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형 간염 개요
정의
▪E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E Virus) 감염에 의한 간염 질환
질병 분류
▪질병코드 : ICD-10 B17.2
병원체
▪HEV(Hepatitis E Virus)
- hepeviridae과에 속하는 한가닥의 RNA 바이러스로 4가지 유전형이 알려져 있음
병원소
▪사람이 자연숙주이나, 침팬지, 원숭이도 감수성이 있음
▪가축(돼지, 사슴, 양, 소, 쥐, 토끼) 등에서도 발견됨
전파경로
▪구강-분변 경로
▪오염된 물 또는 음식으로 감염
▪사람 간 전파로 전파도 가능
▪수혈을 통한 감염, 임신부-태아 수직감염
잠복기
▪15~60일(평균 40일)
진단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검체(혈액, 대변)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증상
▪피로, 구토, 식욕부진, 복통, 관절통, 발진, 설사 등의 전구 증상발생 후 황달, 어두운색 소변, 회색 변 등의 증상 발생
▪급성 간염 발생하면 2∼6주간 지속 후 대부분 호전되며, 만성화 사례는 많지 않음
치료
▪특이 치료제 없이 대증치료 실시
▪만성 E형간염 환자는 페그인터페론과 리바비린으로 치료 효과를볼 수 있음
전염기간
▪알려져 있지 않음
▪황달발생 후 14일, 오염음식 섭취 후 4주까지 대변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2주간 배출이 지속됨
치명률
▪유행지역에서 사망률 3% 이하
(단, 임신 9개월 이상의 임신부는 사망률 20%)
관리
<환자관리>
▪입원 환자는 표준주의, 증상 있을 기간 동안 접촉주의 시행
▪전파위험이 높은 군(보육교직원, 요양시설종사자, 조리종사자, 의료종사자 등)설사 증상이 멈출 때 까지 음식 조리, 간호, 간병, 보육 등 금지
<접촉자 관리>
▪증상 발생여부 관찰
▪2차 감염은 흔하지 않으나, 손위생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
예방
▪일반적 예방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안전한 음식 섭취 : 음식 익혀 먹기, 물 끓여 마시기
- 위생적인 조리하기(돼지고기류 등을 조리 시 충분히 익혀먹기, 날 어패류 완전히 익혀먹기)
| 이전글 | 일본뇌염 관련 질의응답 |
|---|---|
| 다음글 | 에볼라바이러스병 질병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