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브라우저는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홈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때는 최신 브라우저를 설치하여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홈> 산업정보> 경영지원자료실

경영지원자료실

게시물 상세보기
글 쓴 이 kfcasm2 조 회 수 548회
등록일자 2016년 11월 17일
첨부파일 16-12.pdf pdf
제 목 중기포커스(16-12)=>중소기업 성과공유제 현황 및 정책과제

[주요내용]

しかく 중소기업의 성과공유 보상체계 개선으로 임금 불평등 완화 필요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포용적 성장(Inclusive Growth)과 공유자본주의(Shared Capitalism)가 본격적으로 대두

우리나라는 인력의 비효율적 활용과 더불어 임금 불평등 현상이 심각

임금 불평등 현상은 주로 대-중소기업 간에 발생하는 특별급여(성과급 등) 격차에 기인하며, 이로 인해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게 나타남


しかく 중소기업 성과공유제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임금 또는 복지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업주와 근로자 간에 성과를 공유하는 제도를 의미(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 제27조의 2)

성과공유제의 개념은 200633일에 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최초로 도입

중소기업과 근로자간 성과공유제의 개념은 200783일에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을 개정하면서 도입

중소기업 성과공유제는 기업의 이익 혹은 성과를 공유하는 방식에 따라 현금, 주식, 공제 및 기금, 동반성장 등 4개의 유형으로 구분


しかく 중소기업은 성과공유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성과공유제 개선과 확산을 위한 지원사업을 필요로 함

중소기업의 36.0%2015년도에 1개 이상의 성과공유제를 활용

성과공유제를 활용한 중소기업은 1개사당 평균 11,482만원, 종업원 1인당 평균 181만원을 지급하였으며, 매출액 대비 성과공유 지급액 비중은 0.65%에 불과

중소기업의 73.0%가 종업원들에게 지급하는 성과공유제가 기업성장에 영향을 미치며, 절반 이상이 핵심인력의 장기재직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이 성과공유제 지원사업의 개선과 성과공유제 확산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


しかく 해외 선진국들은 기존의 경제성장 중심에서 벗어나 삶의 질 향상, 사회의 불평등 해소, 분배의 형평성 제고 등을 추진

미국은 최근 들어 포용적성장과 공유자본주의가 국가정책의 중요한 화두로 부각되고 있으며, 민주당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은 이익공유제 세액공제 도입을 제1호 공약으로 발표

일본은 2013년 경제재정자문회의 중점 추진과제로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을 지정하고 관련 대책을 심의

영국은 2014Finance Act를 통해 종업원주식소유제도 촉진을 위한 세제혜택 부여기준을 완화


しかく 중소기업 성과공유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과제가 추진될 필요가 있음

중소기업이 지급한 경영성과급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

중소기업의 성과공유제 도입 촉진을 위한 정책 추진

중소기업 핵심인력에 대한 성과공유제 개선

중소기업간 성과공유제 활성화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