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 | 9 | <h2>1부. 라즈베리 파이 사용하기</h2>
|
10 | 10 | <h3>1장. 사물인터넷과 라즈베리 파이</h3>
|
11 | 11 | <h4>1.1. 사물인터넷과 오픈 소스 하드웨어 플랫폼</h4>
|
12 | | -<h5>1.1.1 제4차 산업혁명과 사물 인터넷</h5> |
13 | | -<h5>1.1.2 오픈 소스의 발전과 오픈 소스 하드웨어의 등장</h5> |
14 | | -<h5>1.1.3 아두이노</h5> |
| 12 | +<h5> 1.1.1 제4차 산업혁명과 사물 인터넷</h5> |
| 13 | +<h5> 1.1.2 오픈 소스의 발전과 오픈 소스 하드웨어의 등장</h5> |
| 14 | +<h5> 1.1.3 아두이노</h5> |
15 | 15 | <h4>1.2. 라즈베리 파이 한 입 베어 물기</h4>
|
16 | | -<h5>1.2.1 라즈베리 파이</h5> |
17 | | -<h5>1.2.2 라즈베리 파이의 모델 및 구조</h5> |
| 16 | +<h5> 1.2.1 라즈베리 파이</h5> |
| 17 | +<h5> 1.2.2 라즈베리 파이의 모델 및 구조</h5> |
18 | 18 | <h4>1.3.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주변 장치</h4>
|
19 | | -<h5>1.3.1 컴퓨터 시스템을 위한 주변 장치</h5> |
20 | | -<h5>1.3.2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주변 장치</h5> |
21 | | -<h5>1.3.3 라즈베리 파이와 SD 카드</h5> |
22 | | -<h5>1.3.4 라즈베리 파이와 주변 장치</h5> |
| 19 | +<h5> 1.3.1 컴퓨터 시스템을 위한 주변 장치</h5> |
| 20 | +<h5> 1.3.2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주변 장치</h5> |
| 21 | +<h5> 1.3.3 라즈베리 파이와 SD 카드</h5> |
| 22 | +<h5> 1.3.4 라즈베리 파이와 주변 장치</h5> |
23 | 23 | <h4>1.4 라즈베리파이를위한준비운동:사용환경설정</h4>
|
24 | | -<h5>1.4.1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운영체제</h5> |
25 | | -<h5>1.4.2 라즈베리 파이의 디스크 이미지 설치</h5> |
26 | | -<h5>1.4.3 라즈베리 파이의 기본 계정과 부팅 시 환경설정</h5> |
27 | | -<h5>1.4.4 라즈베리 파이의 환경설정</h5> |
28 | | -<h5>1.4.5 네트워크의 사용치</h5> |
| 24 | +<h5> 1.4.1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운영체제</h5> |
| 25 | +<h5> 1.4.2 라즈베리 파이의 디스크 이미지 설치</h5> |
| 26 | +<h5> 1.4.3 라즈베리 파이의 기본 계정과 부팅 시 환경설정</h5> |
| 27 | +<h5> 1.4.4 라즈베리 파이의 환경설정</h5> |
| 28 | +<h5> 1.4.5 네트워크의 사용치</h5> |
29 | 29 | <h4>1.5 요약</h4>
|
30 | 30 | <br>
|
31 | 31 | <h3>2장. 리눅스의 기초: 라즈베리 파이와 친해지기</h3>
|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