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브라우저는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홈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때는 최신 브라우저를 설치하여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홈> 산업정보> 경영지원자료실

경영지원자료실

게시물 상세보기
글 쓴 이 kfcasm2 조 회 수 506회
등록일자 2016년 11월 17일
첨부파일 16-7.pdf pdf
제 목 중기포커스(16-7)=>지방 중소기업 발전계획, 체계적으로 세우자

[주요내용]


しかく 지방 중소기업 육성시책은 자료의 통일성 부족 및 현황분석을 통한 중장기 비전과 발전전략 제시가 부족

중소기업기본법 제17, 지역균형개발및지방중소기업육성에관한법률 제39, 40, 45조에 의거 지역 중소기업 발전계획이 수립 중이지만,

지자체가 제출한 자료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서는 일부 보완이 필요

- 전년도 사업에 대한 성과분석의 경우, 대부분 정성적 검토의견만 제시되어 있으므로 사업의 실효성을 판단하려는 취지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

- 지자체가 작성한 지원예산 자료의 오류 수정 및 일관성 확보에 6개월 이상 소요

지방 중소기업 지원사업 관련 D/B분석 미흡 및 중장기 중소기업 발전비전이 제시되지 못하면서 지방 중소기업 육성시책이 획일화되는 문제가 발생

- 지방에서 제출한 지원사업 성과분석의 경우, 참여기업 D/B의 구축 및 활용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사업에 대한 분석은 이뤄지지 않고 있음

- 또한 중장기 발전계획이 없는 상황에서 연차별 발전계획이 수립된 결과, 지방에서 제출되는 사업이 획일화되고 차별성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

- 중장기 발전전략은 한 번 수립하면 5년 동안 바뀌지 않는 것이 아니라 외부 환경변화에 대응하면서 미세조정하면서 유연하게 운용하는 노력이 필요하지만, 지방에는 이러한 문제의식 및 분석 역량이 미흡


しかく 지자체가 수립한 중소기업 발전계획이 부실한 이유

지자체가 중앙부처 사업의 집행기능에 충실한 결과, 기획 예산 자체가 부족

중소기업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지역 소재 중소기업 지원기관 간 연계가 부족하여 관련 D/B의 공유가 부족

지방 중소기업 발전계획 담당 공무원이 자료 수집 및 오류 수집에 투입해야 할 시간에 비해 보상체계 확립이 미흡


しかく 대내외적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장기 비전 하에서, 지원사업의 기획 및 평가를 통한 능동적 발전계획 수립이 필요

지자체는 계획수립을 위한 기획 및 모니터링 예산을 매년 반영할 필요가 있음

지원예산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서는 지방 중소기업 콘트롤타워 구축이 필요

- 중소기업과 관련하여 지역에는 많은 지원기관과 담당 국, 과가 있으나 상호간 연계 및 협조체계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음

- 지원기관 및 지원사업의 효과적 조정 및 원활한 사업 수행을 위해서는 "지방 중소기업 콘트롤타워" 기능 신설이 필요. 만약, 지자체에서 적극적 의지가 없는 경우, 중소기업청이 지방 중소기업청을 활용하는 방안도 가능

효과적 자료 작성을 위해서는 지방 차원에서 중소기업 추진시책 업무 담당인력에 대한 보상 체계 확립이 필요

- 지자체 일선공무원의 가장 큰 불만은 중소기업 지원시책 자료 작성을 중요한 업무로 인식하지 않고, 서로 다른 국과 과에서 원활하게 협조하지 않는다는 점임

- 효과적 작업 수행을 위해서는, 지역 내에서 담당업무에 대한 보상체계 확립을 통해 열심히 할 수 있는 유인체계의 구축이 필요

중소기업기본법을 개정하여 각 지자체별로 중장기 지방 중소기업 발전계획 수립을 의무화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