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취소
그룹추가 취소
[フレーム]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정원
그래프 통계표 의미분석 관련용어 지표정보 정책정보 의견 및 질문

그래프

기간선택 ~
기간선택 ~

통계표

~
~

의미분석

지표설명

しかく 지방공무원 정원 개념

° 지방자치단체에 소속되어 자치단체의 사무를 처리하는 공무원을 말하며, 지방공무원에 관한 임용·신분·권리·의무·
책임 등은 지방공무원법에 규정하고 있다.
° 지방공무원은 경력직과 특수경력직으로 구분되며,
- 경력직공무원은 일반직, 특정직으로, 특수경력직공무원은 정무직, 별정직으로 나뉜다.

しかく 지표의 활용도

° 국가공무원 및 지방공무원을 구분 또는 전체 정원을 기준으로 정부의 규모를 평가할 때 사용되는 지표로,
통상 국민1인당 공무원수로 인력규모에 따른 국제간 정부규모를 비교 가능
° 지방자치단체 인력운영 현황을 기준으로 자치단체 조직운영 등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지표해석

しかく 지방공무원 정원 추이

° '01년 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지방자치단체의 '22년말 공무원 정원은 380,379명임

しかく 향후 정책 방향

° 행정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주민밀착형 현장 인력 위주 증원 검토


유의사항

해당사항 없음

관련용어

기준인건비제도 : しろまる 지방자치단체의 인건비성 경비의 총액 규모인 기준인건비를
기준으로 정원을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제도('14.3.5 시행)
しろまる 기준인건비는 인구, 재정여건, 하부기관 수 등에 따라 산정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행정안전부, 자치분권제도과, 044-205-3314

최근 갱신일 : 2025年07月03日(입력예정일 : 2026年07月01日)

자료 출처 : 각 지방자치단체별 정원조례 및 시행규칙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관련 법령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제목
  • 파일첨부 (최대 10mb)
  • 파일첨부 (최대 10mb)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자 정보

ᆞ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ᆞ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를 클릭하여 주세요.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