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의회 박용근 의원(장수)은 21일 열린 제423회 제2차 정례회 5분 자유발언에서 전북형 전 생애 AI 교육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박 의원은 먼저, 전 세계적으로 산업과 사회가 AI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전북이 확보한 1조원 규모의 피지컬 AI 국가 산업은 지역 성장과 혁신을 이끌 절호의 기회라고 강조했다.그러나 "기술과 인프라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으며, 진정한 경쟁력은 도민의 AI 역량에서 출발한다"며, AI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했다.현재 전북의 AI 교육이 대학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청년 구직자, 중소기업 재직자, 경력단절여성, 시니어, 농어촌 주민 등 대대수 도민이 교육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최근 발표된 ‘2026년 AIᆞ디지털 교육 대전환’추진 계획은 기대와 달리 대부분 기존 사업의 확대 수준에 그치며, 실제 산업 현장에 필요한 실무형 교육과 충분한 전문 인력 양성은 부족한 상태라고 말했다.박 의원은 타 광역지자체 사례를 들며, 전북자치도의 신속한 대응을 촉구했다. 서울시는 모든 시민이 참여 가능한 AI 캠퍼스와 플랫폼을 운영 중이며, 경기도는 ‘AI 휴머노믹스’비전 아래 전 도민을 대상으로 한 전 생애 AI 교육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의회 공고 제2025-256호 「전북특별자치도 기후대응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개정함에 있어 그 입법취지와 주요 내용을 도민에게 알려 의견을 구하고자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회의 규칙」 제13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입법예고 합니다. 2025년 11월 5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의장 전북특별자치도 기후대응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1. 제안 이유 ❍ 기후위기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시급한 과제로서 이미 도민의 삶과 지역 경제 전반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그러나 현행 제도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이나 지역 특화 분야의 기후위기 대응 사업 등이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함. 2. 주요내용 가. 기업이나 민간이 ESG 활동과 관련한 기부금 또는 출연금 신설(안 제2조) 나. 기금의 용도에 기술개발·설비투자 및 지역 특화 분야의 기후위기 대응 사업 등에 관한 사항 신설(안 제3조) 3. 의견제출 이 조례안에 대하여 의견이 있는 개인·법인 또는 기관·단체는 다음을 참고하여 그 의견을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제출기한 : 2025년 11월 9일까지 나. 제출방법 : 서면·우편·전자우편·직접방문 ▣ 보내는 곳 : 우편번호 54968/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25 전북특별자치도의회사무처 농업복지환경전문위원실 ▣ 전화번호 : 063) 280-4312, 팩스번호 : 063) 280-3685 ▣ 전자우편 : hany1012@korea.kr 다. 기재내용 : 예고사항에 대한 항목별 의견(찬성 및 반대 의견과 그 이유), 제출자 성명(기관, 단체명과 대표자 성명), 주소, 전화번호, 기타 참고사항 등 라. 문의전화 : 063) 280-4312 4. 조례안 : 붙임
전북특별자치도의회인사위원회 공고 제2025-14호2025년 제5회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일반임기제공무원 임용시험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참신하고 유능한 인재의 많은 응모를 바랍니다. 2025. 11. 12. 전북특별자치도의회인사위원회위원장
지도를 클릭하시면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해당 지역구 의원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