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을 통한 데이터 예측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험 사이트를 구축, 실증실험을 통해 인공신경망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변수, 출력변수를
수집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MathWorks 사에서 개발한 수치해석 및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하는 공학용 소프트웨어 MATLAB®을 활용하여
인공신경망 모델을 구축하고 결과값을 도출, 실험 데이터와 오차율을 분석하였다. Fig. 1은 본 연구의 진행순서를 나타낸다.
2.1 실험 데이터 수집
Table 1은 실험 조건을 나타낸다. 실증실험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PVT 모듈, 축열조, 부하측(급탕)으로 시스템을 구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PVT 모듈은
무창형 타입으로 총 10개의 모듈이 설치되었으며, 축열조는 가정용으로 보급되고 있는 0.3 m3급 용량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21년 05월
28일~2021년 06월 18일까지 약 20일간 진행하여 온도계, 유량계, 일사량계를 설치, PVT 입수온도, PVT 유량, 일사량, 외기온도, 축열조
입.출수온도, PVT 열효율, PVT 전력생산량 등 인공신경망 입.출력 변수를 측정하였다. Fig. 2는 실험 사이트에 구축된 시스템 구성도 및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다.
Table 1 Experiment conditions
Division
|
Value
|
Site
|
Gijang-gun, Busan, Republic of Korea
|
Period
|
2021年05月28日. ~ 2021年06月18日.
|
Equipment
|
PVT module
|
Type
|
Unglazed water
|
Module size
|
1.012 m $\times$ 19.72 m (19.95 m2)
|
Thermal efficiency
|
59.7 %
|
Heat storage tank
|
Volume
|
0.3 m3
|
2.2 상관관계 분석
실험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인공신경망에 입력 데이터와 출력 데이터로 구분하여 입력된다. 예측 모델의 계산시간 감소 및 입.출력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관계 강도에 대해 수치화하였다. 피어슨
상관계수는 1부터 -1 사이의 숫자로서 0에 근접할수록 입.출력 데이터간의 관계성이 낮다. 피어슨 상관계수는 식(1)을 통해 산출된다.
(1)
$r=\dfrac{\sum_{i=1}^{n}(X_{i}-\overline{X})(Y_{i}-\overline{Y})}{\sqrt{\sum_{i=1}^{n}(X_{i}-\overline{X})^{2}}\sqrt{\sum_{i=1}^{n}(Y_{i}-\overline{Y})^{2}}}$
여기서, $r$은 피어슨 상관계수, $n$은 데이터의 수,$X_{i}$는 입력 데이터, $\overline{X}$은 입력 데이터의 평균, $Y_{i}$는
출력 데이터, $\overline{Y}$는 출력 데이터의 평균을 나타낸다.
입.출력 데이터에 대한 피어슨 상관계수 결과를 토대로 결정계수(r$^{2}$)를 산출하였으며, 선행연구(8)와 같이 결정계수 값이 0.2 미만인 변수들은 제외한 입력 변수를 적용하였다. Table 2는 피어슨 상관계수 크기에 따른 입.출력 데이터의 관계성을
나타낸다.
Fig. 3 ~ 4는 열효율, Fig. 5 ~ 6까지는 전력 생산량에 대한 피어슨 상관계수 및 결정계수가 높은 입력 데이터의 관계성 및 선형회귀선을 나타낸다. 피어슨 상관계수 결과에 따라 PVT
열효율 입력 변수로 PVT 입수온도, 유량, 축열조 열원측 입.출구 온도, 일사량, 외기온도 총 6개 변수를 적용되며, PVT 전력생산량의 입력 변수는
PVT 입수온도, 축열조 열원측 입.출구온도, 일사량, 외기온도 총 5개 변수가 인공신경망 모델에 반영된다. 선별된 입력 변수들은 학습, 검증, 평가로
구분되어 세트화되며, 각 세트는 입력 변수에 대해 학습 60%, 검증 20%, 평가 20%의 비율로 구분된다. 한편, PVT의 채열량(HER, Heat
Exchange Rate) 및 열효율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다음 식을 통하여 계산하였다.(9)
(2)
$\dot{Q_{PVT}}=\dot{m}\times C\times(T_{PVT,\: out}- T_{PVT,\: i n})$
여기서 $\dot{m}$은 유량(L/min), C는 유동 액체의 비열(J/g.K), $T_{PVT}$는 PVT 순환 유체의 온도(°C)를 나타낸다.
열 효율의 경우 식(2)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3)
$\eta_{th}=\dfrac{\dot{Q_{PVT}}}{A_{PVT}\times G}\times 100\%$
여기서 $A_{PVT}$는 태양열 집열기의 면적(m2), G(W/m2)는 일사량을 나타낸다.
한편, 인공신경망의 학습 과정에서 데이터 단위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낮은 값을 갖는 변수는 도출되는 결과값에 큰 영향이 없다고 인식하여 낮은 가중치가
부여된다. 따라서, 입력 변수의 단위 및 범위에 대한 스케일 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8)에서 수행한 정규화 방법과 같이 데이터 정규화를 통해 모든 입력 변수의 값이 0 ~ 1사이의 값을 갖도록 조정하였다.
Table 2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Parameter
|
Name
|
Thermal efficiency
|
Electrical production
|
r
|
r$^{2}$
|
r
|
r$^{2}$
|
PVT
|
Tsource,in
|
0.52
|
0.27
|
0.58
|
0.34
|
msource
|
0.70
|
0.49
|
0.32
|
0.10
|
Heat storage tank
|
Tsource,in
|
0.52
|
0.27
|
0.58
|
0.34
|
Tsource,out
|
0.50
|
0.25
|
0.56
|
0.31
|
Tload,in
|
0.35
|
0.12
|
0.39
|
0.15
|
Tload,out
|
0.21
|
0.05
|
0.25
|
0.06
|
Taverage
|
0.42
|
0.17
|
0.46
|
0.21
|
Solar
|
Qsolar
|
0.77
|
0.60
|
0.90
|
0.81
|
Outdoor
|
Toutdoor
|
0.55
|
0.30
|
0.69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