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しかく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데이터 기반 행정 시스템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 선진국의 공공분야 AI 활용 가이드라인과 다양한 사례를 토대로 중기부의 AI 기반 정부 정책 수립이 필요 • 영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우리보다 앞서 AI의 민간 뿐 아니라 공공 분야에서 AI 활용에 대한 아젠다를 수립하고 공공 부문 AI 활용 지침(가이드)을 발표
■しかく 주요 선진국은 AI 활용 정부 정책 수립에 매우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OECD. AI, 2020) • 옥스퍼드 인사이트와 국제개발연구소(2020)의 정부 인공지능(AI) 준비도 지수 결과에 따르면 한국 정부의 AI 준비도는 77.695점으로 세계 172개 국가 중 7위를 차지 • 공공 분야 AI 관련 연구는 2020년 기준, 미국이 192편으로 가장 많으며, 그 뒤를 EU가 178.8편, 중국은 141.4편, 반면, 한국은 7.1편에 그침 • AI 정책 및 전략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는 많은 국가들이 채택하는 정책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
■しかく 영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은 AI 공공 특화 전략과 공공 활용 정책 원칙 수립 등 AI 기반 공공 정책 수립 및 활용이 활발 • 공공 특화 전략 및 공공 활용 정책 원칙 수립, 상향식 의견 수렴, 디지털 정부 구현, 사회적 문제 해결, 데이터 유통 및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운영, 컨트롤 타워 운영 등과 같은 활발한 공공 활용 정책이 있음 • 또한 선진국은 빅데이터 기반 행정, 증권시장 부정행위 모니터링, AI 기반 기상예측, 화재예측 등 다양한 공공 영역에서 인공지능을 활용
■しかく 이에 아래와 같이 몇 가지 AI 기반 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성을 제안 • (공공부문 특화 전략 수립) 범정부 차원의 국가전략과 더불어 공공부문 특화된 국가전략 및 부처 단위 실행 가능 수준의 전략 수립이 필요 • (공공분야 AI 활용 지침(가이드라인) 수립) 공공정책 인공지능 적용 시 국제적으로 또는 국가적으로 수용되는 원칙과 가이드라인을 수립 • (공무원 역량 강화) AI 및 데이터 분석 및 구축 관련 공공 및 공무원의 역량 강화 추진 필요 • (컨트롤 타워 구축)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수행할 기관이 필요하며, 해당 기관에서는 기존의 하향식뿐만 아니라 민간 및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치는 상향식 의견 수립이 필요 • (공공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플랫폼 구축) 데이터 공개·활용의 공공데이터 개방뿐만 아니라 민간의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총망라하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플랫폼 구축이 필요 • (AI 공공 연구 허브 구축) 국가 수준 공공 관련 AI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AI 연구 허브 구축으로 AI 공공 서비스 활성화 추구 • (다양한 USE CASE 발굴 및 개발) 다양한 공공부문 구현 과제(USE CASE) 발굴 및 필요 데이터 명시화, 데이터 가용 여부를 통해 개발 가능성 여부 판단 혹은 개발 계획을 수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