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실험 결과 및 분석
3.3.1 정상 운영 시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Table 5는 정상 운영 시 이산화탄소 농도의 최대 평균값을 확인하여 실험 조건으로 제시하기 위해 입장객 수가 유사한 때 3회에 걸쳐 10 sec 간격으로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최대 평균값은 A구역 1,277.6 ppm, B구역 1,305.8 ppm으로 나타났으며, 최솟값은 A구역 390.5
ppm, B구역 407.9 ppm으로 나타났다. 측정 결과 입장객 수가 많은 16시~19시 사이에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이때 이산화탄소 농도 최대
평균값은
Fig. 6과 같이 1,200~1,250 ppm 유지하였고, 해당 농도 값을 기준으로 실험 조건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Table 5. Measurement of CO2concentration during normal operation
|
Category
|
A_zone
|
B_zone
|
Total average
|
|
Measurement date
|
Day 1
|
Day 2
|
Day 3
|
Average
|
Day 1
|
Day 2
|
Day 3
|
Average
|
|
Maximum value
|
1,282.2
|
1,260.1
|
1,290.4
|
1,277.6
|
1,263.0
|
1,324.7
|
1,329.7
|
1,305.8
|
1,291.7
|
|
Minimum value
|
371.1
|
402.3
|
398.0
|
390.5
|
373.0
|
424.3
|
426.3
|
407.9
|
399.2
|
|
Number of visitors
|
2,038
|
2,282
|
2,228
|
2,183
|
2,038
|
2,282
|
2,228
|
2,183
|
2183
|
3.3.2 돔 개방 시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Table 6은 돔 개방을 하기 2분 전, 개방 60분, 다시 돔을 폐쇄한 후 2분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평균 변화량을 나타낸 결과이다. 먼저 돔 개방을 하기 전
평균은 A구역에서는 높이에 따라 1,152~1,177 ppm으로 나타났으며 그 평균은 1,161 ppm이었다. B구역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량은
1,140~1,163 ppm이었으며, 평균은 1,154 ppm이었다.
Table 6. Measurement of CO2with dome open
|
Height (m)
|
Before experiment
|
During experiment
|
After experiment
|
|
Zone A
|
Zone B
|
Zone A
|
Zone B
|
Zone A
|
Zone B
|
|
7.2
|
1,152
|
1,163
|
1,082(↓ 95)
|
1,075(↓ 86)
|
1,080(↓ 72)
|
1,063(↓ 98)
|
|
4.8
|
1,161
|
1,163
|
1,082(↓ 95)
|
1,111(↓ 52)
|
1,054(↓ 123)
|
1,099(↓ 64)
|
|
2.4
|
1,161
|
1,140
|
1,007(↓ 146)
|
1,042(↓ 98)
|
968(↓ 185)
|
1,028(↓ 112)
|
|
Average
|
1,161
|
1,154
|
1,057(↓ 104)
|
1,082(↓ 95)
|
1,034(↓ 127)
|
1,064(↓ 90)
|
|
Outside(CO2)
|
553
|
돔 개방 이후 60분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량은 A구역에서는 1,007~1,083 ppm으로 나타났고, 평균은 1,057 ppm으로 실험 전 평균에
비해 104 ppm(9.0%)이 낮아졌다. B구역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량이 1,042~1,111 ppm으로 높이별로 다르게 나타났고, 평균은
1,076 ppm으로 실험 전 평균에 비해 78 ppm(6.8%)이 낮아졌다. 실험 후에도 실험 구간과 비교하였을 때 저감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유지되었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실내외 압력차(온도와 밀도와의 관계)와 외부 공기 흐름으로 자연환기가 되는 돔 개방은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3.3 측면 창 개방 시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Table 7은 측면 창 개방을 하기 2분전, 개방 60분, 다시 측면 창을 폐쇄한 후 2분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평균 변화량을 나타낸 결과이다. 먼저 측면 창
개방을 하기 전의 평균은 A구역에서는 높이에 따라 1,134~1,219 ppm으로 나타났으며 그 평균은 1,175 ppm이었다. B구역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량은 1,157~1,267 ppm이었으며, 평균은 1,209 ppm이었다.
Table 7. Measurement of CO2with side window open
|
Height (m)
|
Before experiment
|
During experiment
|
After experiment
|
|
Zone A
|
Zone B
|
Zone A
|
Zone B
|
Zone A
|
Zone B
|
|
7.2
|
1,172
|
1,157
|
1,147(↓ 25)
|
886(↓ 271)
|
1,159(↓ 13)
|
1,121(↓ 36)
|
|
4.8
|
1,219
|
1,267
|
1,171(↓ 48)
|
1,017(↓ 250)
|
1,191(↓ 28)
|
1,186(↓ 81)
|
|
2.4
|
1,134
|
1,202
|
1,080(↓ 54)
|
1,031(↓ 171)
|
1,124(↓ 10)
|
1,114(↓ 88)
|
|
Average
|
1,175
|
1,209
|
1,132(↓ 43)
|
978(↓ 231)
|
1,158(↓ 17)
|
1,140(↓ 69)
|
|
Outside(CO2)
|
493
|
측면 창 개방을 한 이후 60분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량은 A구역에서는 1,080~1,171 ppm으로 나타났고, 평균은 1,132 ppm으로 실험
전 평균에 비해 43 ppm(3.7%)이 낮아졌다. B구역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량이 886~1,031 ppm으로 높이별로 다르게 나타났고, 평균은
978 ppm으로 실험 전 평균에 비해 231 ppm(19.1%)이 낮아졌다. 실험 후에는 실험 구간과 비교하였을 때 이산화탄소 농도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그 원인은 측면 창 폐쇄에 따른 외부 공기 유입 차단과 동시에 풍량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판단된다. 다만 돔 개방과의 차이를 비교해 볼
때, 돔 개방 시에는 온도와 밀도와의 관계가 있어 수직으로 실내의 공기가 빠져나간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3.3.4 돔과 측면 창 동시 개방 시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Table 8은 돔과 측면 창을 동시에 개방하기 2분전, 개방 60분, 다시 돔과 측면 창을 동시에 폐쇄한 후 2분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평균 변화량을 나타낸 결과이다.
먼저 돔과 측면 창을 동시에 개방하기 전의 평균은 A구역에서는 높이에 따라 1,172~1,262 ppm으로 나타났으며 그 평균은 1,217 ppm이었다.
B구역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량은 1,216~1,245 ppm이었으며, 평균은 1,232 ppm이었다.
Table 8. Measurement data of CO2when the dome and the side window is open
|
Height (m)
|
Before experiment
|
During experiment
|
After experiment
|
|
Zone A
|
Zone B
|
Zone A
|
Zone B
|
Zone A
|
Zone B
|
|
7.2
|
1,217
|
1,234
|
1,055(↓ 162)
|
839(↓ 395)
|
1,069(↓ 148)
|
791(↓ 443)
|
|
4.8
|
1,262
|
1,245
|
1,105(↓ 157)
|
894(↓ 351)
|
1,133(↓ 129)
|
870(↓ 375)
|
|
2.4
|
1,172
|
1,216
|
1,043(↓ 129)
|
950(↓ 266)
|
1,071(↓ 101)
|
966(↓ 250)
|
|
Average
|
1,217
|
1,232
|
1,068(↓ 149)
|
894(↓ 338)
|
1,091(↓ 126)
|
876(↓ 356)
|
|
Outside(CO2)
|
670
|
돔과 측면 창을 동시에 개방 한 이후 60분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량은 A구역에서는 1,043~1,105 ppm으로 나타났고, 평균은 1,068
ppm으로 실험 전 평균에 비해 149 ppm(12.2%)으로 크게 낮아졌다. B구역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량이 839~950 ppm으로 높이별로
다르게 나타났고, 평균은 894 ppm이고 실험 전 평균에 비해 338 ppm(27.4%)으로 크게 낮아졌다. 실험 후에는 실험 구간과 비교하였을
때 A구역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다소 상승하였다.
결과적으로 자연환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돔과 측면 창 개방은 이산화탄소 농도 감소에 매우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3.3.5 공조기 외기도입 시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Table 9는 공조기 외기도입을 하기 2분전(댐퍼 0%), 외기도입 60분(댐퍼 100%), 다시 공조기 외기도입을 차단한 후 2분간(댐퍼 0%)의 이산화탄소
농도 평균 변화량을 나타낸 결과이다. 먼저 공조기 외기도입을 하기 전의 평균은 A구역에서는 높이에 따라 1,142~1,246 ppm으로 나타났으며
그 평균은 1,197 ppm이었다. B구역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량은 1,172~1,219 ppm으로 평균은 1,203 ppm이었다.
Table 10은 공조기 댐퍼 조정(0%, 100%)에 따른 외기 풍량 측정값을 나타낸 것이다.
Table 9. Measurement data of CO2concentration with damper open
|
Height (m)
|
Before experiment
|
During experiment
|
After experiment
|
|
Zone A
|
Zone B
|
Zone A
|
Zone B
|
Zone A
|
Zone B
|
|
7.2
|
1,203
|
1,172
|
1,061(↓ 142)
|
1,052(↓ 120)
|
983(↓ 220)
|
978(↓ 194)
|
|
4.8
|
1,246
|
1,219
|
1,094(↓ 152)
|
1,114(↓ 105)
|
984(↓ 262)
|
1,012(↓ 207)
|
|
2.4
|
1,142
|
1,219
|
1,007(↓ 135)
|
1,103(↓ 116)
|
892(↓ 250)
|
1,041(↓ 178)
|
|
Average
|
1,197
|
1,203
|
1,054(↓ 143)
|
1,090(↓ 113)
|
953(↓ 244)
|
1,011(↓ 192)
|
|
Outside(CO2)
|
605
|
Table 10. Measurement data of outdoor air flow rate
|
HVAC
|
Before experiment
|
During experiment
|
Volume
|
ACH (Air change per hour)
|
|
Damper(0%)
|
Damper(100%)
|
|
AHU-1
|
0 CMH
|
29,110 CMH
|
14,996 m3
|
1.94 times/hr
|
|
AHU-2
|
0 CMH
|
23,771 CMH
|
14,996 m3
|
1.59 times/hr
|
|
Total
|
0 CMH
|
52,881 CMH
|
29,992 m3
|
1.76 times/hr
|
공조기 외기도입(댐퍼 개방)을 한 이후 60분간의 이산화탄소 측정량은 A구역에서는 1,007~1,094 ppm으로 나타났고, 평균은 1,054 ppm으로
실험 전 평균에 비해 143 ppm(12.0%)이 낮아졌다. B구역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량이 1,052~1,114 ppm으로 높이별로 다르게
나타났고, 평균은 1,090 ppm으로 실험 전 평균에 비해 113 ppm(9.4%)이 낮아졌다. 실험 후도 실험 구간과 비교하였을 때 이산화탄소
농도는 모두 크게 감소하여 큰 효율을 보였다.
이때 외기도입량은 실험 전과 비교하여 실험 구간(댐퍼 100% 개방)에서 풍량이 52,881 CMH로 측정되었으며, 환기 횟수는 1.76회/hr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조기 댐퍼 조정을 통한 외기도입은 환기 개선에 도움을 주며, 이산화탄소 농도 감소에 크게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3.3.6 나나나
Table 11과 같이 실험 별 분석결과 실험 구간 및 실험 후에서 모두 타 실험과 비교하여 돔과 측면 창 동시 개방이 가장 많은 이산화탄소 농도 감소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공조기에 의한 외기도입이 가장 큰 감소를 나타냈다. 반면 본 연구의 경우 현장실험으로 진행되어 실험마다 외기 및 현장 조건이 각기 다르다는
점이 있어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공기질 개선지표 를
식(1)과 같이 제안하였다.
Table 11. Average CO2concentration of Zone A and B
|
Case
|
Method
|
Outside (CO2)
|
Before experiment
|
During experiment
|
After experiment
|
I
|
|
1
|
Dome open
|
553
|
1,158
|
1,067(↓91)
|
1,049(↓109)
|
0.18
|
|
2
|
Side window open
|
493
|
1,192
|
1,055(↓137)
|
1,149(↓43)
|
0.06
|
|
3
|
Both dome and side window open
|
670
|
1,224
|
981(↓243)
|
983(↓241)
|
0.43
|
|
4
|
AHU operation with outdoor air damper open
|
605
|
1,200
|
1,072(↓128)
|
982(↓218)
|
0.37
|
(1)
외기 및 현장조건이 반영된 공기질개선지표에서는
Fig. 7과 같이 자연환기 복합인 돔과 측면 창 개방이 가장 높은 0.43으로 나타났다. 실험결과에서 측면 창 개방은 일시적으로 이산화탄소가 저감되는 것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외부의 바람 환경에 영향을 받으므로 지속성은 불리하였다. 그러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오염된 공기가 유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가진 Case 3이 이산화탄소 저감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Case 4 기계환기는 Case 3과 비교하여 환기량이 적어 상대적으로
효과가 작게 나온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