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ATED WATER PORTAL SITE

0/0

MENU

❹해역 모니터링 결과

모니터링 결과 공표

ALPS 처리수에 대한 정부의 기본방침에 따라, 삼중수소을 중심으로 한 핵종의 확산 상황과 해양 생물의 상황을 향후 지속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해수(항만 밖), 어류, 해조의 모니터링을 강화하고(2022년 4월 20일부터 시료채취 개시) 그 결과를 공표하고 있습니다.

유의한 변동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くろまるくろまるくろまるくろまるくろまるくろまる일 현재)

지도 안에 표시된 지점를 클릭하면 각 지점의 모니터링 결과가 그래프로 표시됩니다.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방수구

해수 모니터링 지점

  • 항만 안
  • 3km권 내
  • 20km권 내
  • 20km권 외

삼중수소 신속 측정 분석 결과는 이쪽
신속 측정의 목적은 검출 하한치를 높임으로써 신속하게 분석하여 해역 상황을 조기에 파악하는 것.

어류·해조 모니터링 지점

  • 어류 20km권 내
  • 해조 20km권 내

포괄적 해역 모니터링 열람 시스템'은 해역 상태를 객관적이고 포괄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당사와 관계 부처 또는 지자체 등이 공표한 다양한 지점의 해역 모니터링 결과를 지도상에서 한번에 열람할 수 있도록 한 웹사이트입니다.

ORBS 사용법은 여기


ALPS 처리수등의 상황

지도로 돌아가기
  • 트리튬
  • 세슘137
  • 새슘134
세계보건기구(WHO)음용수 기준 농도(10,000 Bq/L)
방출 정지 판단 레벨(注記)3(700Bq/L)
조사 레벨(注記)4(350Bq/L)
방출 정지 판단 레벨(注記)2(30Bq/L)
조사 레벨(注記)3(20Bq/L)

과거 수치

세계보건기구(WHO)음용수 기준 농도(10 Bq/L)

과거 수치

세계보건기구(WHO)음용수 기준 농도(10 Bq/L)

과거 수치

  • 방사성 물질이 방사선을 내뿜는 능력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단위
  • 과거 수치'는 1년간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나타냅니다.
    관측 범위는 통상 분석과 상세 분석의 결과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 ND(Not Detected)는 측정치가 검출 한계치(검출 하한선) 미만이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검출 한계치는 측정 환경이나 각 측정기의 특성에 따라 변동합니다.
  • 검출 한계치를 낮게 하여 미량의 방사선 물질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 ALPS 처리수 희석 방출 설비 설치 및 5,6호기 취수로 개거 내 준설 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2023년 7월 3일부터 취수 지점을 '6호기 취수구 앞'에서 '5호기 취수구 앞'으로 변경
  • 해수 채취 작업의 안전 확보를 위해 2024년 6월 11일부터 일시적으로 채취 지점을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1~4호기 방수구(남쪽 방수구)에서 남쪽으로 약 1300m 지점으로 변경했습니다.
  • 방사성 물질이 방사선을 내뿜는 능력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단위
  • 과거 수치'는 1년간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나타냅니다.
    관측 범위는 통상 분석과 상세 분석의 결과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과거 수치가 표시되지 않은 지점은 2021년도에 시료 채취를 실시하지 않은 곳입니다.
  • ND(Not ND(Not Detected)는 측정치가 검출 한계치(검출 하한선) 미만이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검출 한계치는 측정 환경이나 각 측정기의 특성에 따라 변동합니다.
  • 조직자유수형 트리튬이란 동식물의 조직 내에서 물 형태로 존재하는 트리튬입니다.
  • 유기결합형 트리튬이란 동식물의 조직 내의 단백질등에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조직 내에 흡수되는 트리튬입니다.
  • 해수(표층)의 값은 이전에 측정한 결과를 표시한 것입니다.
  • 그래프에는 같은 지점에서 채집된 여러 어류 시료를 분석해 얻은 검출치 중 가장 높은 값으로 표시하였습니다.
    모든 시료가 검출 한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가장 높은 검출 한계치를 표시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영어판)
  • 방사성 물질이 방사선을 내뿜는 능력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단위
  • 과거 수치는 1년간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나타냅니다.
    관측 범위는 일반 분석과 상세 분석 결과를 포함합니다.
    해조는 1년에 한 번, 하나의 시료만 채취함으로, 상기에 표시된 수치는 1년에 한 번실시하는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입니다.
  • ND(Not ND(Not Detected)는 측정치가 검출 한계치(검출 하한선) 미만이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검출 한계치는 측정 환경이나 각 측정기의 특성에 따라 변동합니다.
  • 조직자유수형 트리튬이란 동식물의 조직 내에서 물 형태로 존재하는 트리튬입니다.
  • 유기결합형 트리튬이란 동식물의 조직 내의 단백질등에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조직 내에 흡수되는 트리튬입니다.
  • 해수(표층)의 값은 이전에 측정한 결과를 표시한 것입니다.

지표 (방출 정지 판단 레벨)의 정의

  • ALPS 처리수를 해수로 희석하여 해양에 방출함에 있어, 주변 해역의 모니터링을 통해 방출수가 충분히 확산되지 않는 상황(트리튬 농도가 평소와 다른 상황)등이 확인되었을 경우, 방출을 정지를 하기 위한 설비 운용적인 면에서의 판단 지표를 '방출 정지 판단 레벨'이라고 합니다.
    해당 값을 초과했을 경우에는 신속하게 해양 방출을 정지합니다.
  • 해역의 트리튬 농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14개 지점에서 검출 하한치를 리터 당10Bq/L로 설정해 측정합니다.

지표 (방출 정지 판단 레벨)의 설정

1 방수구 부근 (발전소로부터 3km이내 10개 지점): 리터 당 700Bq/L

  • 정부 방침에서는 방출 시 트리튬 농도 상한치를 리터 당 1,500Bq/L 미만으로 규제하고 있으나, 설비 또는 측정 시에 생길 수있는 불확실성을 고려하더라도 리터 당 1,500Bq/L를 상회하지 않을 것이라 판단하여 방출 시의 운용 상한치를 리터 당 약 700Bq/L로 정하였고, 실시 계획에도 그렇게 기재했습니다.
  • 이 운용 상한치를 바탕으로 방수구 부근 (발전소로부터 3km 이내)의 지표(방출 정지 판단 레벨)를 리터 당 약 700Bq/L로 설정합니다.

2 방수구 부근 외측 (발전소 정면 사방 10km 이내의 4개 지점): 리터 당 30Bq/L

  • 일본 전국에 있는 원자력 발전소 전방 해역의 최근 3년간의 트리튬 농도의 최대치(注記)(리터 당 20Bq/L)를 명백히 초과하는 경우를 통상적인 상태가 아니라고 규정하고, 방수구 부근 외측(발전소 정면 사방 10km 이내의 4개 지점)에서의 지표(방출 정지 판단 레벨)를 최대값(리터 당 20Bq/L)의 1.5배인 리터 당 30Bq/L로 설정합니다.

【참고】국가 법령 기준 리터 당 60,000Bq/L
WHO 음용수 수질 가이드 라인 리터 당 10,000Bq/L

(追記) (追記ここまで)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