해안에서 자라는 곰솔의 특성이 잘 드러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22

    황금곰솔. 바닷가에서 자라기 때문에 해송으로도 불리는 이 나무는 나뭇잎의 색이 황금색이어서 황금소나무로 불린다. 이는 엽록소가 없거나 적어서 생기는 특이한 현상으로 소나무의 변이종이다. 세계적으로 희귀하여 소나무 학술 연구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23

    물망터 가는 길. 황금곰솔에서 물망터까지 1.1km 구간의 초입 풍경이다. 처음 0.03km의 거리를 두고 40m의 해발고도를 높였다가 내려서고 다시 오르내리기를 하는 구간으로 아름다운 해안경관을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24

    물망터 가는 길은 오솔길과 해안절벽 위로 난 길이 교차하여 경관을 즐기기에 좋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25

    물망터가는 길. 데크로드에 올라서면 물망터가 있는 해안일대가 거짓말처럼 펼쳐진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26

    데크로드에 올라 바라본 물망터 일대의 해변 풍광.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27

    숲 너머로 조망되는 해안의 풍경도 즐길만하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28

    물망터 가는 길.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29

    물망터 가는 길.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30

    물망터 가는 길. 왼쪽으로 길을 잡으면 물망터가 있는 해안으로 갈 수 있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31

    물망터 가는 길.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32

    호도, 녹도 등 유인도와 그 주변의 무인도가 앞바다를 수놓고 있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33

    면삽지가는 길. 물망터 갈림길에서 면삽지 가는 길의 풍경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34

    길섶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평의자가 붕긋댕이산 자락길 곳곳에 마련되어 있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35

    물망터 갈림길에서 0.54km 지점, 면삽지를 향해 걷다 보면 거짓말처럼 나타나는 전망대가 반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36

    삽시도 남쪽바다의 풍광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전망대에서 바라본 물망터.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37

    전망대를 지나 계속 걸으면 숲 너머로 면삽지가 조망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38

    면삽지 가는 길의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39

    면삽지 가는 길.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40

    물망터갈림길에서 면삽지를 향해 걷기를 1.4km 지점 왼쪽 길로 접어들면 면삽지가 있는 해안으로 내려서게 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41

    0.2km의 거리를 두고 37.2m의 해발고도를 낮추면 면삽지에 이르게 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42

    면삽지 전경. 만조가 되면 면삽지로 가는 길은 물에 잠겨 섬이 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43

    면삽지에서 데크로드를 따라 오르면 붕긋댕이산 자락길로 다시 이어진다. 0.18km의 거리를 두고 52.3m의 해발고도를 높이는 구간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44

    붕긋댕이산 자락길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45

    면삽지에서 붕긋댕이산 자락길에 다시 올락 걷다 보면 길섶 전망대에 이른다. 전망대에서는 또 다른 모습의 면삽지가 조망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46

    진너머해수욕장 가는 길. 면삽지가 조망되는 전망대를 뒤로하면 붕긋댕이산 자락길의 시작점을 향하게 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47

    붕긋댕이산 자락길의 시작점을 향하다 보면 삽시도 북서부 해안이 조망되는 아름다운 길로 접어들게 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48

    붕긋댕이산 자락길의 막바지 길섶에 마련해놓은 전망대. 삽시도 북서부 해안이 조망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49

    붕긋댕이산 자락길의 시작점 가는 길.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50

    붕긋댕이산 자락길의 시작점을 지나면 진너머해수욕장으로 가는 삼거리에 다다른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51

    왼쪽 바닷가가 진너머해수욕장이다. 오른쪽에 펜션 단지가 보인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52

    펜션 단지 앞에서 바라본 진너머해수욕장. 아름다운 서해의 일몰을 감상할 수 있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53

    술뚱마을 가는 길 오른쪽으로 길을 잡는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54

    삽시도 논의 전부가 술뚱마을에 있다. 길 오른쪽에 보이는 저수지가 술뚱마을 농경지를 적시는 수원지이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55

    술뚱마을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56

    술뚱마을 풍경. 마을 너머로 바다가 보인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57

    술뚱마을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58

    술뚱마을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59

    술뚱마을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60

    술뚱마을 해안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61

    술뚱마을 해안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62

    술뚱마을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63

    술뚱선착장에서 바라본 술뚱의 해안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64

    술뚱마을 풍경.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65

    술뚱선착장 풍경. 원산도가 조망된다.

  • 삽시도둘레길 관련 이미지66

    술뚱선착장 풍경. 선착장의 북쪽으로 장고도와 고대도, 멀리로 안면도가 조망된다.

1/66
여행정보
  • 코스안내와 여행 팁
    • 총 연장 6.2km, 2시간 소요. 밤섬선착장 → 금송사 → 황금곰솔 → 물망터 → 진너머해수욕장 → 아랫말 → 윗말 → 술뚱선착장(술뚱선착장 하선 시 역순으로 밤섬선착장을 최종목적지로 함). 삽시도는 물이 들고나는 때에 따라 대천연안여객터미널에서 하루 세 차례 삽시도를 오가는 여객선은 섬의 동북쪽 술뚱선착장에 배를 대거나 섬의 동남쪽 밤섬선착장에 배를 대기도 한다.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섬에서 나오는 배의 시간과 어느 선착장을 이용해야 하는 지를 꼭 확인해야 한다.
  • 찾아가는 길
    • 내비게이션 이용 명칭검색 : 대천연안여객터미널
    • 자가용 이용안내: 서해안고속도로 보령나들목 통과 후 대천항 방면으로 길을 잡으면 36번 국도를 이용하게 된다. 36번 국도를 따라 가면 6.7km 전방이 목적지다.
  • 대천연안여객터미널 이용안내
    • 대천연안여객터미널 주차장 이용은 무료다. 대천연안여객선터미널에서 삽시도 가는 배는 2013년 10월 기준, 오전 7시 30분, 오후 1시 정각, 오후 5시 30분 등 모두 3회 출항한다. 소요시간은 40분. 무임 및 할인승선 대상은 만 2세 미만 무료, 만2세 이상 12세 미만 운임의 50%, 중고생 10%, 20인 이상 중고생 20%, 20인 이상 일반인 10%, 만 65세 이상이나 장애인은 20%다. 승선권 구매 후 개찰권에 성명과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을 반드시 기재해야 하며, 허위 기재 시 여객의 사고 및 손해에 대하여 보상받지 못한다.
    • 문의전화 : 041-930-5020
담당부서 :
관광과
연락처 :
041-930-6564
최종수정일 :
2025年02月24日 16:07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top버튼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