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내용]
■しかく 청년 취업자 수는 증가세로 전환하였지만, 청년 실업률은 최근 들어 가장 높은 수준 • 청년 취업자 수는 2013년까지 줄어들다가 2014년 이후 증가세로 전환 • 청년 실업률은 2016년 9월 기준 9.4%로 최근 들어 가장 높은 수준
■しかく 청년 취업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 존재 • 4년제 대졸자 취업률 감소 • 청년층의 NEET족과 Freeter족 증가 • 비정규직 근로자가 높은 비중을 차지
■しかく 청년 취업에 대한 구직자의 시각 • 좋은 직업을 목표로 교육을 받지만, 과잉 학력 비중이 높음 •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향은 있지만, 실제 취업은 망설임 •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격차가 너무 크게 나타남
■しかく 청년 취업에 대한 중소기업 CEO의 시각 • 인력 수요는 꾸준한데, 실제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인력을 채용하더라도 짧은 시간 내에 퇴사하고, 대졸 신입사원의 업무 수행 역량이 낮아지고 있음 • 핵심인력의 이직으로 인한 경영상의 피해가 크게 나타남 • 중소기업에도 근로자 대상의 성과공유 우수 사례가 다수 존재
■しかく 중소기업 청년 취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과제가 추진될 필요가 있음 •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생에 대한 성장단계별 지원 • 대・중소기업간 임금격차 완화를 위한 성과공유 시스템 현실화 •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강력한 Signal Effect 부여 • 산학협력을 통한 중소기업 바로알기 노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