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취소
그룹추가 취소
[フレーム]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그래프 통계표 의미분석 관련용어 지표정보 정책정보 의견 및 질문

그래프

기간선택 ~
기간선택 ~

통계표

~
~

의미분석

지표설명

しかく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현황 지표 개념 및 의의

°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현황은 전체 지방직 공무원의 수에 대비한 지방직 여성공무원의 수

☞ 여성의 자치단체 공직진출 현황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지자체 여성공무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인사정책 수립이나 육아 부담 해소 등의 정책 추진시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기본자료임


지표해석

しかく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추이

° 2024년 : 전체 여성공무원 비율이 51.3%로 전년 2023년 대비 0.9%p 증가
(20.4.1일자 소방직의 국가직 전환(소방공무원의 여성비율 9.7%)으로 인해 전체 공무원 수는 줄고, 여성비율이 크게 늘었음

° 지방자치단체에서 여성공무원이 증가함에 따라 주요부서에 근무하는 여성공무원 및 5급이상 관리자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
- 주요부서 여성공무원 비율: 43.9%('20년)→ 46.9%('21년) → 47.6%('22년) → 48.3%('23년) → 50.1%('24년)
- 5급이상 여성공무원 비율 : 20.8%('20년)→ 24.3%('21년) →27.4%('22년) → 30.8%('23년) → 34.7%('24년)

° 여성의 대표성과 활용성 강화를 통한 여성경쟁력 제고를 위해 여성공무원에 대한 보직관리 및 여성관리직을 확대하기 위하여 관리직 여성공무원 임용확대 계획을 실시

しかく 관련노력

° 여성공무원의 출산과 자녀양육에 따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직장보육시설의 확대 및 출산휴가·육아휴직에 따른 대체인력 확보 등이 필요
- 육아휴직제도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육아휴직이용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유의사항

o 해당사항 없음

관련용어

여성공무원임용목표제 : 공직사회에서 실질적 양성평등을 구현하기 위하여 채용, 승진, 보직관리 및 교육훈련 등 모든 인사관리의 영역에서 기회를 부여하고, 5급이상 관리자비율을 높일 수 있도록 시도별 목표계획을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음

제4차 관리직 여성공무원 임용확대 5개년 계획 추진('17 ~'22)

여성권한척도(GEM : Gender Empowerment Measure) : 의원 수, 행정관리직, 전문기술직에서의 수, 실질적 GDP에 대한 여성과 남성간의 권한의 양을 비교한 것으로 매년 UNDP가 발표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행정안전부, 지방인사제도과, 044-205-3361

최근 갱신일 : 2025年06月25日(입력예정일 : 2026年06月30日)

자료 출처 :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통계』(매년 12월 말 기준)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11 2024年08月20日
10 2024年02月06日
9 2024年02月06日
8 2022年06月02日
7 2021年01月15日
6 2019年07月29日
5 2018年07月30日
4 2017年07月27日
3 2016年08月09日
2 2015年08月06日
1 2015年08月06日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제목
  • 파일첨부 (최대 10mb)
  • 파일첨부 (최대 10mb)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자 정보

ᆞ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ᆞ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를 클릭하여 주세요.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