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1 | # LinuxProgrammingWithRaspberryPi
|
2 | 2 | <br>
|
3 | | -<h2>Linux Programming With Raspberry Pi(2nd Edition)</h2><br> |
| 3 | +<h1>Linux Programming With Raspberry Pi(2nd Edition)</h1><br> |
4 | 4 | 출판사 제이펍을 통해 출판한 "사물인터넷을 위한 리눅스 프로그래밍 with 라즈베리 파이(2nd Edition)"의 소스 코드 사이트입니다.<br>
|
5 | 5 | <ul>
|
6 | 6 | <li>라즈비안(Raspbian)Buster 2019년 9월 26일 버전을 기준으로 소스 코드가 작성되어 있습니다.</li>
|
7 | 7 | </ul>
|
8 | 8 | <br>
|
9 | | -<h3>1부. 라즈베리 파이 사용하기</h3> |
10 | | -<h4>1장. 사물인터넷과 라즈베리 파이</h4> |
11 | | -<h4>2장. 리눅스의 기초: 라즈베리 파이와 친해지기</h4> |
12 | | -<h4>3장. 라즈베리 파이와 GPIO: 하드웨어 제어</h4> |
| 9 | +<h2>1부. 라즈베리 파이 사용하기</h2> |
| 10 | +<h3>1장. 사물인터넷과 라즈베리 파이</h3> |
| 11 | +<h4>1.1. 사물인터넷과 오픈 소스 하드웨어 플랫폼</h4> |
| 12 | +<h5> 1.1.1 제4차 산업혁명과 사물 인터넷</h5> |
| 13 | +<h5> 1.1.2 오픈 소스의 발전과 오픈 소스 하드웨어의 등장</h5> |
| 14 | +<h5> 1.1.3 아두이노</h5> |
| 15 | +<h4>1.2. 라즈베리 파이 한 입 베어 물기</h4> |
| 16 | +<h5> 1.2.1 라즈베리 파이</h5> |
| 17 | +<h5> 1.2.2 라즈베리 파이의 모델 및 구조</h5> |
| 18 | +<h4>1.3.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주변 장치</h4> |
| 19 | +<h5> 1.3.1 컴퓨터 시스템을 위한 주변 장치</h5> |
| 20 | +<h5> 1.3.2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주변 장치</h5> |
| 21 | +<h5> 1.3.3 라즈베리 파이와 SD 카드</h5> |
| 22 | +<h5> 1.3.4 라즈베리 파이와 주변 장치</h5> |
| 23 | +<h4>1.4 라즈베리파이를위한준비운동:사용환경설정</h4> |
| 24 | +<h5> 1.4.1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운영체제</h5> |
| 25 | +<h5> 1.4.2 라즈베리 파이의 디스크 이미지 설치</h5> |
| 26 | +<h5> 1.4.3 라즈베리 파이의 기본 계정과 부팅 시 환경설정</h5> |
| 27 | +<h5> 1.4.4 라즈베리 파이의 환경설정</h5> |
| 28 | +<h5> 1.4.5 네트워크의 사용치</h5> |
| 29 | +<h4>1.5 요약</h4> |
13 | 30 | <br>
|
14 | | -<h3>2부. 리눅스 기본 프로그래밍</h3> |
15 | | -<h4>4장. 리눅스 프로그래밍의 기초</h4> |
16 | | -<h4>5장. 프로세스와 스레드: 다중 처리</h4> |
17 | | -<h4>6장. 리눅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사물인터넷의 연결을 위한 기초</h4> |
| 31 | +<h3>2장. 리눅스의 기초: 라즈베리 파이와 친해지기</h3> |
| 32 | +<h3>3장. 라즈베리 파이와 GPIO: 하드웨어 제어</h3> |
18 | 33 | <br>
|
19 | | -<h3>3부.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h3> |
20 | | -<h4>7장. 리눅스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 현란함과 즐거움</h4> |
21 | | -<h4>8장. OpenCV 프로그래밍: 사진 속 얼굴을 찾아라</h4> |
22 | | -<h4>9장. OpenGL ES를 이용한 3D 프로그래밍: 3차원의 세계로...</h4> |
| 34 | +<h2>2부. 리눅스 기본 프로그래밍</h2> |
| 35 | +<h3>4장. 리눅스 프로그래밍의 기초</h3> |
| 36 | +<h3>5장. 프로세스와 스레드: 다중 처리</h3> |
| 37 | +<h3>6장. 리눅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사물인터넷의 연결을 위한 기초</h3> |
23 | 38 | <br>
|
24 | | -<h3>4부. 리눅스 고급 프로그래밍</h3> |
25 | | -<h4>10장. Qt를 이용한 GUI 프로그래밍: 더 편리한 접근성</h4> |
26 | | -<h4>11장. 라즈베리 파이와 인공지능: Caffe에서 한잔~</h4> |
27 | | -<h4>12장. 리눅스 커널과 디바이스 드라이버: 더 깊은 곳으로</h4> |
| 39 | +<h2>3부.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h2> |
| 40 | +<h3>7장. 리눅스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 현란함과 즐거움</h3> |
| 41 | +<h3>8장. OpenCV 프로그래밍: 사진 속 얼굴을 찾아라</h3> |
| 42 | +<h3>9장. OpenGL ES를 이용한 3D 프로그래밍: 3차원의 세계로...</h3> |
28 | 43 | <br>
|
29 | | -<h3>부록</h3> |
30 | | -<h5>13-2. 리눅스 셸(Shell) 프로그래밍</h5> |
31 | | -<h5>13-3. GStreamer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h5> |
32 | | -<h5>13-4. ARM NEON 기반의 SIMD 프로그래밍</h5> |
| 44 | +<h2>4부. 리눅스 고급 프로그래밍</h3> |
| 45 | +<h3>10장. Qt를 이용한 GUI 프로그래밍: 더 편리한 접근성</h3> |
| 46 | +<h3>11장. 라즈베리 파이와 인공지능: Caffe에서 한잔~</h3> |
| 47 | +<h3>12장. 리눅스 커널과 디바이스 드라이버: 더 깊은 곳으로</h3> |
| 48 | +<br> |
| 49 | +<h2>부록</h2> |
| 50 | +<h4>13-2. 리눅스 셸(Shell) 프로그래밍</h4> |
| 51 | +<h4>13-3. GStreamer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h4> |
| 52 | +<h4>13-4. ARM NEON 기반의 SIMD 프로그래밍</h4>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