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브라우저는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홈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때는 최신 브라우저를 설치하여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홈> 산업정보> 경영지원자료실

경영지원자료실

게시물 상세보기
글 쓴 이 kfcasm2 조 회 수 626회
등록일자 2017년 07월 20일
첨부파일 17-10.pdf pdf
제 목 중기포커스(17-10)=>기술혁신적 고용창출의 필요성과 과제

[주요내용]

고용은 정부 정책의 핵심적인 화두이며, 이 같은 경향이 강화되고 있으나 고용 확대가 지속적인 일자리 증가로 연결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보다 면밀한 분석 필요


창업에 의한 고용증가가 지속되고 있으나, 계속기업의 고용 감소도 늘고 있어 중소기업의 순고용효과는 음의 값(-)을 유지


고용의 성패는 기존 기업이 고용을 확대하느냐에 달려 있으며, 기존 기업의 고용 확대는 추가 고용의 생산성이 고용에 따른 비용을 상회하는 경우에 가능


1993년부터 2016년까지 총노동시간증가율, 노동생산성증가율, 중소기업영업이익률추이를 구조형벡터자기회귀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기술충격의 효과 우세


예기치 않은 노동생산성의 향상(기술충격)과 노동투입량의 증가(기술외충격)는 각각 장기적으로 분기 영업이익률을 0.19%P0.10%P 상승시키나, 생산성 향상의 효과는 약 20분기까지 지속되는 반면, 노동투입의 효과는 약 6분기 후 소멸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1차 금속", "자동차 및 트레일러", "기타 운송장비"는 기술 충격의 효과가 기술 외 충격의 효과보다 명확

- "목재 및 나무제품 가구 제외", "섬유 제품 의복 제외",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등 노동투입의 효과가 우세한 업종도 있으나, 주로 노동집약적 업종


중소기업 제조업의 영업이익률은 1990년대 초 5% 대에서 20154%대 초반까지 지속적으로 하락 추세


제조업 업종별 영업이익률 추이는 다음과 같이 구분 가능

- 상승 후 하락: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비금속 광물제품"

- 지속 하락: "1차 금속", "자동차 및 트레일러",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기타 기계 및 장비"

- 하락 후 상승: "섬유제품(의복제외)"

- 상승 추세: "의복, 의복엑세서리 및 모피제품", "가죽, 가방 및 신발",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중소기업의 수익성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실에서, 생산성 향상과 같은 기술충격이 중소기업의 수익성을 견인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


중소기업의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양적 노동 투입 외에 기술 혁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중요하며, 기술 주도형 성장이 장기적 성장을 촉진


중소기업 고용 지원도 단순 일자리 지원에서 과학기술인력 유치, 혁신 인재 육성 등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인적자본 강화와 혁신 기술 및 아이디어확산에 주력할 필요

- 기술 개발이 유발하는 신산업 출현과 관련된 이해관계 조정 및 기득권 제거, 규제 철폐

- 정부 사업의 지속적 평가를 통해 과잉 지원의 경쟁 저해적 요인 해소


고용의 순증 효과는 고용 창출과 고용 유지가 결합된 결과로서, 고용 확대 정책의 수립과 실행은 반드시 고용의 지속성과 연계하여 평가

- 고용연계 지원 및 고용 목표 설정과 같은 고용확대 정책의 수립과 실행 시 초기 고용 창출뿐만 아니라 창출된 고용의 지속성과 연계하여 고용 기여를 평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