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내용] ■しかく 2017년 세계 경제는 선진국과 신흥국의 동반 확장 국면이 지속됨에 따라 3.6%(IMF 기준)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
■しかく 2018년에도 세계 경제는 이러한 기조가 대체적으로 이어질 전망 • 선진국은 내수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 • 신흥국은 원자재 가격 상승과 교역 규모 회복에 힘입어 성장동력이 점차 강화될 것으로 예상
■しかく 국내 경기는 2018년에도 금년과 비슷한 3%대의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 • 그 동안 경기회복을 이끌어 왔던 투자의 활력은 점차 둔화되지만, 소비가 성장을 주도하는 양상으로 전환될 전망 • 소비는 정부의 소득주도 정책, 물가 안정 등에 따른 실질소득 개선, 한중 관계 개선 등으로 증가율이 점차 확대되면서 ‘18년에는 2%대 중후반의 증가 예상
■しかく 중소기업의 경우 소득주도 성장 및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구조 전환 추세 등에 따라 내수 위주의 견조한 성장 기대 • (생산) 수출 확대 등으로 제조업 생산이 2%대 중반의 양호한 증가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정부 정책 등에 힘입어 서비스업이 3%대로 증가폭이 확대될 전망 • (수출) 환율 하락에도 불구하고 단가 상승 및 신흥국 수요 확대 등으로 ‘18년 중소기업 수출은 금년에 비해 증가폭이 다소 확대된 5%대의 증가를 기대 • (고용) 내수 회복세 및 창업 활성화 등으로 중소기업 부문(1-299인 사업체)의 취업자 수는 금년에 이어 30만 명대의 증가세를 지속할 전망
■しかく 다만, 최저임금 인상 및 금리상승 기조는 중소기업 부문의 고용 및 자금 여건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しかく 2018년 중소기업 CEO가 알아야할 주요 이슈를 다음과 같이 선정 1) 중소기업 경영 패러다임 : 격변과 상생 2) 소셜 벤처 : 약진과 붐 조성 3) 사회적 책임 : 선택이 아닌 필수 4) 「극동지역개발」 사업 : 기업에게 新시장 제공 5) O2O시대 : 위협이자 기회 6) 소상공인 : 혁신의 시대 7) 환율 리스크 : 관리는 필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