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설명
■しかく 지표개념
○しろまる 에너지 과잉 섭취자 분율: 에너지 섭취량이 성별, 연령별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125%보다 높은 사람의 분율
※(注記) 에너지 필요추정량 : 적정 체격과 활동량을 가진 건강한 사람이 에너지 평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양
○しろまる 지방 과잉 섭취자 분율: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량(g)에 각각 4, 4, 9kcal/g을 곱한 에너지 섭취량을 합한 값을 분모로, 지방 섭취량에 9kcal/g을 곱한 에너지 섭취량을 분자로하여 산출한 백분율이 지방 에너지적정비율 범위를 초과한 사람의 분율
■しかく 의의 및 활용도
○しろまる 장기적인 에너지 및 지방 과잉 섭취는 만성질환 발생의 위험요인이므로 해당 지표의 변화 관찰 필요
○しろまる 본 결과는 1일 간의 섭취량 조사로부터 산출한 값이므로 개개인의 일상적인 섭취 수준을 평가하는 데 적합하지 않으며 영양 문제집단의 크기가 과대산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문제 영양소 및 영양 취약 집단 추정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
■しかく 수치 해석 방법
○しろまる 에너지 과잉 섭취자 분율은 낮을수록 양호
○しろまる 지방 과잉 섭취자 분율은 낮을수록 양호
※(注記) 단, 과잉 섭취 인구분율이 낮은 경우 상대적으로 부족 위험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관찰하여 영양 문제가 한 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은 아닌지 함께 점검 필요
지표해석
■しかく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분석
○しろまる 에너지 과잉 섭취자 분율 추이
- 에너지 과잉 섭취자 분율(만1세이상, 표준화)은 `23년 15.6%으로 전년 대비 2.1%p 증가
- 남자(16.7%)가 여자(14.5%)에 비해 높았고, 연령별로는 1-2세에서 가장 높은 경향
○しろまる 지방 과잉 섭취자 분율 추이
- 지방 과잉 섭취자 분율(만1세이상, 표준화)은 `23년 31.8%로 전년 대비 2.1%p 증가
- 연령별로는 19-29세에서 46.0%로 가장 높고, 65세 이상에서 11.0%로 가장 낮은 수준
■しかく 향후 전망 또는 계획
○しろまる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 필요
- 채소, 과일 섭취 등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영양 중점과제 목표 지표 지속 모니터링
- 영양교육 및 상담 기회 제공 등 적절한 영양정보 제공 대책 필요
■しかく 유의점
○しろまる 에너지 및 지방 섭취 평가에 활용한 기준은 각 기수별 최근 발표된 기준을 활용하고 있으므로 영양소 섭취기준의 변경에 따라 수치가 변화할 수 있음을 고려
- 제1기(1998): 한국인 영양권장량 제6차 개정(한국영양학회, 1995)
- 제2기(2001): 한국인 영양권장량 제7차 개정(한국영양학회, 2000)
- 제3, 4기(2005, 2007-2009): 한국인 영양섭취기준(한국영양학회, 2005)
- 제5, 6기(2010-2015): 2010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개정판(한국영양학회, 2010)
- 제7, 8기(2016-2021):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보건복지부, 2015)
- 제9기 1, 2차년도(2022, 2023) :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보건복지부, 2020)
○しろまる 특히 19세 이상의 지방 에너지적정섭취비율은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기존 15-25%에서 15-30%로 상한선이 상향 조정되었으므로, 지방 과잉 섭취자 분율 추이 해석 시 이를 반드시 고려
유의사항
○しろまる에너지 및 지방 섭취 평가에 활용한 기준은 각 기수별 최근 발표된 기준을 활용하고 있으므로 기준의 변경에 따라 수치가 변화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결과를 활용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질병관리청, 건강영양조사분석과, 043-719-7467
최근 갱신일 : 2025年02月11日(입력예정일 : 2026年02月28日)
자료 출처 : 2023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청(국가승인통계 제117002호, 국민건강영양조사)
공표 주기 :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