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해석모델
일반적으로 축열조 내부는 열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축열 물질과 축열 물질에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축열 물질의 상변화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유체가 흐름)과 축열 물질로부터 열에너지를 빼앗기 위한 배관(축열 물질의 상변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유체가 흐름)으로 구성 되어 있다.
따라서 Fig.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축열조 내부 구조 일부분을 모사하여 해석 모델을 구성하였다. 사각 공간(×ばつW = ×ばつ0.1 m2)에서 좌우 경계면은 등온 조건을, 상하 경계면은 단열조건을 부여하였다. 사각 공간 내부는 table 1과 같은 열물성을 갖는 PCM이 모두 충전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초기 온도(Tin)는 80°C로 고정하였다. 또한 사각 공간의 좌측은 PCM에서 열에너지가 방출 되도록 하기 위해 경계면 온도를 PCM의 상변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도록 하였으며 사각 공간 우측은 PCM에 열에너지를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경계면 온도를 PCM의 상변화 온도보다 높게 하였다. 그리고 PCM이 충전된
사각 공간에는 y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자연대류를 고려한 상변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ANSYS FLUENT® 프로그램은 비압축성, 비정상, 층류유동
상태에서 해석을 수행했으며 Energy equation과 solidification/melting model을 사용하였다. 또한 Boussinesq
근사를 이용하여 상변화 과정에서 PCM의 밀도를 정의하였으며 열 유동장 해석은 SIMPLE Algorithm 기법을 이용하여 수행했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the analysis model, counter flow of rectanguler space simulates the thermal storage tank.
../../Resources/sarek/KJACR.2016288.305/fig1.png
Table 1. Thermal properties of PCM
Item
|
value
|
Density(kg/m3)
|
2,180(1,950)
|
Specific heat(kJ/kg·°C)
|
2.25(3.77)
|
Thermal conductivity(W/m·°C)
|
1.3(0.657)
|
Latent heat(kJ/kg)
|
301
|
Viscosity(kg/m·s)
|
×ばつ10-3
|
Melting temp.(°C)
|
78
|
2.2 지배방정식
PCM의 상변화 과정을 해석하는 동안 적용된 연속방정식(식(1)), 운동량 방정식(x방향-식(2), y방향-식(3)) 및 에너지 방정식(식(4))은 다음과 같다.
(1)
(2)
(3)
(4)
또한 해석과정 중 물질이 상변화하는 과정에서 열물성에 변화를 발생하기 때문에 고상, 액상 및 잠열구간(mushy zone)에서의 PCM 물성은 각
온도구간에서 다음으로 정의되는 액분율 φ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5)
따라서 PCM의 밀도, 열전도도 및 엔탈피는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6)
(7)
(8)
여기서 는 잠열의 변화량(Δ)을, L은 PCM의 잠열량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상태의 물질 내부는 온도차에 의한 부력으로 자연대류가 발생하며 이를 고려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Boussinesq근사식을 적용하였다.
(9)
또한 PCM이 충전된 2차원 사각 공간에서 상변화 시 부피변화와 y방향의 위치에 따른 운동량 변화는 고려하지 않았으며 사각 공간 경계인 벽면에서
액상 PCM의 속도 u, v는 점착(no-slip)조건에 의해 0으로 가정하였고 사각 공간에서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액상 PCM의 점성은 일정하다고
하였다.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