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래3.1독립만세재현

개요 및 내용

행사진행일정 - 행사명,시간,장소,세부행사,비고 내용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일시 2025年3月1日.(토) 10:00~14:00
장소 부산 3·1독립운동기념탐, 내성초등학교, 만세거리 등
행사구성 부산 3·1독립운동기념탐 참배(헌화·분향)
3·1기념식(내성초등학교)
동래3·1독립만세 재현(만세거리 행진, 단막극 공연)
체험행사(동래구청 앞마당)
전시행사(동래구청 1층)
참여 시민, 학생 등 2,000여명
행사진행 일정
행사진행일정
행사진행일정 : 단위행사명, 시간, 장소, 세부행사내용
단위행사명 시간 장소 세부행사내용
식 전 공 연 09:50~10:00 내성초등학교
운동장
풍물 공연
기 념 식 10:00~10:20 국민의례,독립선언서 낭독, 기념사 등
만세재현
및 행진
독립만세
재 현
10:20~10:35 내성초등학교
운동장
단막극「동래의 빛」
10:35~11:10 내성초등학교~CU동래고점~동래고정문 만세운동재현 거리행진
"박차정 의사 생가" 앞 일대기 사진 전시 및 독립군가 방송
수안인정시장 사거리 ‘애국시민을 구출하라’ 퍼포먼스
11:10~11:15 동래시장 특설무대 풍물공연
11:15~11:20 개 막(큰북치기)
횃불 점화 (注記)에어샷 연출
11:20~11:50 창작 공연
단막극「여명의 함성」
독립선언서 세 가지 약속 낭독
11:50~12:00 동래구청 앞 까지 만세 행진 후 해산
부대행사 전시 및
체험 행사
08:00~11:00 내성초등학교 운동장 태극타투 부스 운영
10:00~14:00 동래구청 앞마당 ‘나도 독립투사’ 체험 이벤트
대형 태극기·태극나무 포토존
태극 바람개비 만들기
태극기·무궁화 그립톡 만들기
10:00~14:00 동래구청 1층 ‘이야기 독립운동사’ 전시회(독립기념관 순회전시)
LED전광판 홍보영상 상영

재현행사의 의의

  • 동래 선열들의 국난극복 정신을 이어받기 위하여 1919년 당시 만세운동을 일으켰던 구 하나은행 동래지점에서 복산동주민센터까지 570m를 동래구에서 만세거리로 지정하고, 1996년부터 매년 3월 1일 독립만세 재현행사를 개최하여 오다 1999년부터 동래문화원에서 주관해 오고 있음.
  • 1996년 3월 1일 동래사적공원에 내 고장 내 겨레는 우리 스스로가 지켜야 한다는 교훈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자 부산의 3.1독립운동약사와 함께 높이 21.6m, 좌대는 29m ×ばつ 29m의 부산 3.1독립운동기념탑을 건립하고 기념식을 거행해 오다 2003년부터는 당시 만세운동의 주역을 기리는 뜻에서 장소를 옮겨 동래고등학교(옛 동래고보)에서 기념식을 개최하게 되었음.
  • 특히 청소년들에게 국난극복의 민족정신을 체험적으로 계승하게 함으로써 민족성을 일깨우고 현 시대적 조류에 걸맞는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하고 애국애향의 정신을 고취하고자 함.

동래 3.1독립만세의 역사성

동래3.1독립만세재현 이미지1

  • -동래 선열들의 국난극복 정신을 이어받기 위하여 1919년 당시 만세운동을 일으켰던 구 하나은행 동래지점에서 복산동주민센터까지 570m를 동래구에서 만세거리로 지정하고, 1996년부터 매년 3월 1일 독립만세 재현행사를 개최하여 오다 1999년부터 동래문화원에서 주관해 오고 있음.
  • -1996년 3월 1일 동래 사적공원에 내 고장 내 겨레는 우리 스스로가 지켜야 한다는 교훈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자 부산의 3.1독립운동약사와 함께 높이 21.6m, 좌대는 29m ×ばつ 29m의 부산 3.1독립운동기념탑을 건립하고 기념식을 거행해 오다 2003년부터는 당시 만세운동의 주역을 기리는 뜻에서 장소를 옮겨 동래고등학교(옛 동래고보)에서 기념식을 개최하게 되었음.

동래3.1독립만세재현 이미지2 특히 청소년들에게 국난극복의 민족정신을 체험적으로 계승하게 함으로써 민족성을 일깨우고 현 시대적 조류에 걸맞는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하고 애국애향의 정신을 고취하고자 함. 3월7일 서울에서 내려온 학생대표(연희전문 김아무개)는 동래고보 학생대표 김귀룡, 고영건, 엄진영 등을 찾아가 독립선언서를 전달하고 함께 봉기할 것을 협의하였다. 그리하여 동래고보는 졸업반 4학년생인 엄진영, 김귀룡, 고영건, 김인호, 이상덕, 박득용, 윤삼동, 이병심, 손정줄, 배대효, 박임갑, 김철규 등이 시위를 모의하고 각 학급의 연락을 위해 3학년 추규영, 김원료, 김기삼, 손영수, 정호종, 박종관, 서진령 등과 2학년 이수열, 임명조 등을 비밀리에 모아 전 학생이 총궐기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렇게 학생들의 시위가 무르익고 있을 때인 3월 10일경 동래고보를 졸업하고 경성공업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곽상훈이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동래에 내려왔다. 곽상훈은 도착 즉시 당시 동래고보 수학교사였던 이환을 찾아가 3.1독립운동 시위를 상의하였다. 이환, 김병규 교사의 지원으로 사기가 고조된 학생들은 거사일을 동래장날인 3월 13일 오후 2시로 잡고 고영건의 하숙방에서 서진령, 엄진영, 김인호 등이 학교에서 옮겨온 등사판을 이용해 독립선언서 500장과 ‘대한독립만세’라고 쓴 2개의 기치와 수백장의 태극기 그리고 ‘오왕독살(吾王毒殺)’이라는 수백장의 전단을 준비하였다. 이와 같이 만반의 준비를 갖춘 동래고보 주동학생들은 동래 장날인 13일 약속된 오후 2시가 가까워지자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가슴에 품고, 동네 부인네들도 몰래 전달받은 태극기를 감추어 동래군청(현 동래부동헌) 앞으로 집결하기 시작하였다. 약속된 2시를 기해 엄진영은 군청 앞 망미루에 올라 태극기를 흔들면서 ‘대한독립만세’를 선창하자, 주위에 모였던 200여명의 학생들과 부인네들을 비롯한 장꾼들이 일제히 호응하였다. 그리고 동시에 ‘대한독립만세’라고 쓴 2개의 기치가 세워지고 독립선언서와 ‘오왕독살(吾王毒殺)’이라고 쓴 수백장의 전단이 뿌려져 시장은 삽시간에 흥분의 도가니로 가득찼다. 이 때 학생들의 동태를 살피던 일경들도 극도로 당황하였고 그 중 한국인 경찰 한 명과 헌병보조원 한명이 갑자기 모자와 제복을 벗어버리고 속옷차림으로 군중에 호응하여 감격에 넘쳐 만세를 불렀다. 참으로 민족정기가 분출되는 순간이었다. 그러나 오래가지 않아 일본경찰들은 시위군중과 학생들을 향해 발포를 하면서 폭압적인 진압에 나서 주동학생을 모두 검거하였다. 당시 시위에 참가하였던 학생들은 1919년 4월 22일 부산지방법원에서 형을 받았다. 한편 학생들이 검거된 뒤 다음 장날인 3월 18일에는 일반군중들이 동래경찰서에 달려가 항의 시위를 계속 하였다. 이를 볼 때 당시 동래고보생들의 시위가 얼마나 동래지역민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또 학생들이 갇혀 있는 동안 동래사람 모두가 하나 되어 사식(私食)을 넣어주었던 동족애는 역사의 귀감이 되기에 충분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하여 3. 18. 범어사 명정학교, 3. 29. 구포장터만세운동이 일어나는 등 부산 경남 지역 3.1독립만세운동의 불씨가 되었다.

재현동영상

3 · 1 독립만세운동 재현동영상

  • 나라를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았던 옛선열과 동래 출신의 많은 독립운동가 그분들의 뜻을 기리고 숭고한 정신을 이어가고자 매년 열리는 삼일독립만세운동 재현행사 또한 동래인의 호국정신을 잘 알 수 있는 행사입니다.
동래 3.1독립만세운동 재현

동래 선열들의 국난극복 정신을 이어받기 위하여 1919년 당시 만세운동을 일으켰던 현재의 하나은행 동래지점에서 복산동 주민센터까지 570m를 동래구에서 만세거리에서의 재현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그날의 뜨거운 민족의 함성과 혼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3 · 1 독립만세운동 재현동영상 다운받기

나라사랑 한마디 스티커 붙이기 체험자 한마디

제96주년 3·1절 기념 동래 3·1 독립만세운동 재현행사

  • 나라의 해방을 위해 목숨을 버리신 선조들의 얼을 기리며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만세! 만세! 만세! 만세!
  •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최고!
  • 아무리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도 "독도는 우리 땅!!! 대한민국 만세!!!
  • 자랑스러운 조상님들께 감사합니다^^ 대한독립만세~
  • 독립운동가 조상님들께 감사드리는 오늘 3·1절 감사합니다 !!! 대한 독립만세 !!!
  • 오늘은 자주독립을 선언하고 일본에 항거한 역사적인 날입니다. 순국선열들께 감사하며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만세 ^.^
  • "대한민국"화이팅입니다.
  • 화이팅!
  • 다함께! 만세의 바다로~ 대한독립만세!!
  •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잊지 않을께요. 덕분에 잘 지내고 있어요. -가원-
  • 대한독립만세 독도는 원래 우리땅!
  • 독도는 우리땅! 화이팅!
  • 대한민국이라서 행복합니다 ~
  • 우리는 최고다~
  • 대한독립만세
  • 96주년을 맞는 3·1절 뜻 깊은 날 동래에서~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 만세~!!! 독도는 우리땅!!!
  • 독도는 우리땅! 일본이 아무리 자기땅이라 우겨도 독도는 우리땅!! -김경만-
  • 3·1절을 기념해서 만세운동행사에 참여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대한독립만세~!!!
  • 태극기는 오늘도 우리 가슴에 펄럭입니다. 3·1절 오늘!!! 감사합니다.
  • 독도 사랑! 나라 사랑! 대한독립만세!
  • 좋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게 해주신 순국선열님들께 감사합니다.
  • 독도는 우리땅! 홍보활동 부탁합니다.
  • 대한독립만세!
  • 사랑하는 준혁, 예진 조상들이 힘들게 이룬 독립이야. 너희도 열심히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해주길 바래. 늘 자신의 몫을 해내는 사람이 되자. 사랑해 ... 엄마
  • 대한독립만세 감사합니다. -이수지-
  • 대한독립만세!
  • 독도는 우리땅!
  • 대한독립만세! 박성규
  • 독립에 힘써주신 우리 조상님들께 감사하며~ 대한독립 만세~
  • 독립만세! 대한민국 만세! 문주영 만세!
  • 민중의 힘! 민중의 단결!! 대한민국의 자부심!!!. 감사합니다. 대한독립만세~!!!
  • 대한민국만세! 이기세요! 김민지
  • I♡독도♡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만세♡
  • 독도는 대한민국 땅입니다.
  • I♡독도사랑 나라사랑
  • 독립운동의 현장! 동래에서 3·1절 행사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 뜻깊습니다.
  • 제96주년 3·1절 대한민국만세~
  • 언제나 나라 사랑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 우리나라 좋은 나라
  • 우리나라 좋은 나라! 독도 최고!
  • 대한독립만세♡ 정말 너무나도 감사하고 고맙습니다^^사랑합니다☆
  • 민족투사들의 노력이 없었으면 지금의 대한민국도 없을 겁니다!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만세!! 저희를 위해 희생하신 모든 분들게 감사드립니다.
  • 역사의 현장에서 외쳐봅니다. 대한독립만세!!!
  • 대한민국만세!
  • 대한독립만세! 수능도 만세!! 실기도 만세!!
  • 독도는 우리땅 홍보활동을 많이 합시다.
  • 동래에서 3·1절 행사 가족과 함께 대한독립만세!
  •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한 오늘 3·1절 대한독립만세~
  • 3·1절의 의미와 독립을 위해 힘써주신 분들을 위해 묵념합니다. 감사합니다.
  •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의사를 세계만방에 알린 날을 기념하는 날! 3·1절 대한독립만세~!!
  • 지금의 우리가 있을 수 있게 도와주신 조상님들께 감사드립니다.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만세 감사합니다. -이도훈-
  • 나라 독도 사랑!
  • 대한 독립 만세!! 만세!! 만세!!
  • 독도는 우리땅
  • 대한독립만세! 3·1절을 기념하며 기도합니다.
  •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싸우다 돌아가신 순국선열님들께 삼가 머리 숙여 명복을 빕니다.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만세!!
  • 나라사랑
  • 독립만세
  • 우리의 소원은 통일~
  • 3·1절을 기념하며 우리 선조들의 애국심을 절대로 잊지 말자! 대한민국 화이팅!
  • 대한민국 최고~
  • ☆대한독립만세 조상님들 감사합니다. !
  • 독도는 대한민국 영토 입니다!
  • 나라사랑~ 가족사랑~
  • 대한민국 만세
  • 대한독립 만세♡♡
  • 3·1 삼일절을 맞이하여 대한독립만세!
  • 일본은 반성하라!
  • 대한독립만세 70주년
  • 대한민국 영원히 ♡사랑합니다.
  • Yes 독도 No 다케시마 일본은 그라믄 안돼
  • 독도는 우리땅! 이승재
  • 우리 나라가 전국통일을 했으면 좋겠고 일본이 독도를 자기땅이라 우기지 않고 한국이 크게 발전하게...
  •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 만 세
  • 감사합니다!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 만세~!!! 순국선열들의 희생에 감사하며 자랑스러운 역사의 날입니다. ~!!!
  • 96주년 3·1절 ☆태극기를 휘날리며 대한독립만세를 외칩니다.~!!!
  • 대한독립만세! 독도는 우리땅!
  • 동래! 박차정 의사님 감사합니다!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 만 세
  • 역사의 현장에 함께 할 수 있음에 감사하며 대한독립만세
  • 나라를 사랑합니다. 송 강 민~
  • 독립을 위해 힘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차승현-
  • 대한독립만세!!!!! 만세만세만세 파이팅 -김경민-
  •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만·세
  • 잊을 수 없는 아픈 역사...3·1절 순국선열님들의 희생에 감사합니다. 대한독립만세~!!
  • 행복하세요 이기세요 김민지
  • Dokdo, the beautiful island of korea 대한민국에 있는 아름다운 섬, 독도, 독도는 한국의 땅입니다. Republic of korea
  • 삼일절을 맞아 선열들의 피흘린 현장을 직접 체험해보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이 땅을 오래도록 간직해야겠어요 2015年3月1日.
  • 자주독립을 위해 헌신한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정신을 다시 한번 생각하는 하루입니다. 감사합니다!!
  • 대한민국만세♡
  • #대한독립 만세# 독도는 우리땅!!! 감사합니다!!!
  • 3·1절을 맞이하여~ 대한독립만세~
  • 만세!
  •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지금의 대한민국을 있게 해주신 분들게 감사합니다.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만세 2015년 파이팅
  • 대한독립만세! 만쉐이~!!!
  • 동래에서 3·1절을~ 대한독립만세!
  • 조상님들 감사합니다.
  • 자기몸을 희생하는 독립운동가들이 아주 멋집니다~
  • 독도야 넌 대한민국꺼고 자랑스런 대한민국 영토야^^
  • 일본인들은 말합니다. 전세게 97%의 지도가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다고, 하지만 우리의 동쪽바다는 엄연한 동해이며, 우리의 독도는 우리의 땅입니다. 과연 일본의 주장을 우리가 막을 수 있을까요? 여러분들의 관심만이 일본의 만행으로부터 우리를 지킬 수 있습니다. -VANK 최고 사이버 외교관 최연준-
  • 3·1절 행사 잘 봤습니다.
  • 감사합니다. 대한독립만세!
  • 대한독립만세 2015년 파이팅
  • 1919년 자주독립을 외치며 태극기를 흔들며 비폭력 시위를 했던 우리 조상님~ 감사합니다. 대한독립만세!!
  • 광복 70주년을 맞이한 오늘 3·1절 대한독립만세~!!
  • 화이팅 ^.^
  • 우리나라 쵝오^.^
  • 대한독립만세~!! 3·1절을 맞이하여 순국 선열님들께 또 한번 감사드립니다.
  • 대한독립 만세~!!! 희생하신 모든 분들게 감사 드립니다.
  • 독도는 우리땅!
  • 조상님 감사해요 파이팅
  • 독도를 지키는 것은 반만년의 역사를 지키는 것!
  • 우리나라는 꼭 통일이 되었으면 좋겠다
  • 대한민국 만세♡ 우리나라 너무 사랑합니당 모든일 다 잘되길
  • 대한독립 만세 현장! 이 곳에서 대한미눅만세를 외쳐봅니다. 대한독립만세~!!
  • "독도는 우리땅!!" 대한독립만세~☆
  • 대한민국 독도 만세
  • 오늘을 기억하겠습니다. 대한독립만세!
  • 대한민국 만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독도는 누가 뭐라고 해도 우리나라 땅!! 대한독립만세
  • < 대한독립 만세!! > '독도는 우리땅'
  • 대한독립을 위해 애쓰신 분들께 감사합니다.
  • 동래 3·1독립만세운동재현행사에 참여!!
  • 독도는 우리땅
  • 대한독립만세! 대한민국만세!
  • 대한독립만세! 송예인
  • 대한 독립 independent 만세! 민국이 짱
  • 3·1절~!! 자주독립을 외치며 태극기를 흔들며 시위했던 우리 조상님과 순국선열님들께 감사합니다.
본 콘텐츠는 저작권 또는 초상권 위배 소지가 있어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화면 하단의 개별 담당자에게 문의 바랍니다.


담당부서 정보

  • 담당부서 문화관광과
  • 문의전화 051-550-409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방문자 통계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