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브라우저는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홈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때는 최신 브라우저를 설치하여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홈> 산업정보> 경영지원자료실

경영지원자료실

게시물 상세보기
글 쓴 이 kfcasm2 조 회 수 2029회
등록일자 2021년 05월 12일
첨부파일 [포커스 제21-06호] 선진국 AI 공공 정책 활용 현황과 시사점(김주미)_최종.pdf pdf
제 목 중기포커스(21-6) : 선진국 AI 공공 정책 활용 현황과 시사점

しかく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데이터 기반 행정 시스템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 선진국의 공공분야 AI 활용 가이드라인과 다양한 사례를 토대로 중기부의 AI 기반 정부 정책 수립이 필요

영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우리보다 앞서 AI의 민간 뿐 아니라 공공 분야에서 AI 활용에 대한 아젠다를 수립하고 공공 부문 AI 활용 지침(가이드)을 발표


しかく 주요 선진국은 AI 활용 정부 정책 수립에 매우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OECD. AI, 2020)

옥스퍼드 인사이트와 국제개발연구소(2020)의 정부 인공지능(AI) 준비도 지수 결과에 따르면 한국 정부의 AI 준비도는 77.695점으로 세계 172개 국가 중 7위를 차지

공공 분야 AI 관련 연구는 2020년 기준, 미국이 192편으로 가장 많으며, 그 뒤를 EU178.8, 중국은 141.4, 반면, 한국은 7.1편에 그침

AI 정책 및 전략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는 많은 국가들이 채택하는 정책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


しかく 영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은 AI 공공 특화 전략과 공공 활용 정책 원칙 수립 등 AI 기반 공공 정책 수립 및 활용이 활발

공공 특화 전략 및 공공 활용 정책 원칙 수립, 상향식 의견 수렴, 디지털 정부 구현, 사회적 문제 해결, 데이터 유통 및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운영, 컨트롤 타워 운영 등과 같은 활발한 공공 활용 정책이 있음

또한 선진국은 빅데이터 기반 행정, 증권시장 부정행위 모니터링, AI 기반 기상예측, 화재예측 등 다양한 공공 영역에서 인공지능을 활용


しかく 이에 아래와 같이 몇 가지 AI 기반 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성을 제안

(공공부문 특화 전략 수립) 범정부 차원의 국가전략과 더불어 공공부문 특화된 국가전략 및 부처 단위 실행 가능 수준의 전략 수립이 필요

(공공분야 AI 활용 지침(가이드라인) 수립) 공공정책 인공지능 적용 시 국제적으로 또는 국가적으로 수용되는 원칙과 가이드라인을 수립

(공무원 역량 강화) AI 및 데이터 분석 및 구축 관련 공공 및 공무원의 역량 강화 추진 필요

(컨트롤 타워 구축)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수행할 기관이 필요하며, 해당 기관에서는 기존의 하향식뿐만 아니라 민간 및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치는 상향식 의견 수립이 필요

(공공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플랫폼 구축) 데이터 공개·활용의 공공데이터 개방뿐만 아니라 민간의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총망라하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플랫폼 구축이 필요

(AI 공공 연구 허브 구축) 국가 수준 공공 관련 AI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AI 연구 허브 구축으로 AI 공공 서비스 활성화 추구

(다양한 USE CASE 발굴 및 개발) 다양한 공공부문 구현 과제(USE CASE) 발굴 및 필요 데이터 명시화, 데이터 가용 여부를 통해 개발 가능성 여부 판단 혹은 개발 계획을 수립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