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브라우저는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홈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때는 최신 브라우저를 설치하여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홈> 산업정보> 경영지원자료실

경영지원자료실

게시물 상세보기
글 쓴 이 kfcasm2 조 회 수 415회
등록일자 2018년 10월 16일
첨부파일 1820.pdf pdf
제 목 중기포커스(18-20) : 한국 장수기업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은 17년만에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여 고령화 속도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되는 등, 전반적으로 사회의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중소기업 CEO의 고령화 역시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중소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한국 장수기업의 현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 장수기업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장수기업의 대부분(80.7%, 1,314개사)이 중소기업으로, 이들 중소 장수기업의 평균 업력은 56.1년이었다.


<표> 기업규모별 장수기업*

(단위 : 개, 년, %)

구분

장수기업

비장수기업

전체

개수

업력

규모별

규모내

개수

업력

규모별

규모내

개수

업력

규모별

규모내

중소

1,314

56.1

80.7

0.19

696,001

11.1

99.3

96.81

697,315

11.2

99.3

100.0

대기업

315

60.3

19.3

6.22

4,742

18.5

0.7

93.77

5,057

21.1

0.7

100.0

전체

1,629

56.9

100.0

0.23

700,743

11.2

100.0

97.76

702,372

11.3

100.0

100.0

자료: 중소기업연구원 주: 장수기업=업력 50년 이상의 기업



장수기업의 업종별 비중을 살펴보면, 제조업이 25.7%(419개사)로 가장 높고, 뒤이어 운수업, 교육 서비스업이 각각 17.7%(288개사), 12.7%(207개사)를 구성하고 있어 상위 세 업종이 장수기업의 56%(914개사)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등 상위 5개 업종이 장수기업의 75%(1,233개사)를 상회하고 있어 장수기업의 업종별 편중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경기 지역에 장수기업의 50%(828개사)가 소재하고 있어 기업의 지역별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수기업의 38%(617개사)가 서울에 분포되어 있으며, 경기, 부산이 13%(211개사), 8%(131개사)로 뒤를 이었다. 서울·경기 등 상위 5개 지역의 장수기업이 전체의 69%(1,121개사)를 차지하고 있어 장수기업의 지역별 편중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수기업은 매출액, 영업이익, 부가가치의 절대 규모에서 비장수기업에 비하여 모두 30배를 상회하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비장수기업은 장수기업에 비하여 성장성(매출액증가율)2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평균 매출액이 장수기업 4,300억원, 비장수기업 127억원으로 조사된 반면, 매출액증가율은 비장수기업 3.4%, 장수기업 1.7%로 나타나 성장가능성 측면에서는 비장수기업이 장수기업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수기업의 대표자 평균 연령은 60.2, 비장수기업의 대표자 평균연령은 54.2세로 나타나 장수기업의 대표자 연령이 비장수기업에 비하여 평균 6세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표자가 60대 이상인 기업 비중은 장수기업 49%, 비장수기업 26%로 장수기업이 비장수기업에 비하여 거의 2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장수기업은 향후 안정적인 승계 프로세스를 마련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