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블로그
보건복지부 공식 블로그
블로그 검색
댓글 9
공유하기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복정책

가벼운 글쓰기툴 퀵에디터가 오픈했어요! 사용설정하기 퀵에디터란? 설정 닫기
공지 목록

[공지]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137.6조원 규모, 전년 대비 9.7% 증가

국민들의 건강과 안전, 복지를 더욱 두텁게 보장하기 위한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 편성이 확정되었습니다.

2026년 총지출은 137조 6,480억원으로 기본적 삶을 위한 안전망 강화, 저출산·고령화 인구구조 변화 대응 등 5대 핵심 투자방향을 기반으로 고르게 분배되었는데요!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그 자세한 내용을

여러분께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2026년도 보건복지부 예산

137조 6,480억원 편성

8월 2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보건복지부 예산안에 따르면, 2026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은 137조 6,480억원으로 확대되었어요!

약 137조 7천억원에 달하는 2026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은 2025년 1254,909억원 대비 9.7% 높은 수준이랍니다.

2026년도에는,

1 기본적 삶을 위한 안전망 강화

2 저출산·고령화 인구구조 변화 대응

3 지역·필수·공공의료 확충

4 의료인력 양성과 정신건강 투자 확대

5 인공지능(AI)기반 복지·의료 및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5대 중점 투자방향을 기반으로 예산이 편성되었는데요.

하나 하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기본적 삶을 위한 안전망 강화

1 저소득층의 빈곤은 줄이고

기회를 늘리겠습니다.

✅ 생계급여

저소득층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기준 중위소득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인상하고, 제도를 개선합니다.

  • 기준 중위소득 : 610만원 → 649만원(4인 가구 기준, 6.51% 인상)

  • 월간 생계급여 : 월간 급여액 195.1만원 → 207.8만원(12.7만원, 4인 가구 기준 6.51% 인상)

💡연간 급여액 기준 : 2,342만원 → 2,494만원(4인 기구 기준)

- 생계급여 산정에 반영되는 자동차 재산기준 완화 및 청년 근로사업 소득 공제 확대 등제도 개선으로 약 4만 가구에 추가 지원합니다.

  • 승합화물차 일반재산 환산율 적용기준: 1,000cc, 200만원 미만

소형, 500만원 미만

  • 다자녀가구 자동차 일반재산 환산율 적용 기준: 3명2명 이상

  • 청년 근로사업 소득 공제 확대 : 29세 이하, 40만원 공제+30% 추가공제

34세 이하, 60만원 공제+30% 추가공제

📌 생계급여 예산

’25년 : 8조 4,900억원

→ ’26년 정부안 : 9조 1,727억원(+6,827억원)


✅ 의료급여

- 보장성 강화를 위해 부양비 폐지(대상자 약 5천명 확대)하고, 요양병원 간병 지원, 정신과 진료비 및 식대 인상 등 수가를 개선합니다.

  • 부양비 폐지(10% → 0%) 등 제도개선 : 215억원

  • 요양병원 간병 지원 : 763억원

  • 정신과 수가(급성기 치료수가 신설, 폐쇄병동 입원료 인상 등) 개선 : 256억원

  • 입원식대(특수식) 인상 : 140억원

📌 의료급여 예산

’25년 : 8조 6,882억원

→ ’26년 정부안 : 9조 8,400억원(+1조 1,518억원)


✅ 긴급복지

- 생계지원 및 단가를 인상하여 갑작스러운 경제적 위기 시 안전망을 확충합니다.

  • 생계지원 : +4.4만건 확대(33.1만건 → 37.5만건, 13.3%)

  • 생계지원 단가 : +66천원 인상(1,011천원 → 1,077천원, 6.5%)

📌 긴급복지 예산

’25년 : 3,501억원

→ ’26년 정부안 : 4,053억원(+552억원)


✅ 연금보험료 지원

- 연금보험료 지원 대상을 4배 확대하여 저소득층의 보험료 부담을 완화하고 가입 기간을 늘려 노후소득 보장을 강화합니다.

- 기존에는 지역가입자 납부예외자 중 보험료 납부를 다시 시작한 사람에게만 지원했으나, 개선 후에는 기준소득월액 80만원 미만의 저소득 지역가입자까지 지원을 확대합니다.

  • 기준소득월액 80만원 미만 저소득 지역가입자 지원 : 19.3만명 → 73.6만명, (+54.3만명)

📌 저소득 지역가입자 연금보험료 지원 예산

’25년 : 519억원

→ ’26년 정부안 : 824억원(+305억원)


2 살던 곳에서 누리는 돌봄 등

새로운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 살던 곳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도록, 개별 욕구에 맞춘 통합 돌봄서비스를 전국적으로 연계·제공합니다.

- 의료‧요양‧돌봄 인프라와 서비스가 부족한 취약지에서도 지역특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지자체 특화서비스 확충 지원 : 183개

  • 초고령화‧의료취약지 :57개, 각 10억원(국비+지방비)

  • 고령화지역 :94개 ,각 8억원(국비+지방비)

  • 기타 : 32개, 각 4억원(국비+지방비)


- 능동적이고 활기찬 노후생활을 위해 노쇠예방관리 서비스를 새롭게 도입해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병원‧시설 이용이 필요하기 전에 미리 예방합니다.

📌 통합돌봄 예산

’25년 : 71억원

→ ’26년 정부안 : 777억원(+706억원)

📌 보건소 기반 노쇠예방관리 예산

’26년 정부안 : 20억원(신규)


✅ 노인맞춤‧일상‧긴급돌봄

- 각종 돌봄 서비스의 대상자를 확대합니다.

  • 노인맞춤돌봄 대상자 확대 : 2.6만명(55만명 → 57.6만명 )

  • 생활지원사 기본급 처우개선 : 9.3%

  • 퇴원환자 단기집중서비스 신설 확대 :1만명

  • 돌봄 사각지대 중장년‧청년 일상돌봄 확대 :2천명(0.6만명 → 0.8만명)

  • 일시적 돌봄 공백 완화하는 긴급돌봄 확대 : 1천명(1만명 → 1.1만명)

📌 노인맞춤돌봄 예산

’25년 : 5,394억원

→ ’26년 정부안 : 5,894억원(+500억원)

📌 노인맞춤돌봄 예산

’25년 :355억원

→ ’26년 정부안 : 408억원(+53억원)


사회적 고립

- 고독사 예방사업의 대상자를 확대합니다.

  • '사회적 고립 사례 관리' →'사회적 고립 예방'으로 전환

  • 고독사 1.7만명 → 사회적 고립 3만명(+1.3만명) 확대

📌 고독사 예방 및 관리 예산

’25년 : 39억원

→ ’26년 정부안 : 69억원(+30억원)


3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기본적 권리를 보장하겠습니다.

✅ 발달장애인 지원

- 성인‧청소년 발달장애인이 낮 시간과 방과 후에 의미있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주간‧방과후활동 서비스 대상을 확대합니다.

  • 주간활동 서비스 대상자 확대 : 2.8천명(1.2만명 → 1.5만명)

  • 방과후활동 서비스 대상자 확대 : 5백명(1.1만명 → 1.15만명)

[주간활동 서비스]

💠 지원대상 : 18세 이상 등록 발달장애인

* 취업 및 직업훈련 등 다른 공공 및 민간서비스 이용자 제외

💠지원내용 : 지역 내 주간활동 서비스 제공기관 및 외부 협력기관 통해 지역사회 기반 그룹활동에 참여 가능한 바우처 제공

* 제공(이용)시간 : 기본형 월 132시간, 확장형 월 176시간

[방과후활동 서비스]

💠지원대상 : 6세 이상 18세 미만 등록 발달장애인

💠지원내용 : 직업탐구, 자립준비, 여가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자의 욕구 및 선택에 의해 자기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바우처 제공

* 제공(이용)시간 : 월66시간

- 공공 신탁 통해 재산을 보호하는 재산관리서비스 대상자 확대

  • 재산관리서비스 대상자 확대 : 165명 → 450명(+3배)

📌 발달장애인 지원 예산

’25년 : 4,030억원

→ ’26년 정부안 : 4,810억원(+780억원)


✅ 장애아동가족지원

- 발달재활서비스 및 장애아 돌봄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지역 장애아동지원센터를 신설합니다.

  • 발달재활 서비스 대상자 확대 : 6천명(10.4만명 → 11만명)

  • 돌봄 시간 확대(연 1,080 → 연 1,200시간)

  • 지역 장애아동지원센터 신설(17개 시도)

📌 장애아동가족지원 예산

’25년 : 2,327억원

→ ’26년 정부안 : 2,503억원(+176억원)


✅ 장애인 일자리

- 일자리를 확대하여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참여를 보다 폭 넓게 지원합니다.

  • 일자리 확대 : 2.3천개(3.4만개 → 3.6만개)

📌장애인 일자리 유형별 현황('25년 기준)

구분

일반형일자리

복지형일자리

특화형일자리

전일제

시간제

참여형

특수교육

연계형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보조

시각장애인

안마사파견

근무시간

주40시간

주20시간

월56시간(주3~4일)

주25시간

참여기준

만 18세 이상

미취업 등록장애인

미취업

등록장애인

특수교육

기관재학생

지적 및

자폐성장애인

미취업 안마사

주요업무

공공 및 복지 행정업무지원

환경도우미, 주차단속,

사무보조, 사서보조,

보육도우미 등 47개 직무

식사지원,

이동지원 등

보조업무

출장안마

서비스 제공

근무장소

읍·면·동 주민센터,

장애인복지관 등

공공기관, 지역사회

복지시설 등

노인요양기관 및 시설

경로당 등

지역사회시설

월 급여

210만원

105만원

56만원

131만원

131만원

일자리수

7,740명

4,075명

19,094명

1,277명

1,360명

국고보조율

서울 30%, 지방 50%

전체 80%

📌 장애인 일자리 예산

’25년 : 2,345억원

→ ’26년 정부안 : 2,546억원(+201억원)


✅ 장애인활동지원

- 기본급여 대상, 가산급여 확대 및 시간당 단가를 인상합니다.

  • 기본급여 대상자 확대 : 13.3만명 → 14만명(+7천명)

  • 가산급여 확대 : 205시간 →258시간(+53시간)

  • 시간당 단가 인상 :3.9%(16,620원 → 17,270원)

📌 장애인활동지원 예산

’25년 : 2조 5,323억원

→ ’26년 정부안 : 2조 8,102억원(+2,779억원)


2️⃣ 지역격차 해소, 필수의료 확충,

공공의료 강화

1 의료서비스의 지역격차를

해소하겠습니다.

✅ 취약지 인력 지원

- 시니어 의사 및 지역필수의사 채용을 확대합니다.

  • 시니어 의사 채용 확대 : 110명(6개월) → 160명(12개월), +50명

  • 지역필수의사 채용 확대 : 2개 시도(6개월) → 4개 시도(12개월)

📌 시니어 의사 활용지원 예산

’25년 : 32억원

→ ’26년 정부안 : 72억원(+40억원)

📌 지역필수의사제 운영지원 예산

’25년 : 14억원

→ ’26년 정부안 : 28억원(+14억원)


✅ 거버넌스

- 책임의료기관 협력체계 확대 및 시도 공공보건지원단을 운영합니다.

  • 책임의료기관 협력체계 확대 :+4억원

  • 시도 공공보건지원단 운영 : 24억원

📌 책임의료기관 협력체계 예산

’25년 : 194억원

→ ’26년 정부안 : 199억원(+5억원)

📌 시도 공공보건지원단 예산

’25년 : 24억원

→ ’26년 정부안 : 24억원


2 암‧심뇌혈관‧산모신생아‧응급 등

필수의료를 확충하겠습니다.

✅ 암

- 소아청소년암거점병원 인천‧경기 1개소를 확충(+11억원)합니다.

📌 국가암관리 예산

’25년 : 836억원

→ ’26년 정부안 : 1,266억원(+431억원)


✅ 심뇌

- 권역심뇌센터 운영비 인상 및 장비 추가 지원, 센터 확충‧성과보조금을 확대 합니다.

  • 권역심뇌센터 운영비 인상 : 개소당 6억원 → 개소당 7억원

  • 장비 추가 및 지원 : 1개소, +15억원

  • 센터 확충 : 권역 1개‧지역 4개

  • 성과보조금 확대 : +8억원

📌 심뇌혈관질환 대응체계 예산

’25년 : 115억원

→ ’26년 정부안 : 164억원(+49억원)


✅ 산모‧신생아

- 고위험 산모‧신생아 전원전담팀 운영 및 지역모자의료센터 분만 기능을 확대합니다.

  • 고위험 산모‧신생아 전원전담팀 운영 : +15억원

  • 지역모자의료센터 분만 기능 확대 : 15개

📌 고위험 산모‧신생아 지원 예산

’25년 : 124억원

→ ’26년 정부안 : 154억원(+30억원)


✅ 응급

- 취약지 등 응급의료기관 시설‧장비지원 확대하고 응급의료 체계 운영지원을 강화하여 어느 지역에서든 응급상황 시 국민생명을 보호합니다.

  • 응급의료기관 의료장비 융자 신설 : +1,000억원

  • 취약지 응급의료기관 시설‧장비비 지원 신규 도입 : +191억원

  • 응급의료기관 평가보조금 인상 : +97억원

  • 중증응급질환 지역순환당직제 지원 질환군 확대 : 7개→8개

  • 달빛어린이병원 확충 : 93개소→120개소(+27개소)

  • 광역응급상황실 인력 증원 : 120명→150명(+30명)

*급성대동맥증후군, 호아급성복부질환, 기관지출혈‧이물질, 응급혈관, 성인복부질환, 소아비뇨기과응급질환, 소아위장관출혈‧이물질 + 추가 질환군


✅ 외상

-우수 센터의 시설과 장비 확충에 집중 투자합니다.

  • 시설 확충: 2개소

  • 장비 투자 : +109억원

<응급‧외상 관련 주요 사업>

📌 취약지역 응급의료기관 육성 예산

’25년 : 228억원

→ ’26년 정부안 : 424억원(+196억원)

📌 응급의료기관지원발전 예산

’25년 : 629억원

→ ’26년 정부안 : 1,760억원(+1,131억원)

* 평가보조금 : 299억원→395억원(+97억원)

* 순환당직제 : 79억원→86억원(+7억원)

📌 중앙응급의료센터 운영지원 예산

’25년 : 271억원

→ ’26년 정부안 : 291억원(+21억원)

* 광영응급의료상황실 운영 : +21억원

📌 중증외상전문진료체계 구축 예산

’25년 : 664억원

→ ’26년 정부안 : 781억원(+117억원)


3 공공의료를 강화하여

의료의 공공성을 확보하겠습니다.

✅ 지방의료원

- 지역거점병원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기능특화 및 필수진료과목 운영지원 유지하고 노후 시설장비 보강 증액 및 BTL 지원을 확대합니다.

  • 기능특화 및 필수진료과목 운영지원 유지 : 1,156억원

  • 노후 시설장비 보강 증액 : +31억원

  • BTL 지원 확대 : 1개소, +21억원

📌 지방의료원 등 지원 예산

’25년 : 2,029억원

→ ’26년 정부안 : 2,039억원(+10억원)


✅ 권역책임의료기관

- 권역 내 최종진료 역할 수행을 위해 중증필수 시설‧장비 지원 유지와 AI 진료모델 도입지원을 신설합니다.

  • 중증필수 시설‧장비 지원 유지 : 814억원

  • AI 진료모델 도입지원 신설 : +142억원

  • (교육부) 국립대병원 당직비 지원 126억원, 시설‧장비 지원 268억원 별도 편성

📌 권역책임의료기관 지원 예산

’25년 : 815억원

→ ’26년 정부안 : 956억원(+141억원)


✅ 공공의대

- 공공의대 교육과정 마련 및 실시설계비를 마련합니다.

  • 실시설계비 마련 :+39억원

📌 공공의료 전문인력 양성 및 지원 예산

’26년 정부안 : 39억원(신규)


3️⃣ 저출산 · 고령화 인구구조 변화 대응

1 건강한 임신‧출산과 아동‧청년

친화적인 사회를 지원하겠습니다.

✅ 임신 전(前) 건강관리

- 가임기 남녀 대상 필수 가임력 검사 지원 및 대상자를 확대합니다.

  • 가임기 남녀 대상 필수 가임력 검사 지원 : 부인과 초음파, 난소기능검사, 정자정밀형태검사 등

  • 대상자 확대 : 15.8만명(20.1만명 → 35.9만명)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지역·혼인·자녀 수 무관 모든 20~49세 남녀로 사업대상 확대 및 주기별 1회(최대 3회)로 지원 횟수 확대

* 29세 이하(제1주기), 30~34세(제2주기), 35~49세 이상(제3주기) 주기별 1회, 최대 3회 지원

📌 임신 사전건강관리 예산

’25년 : 88억원

→ ’26년 정부안 : 156억원(+68억원)


✅ 영유아 지원

- 미숙아 지속관리 시범사업 지역의료비 지원을 확대합니다.

  • 미숙아 지속관리 시범사업 지역 확대 : 6개 지역 → 12개 지역

  • 의료비 지원 확대 : +3억원 확대

- 저소득층 기저귀·분유 지원을 확대합니다.

  • 다자녀(2명 이상)‧장애인 대상자소득기준 중위소득 80%→100% 이하로 완화하여 +3.5만명 확대(9.6만명→13.1만명)

📌 영유아 사전예방적 건강관리 예산

’25년 : 77억원

→ ’26년 정부안 : 109억원(+32억원)

📌 저소득층 지원 예산

’25년 : 435억원

→ ’26년 정부안 : 514억원(+80억원)


✅ 아동수당

- 지원 연령을 현행 8세 미만에서 9세 미만까지 확대 및 추가 지원합니다.

  • 지원 연령 확대: 현행 8세 미만 → 9세 미만(’17년생 부터)까지

  • 추가 지원 : 50.만명(215만명 → 265만명)

📌 아동수당 예산

’25년 : 1조 9,588억원

→ ’26년 정부안 : 2조 4,822억원(+5,234억원)


✅ 청년

- 가족돌봄‧고립은둔청년 지원 청년미래센터를 확충합니다.

  • 청년미래센터 확충 :8개소(4개소 → 8개소)

📌 청년 정책 예산

’25년 : 43억원

→ ’26년 정부안 : 59억원(+16억원)


2 어르신 지원을 강화하여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겠습니다.

✅ 노인일자리

- 어르신의 건강한 사회활동 참여와 소득보충을 지원하기 위해 역대 최대 수준으로 일자리를 확대합니다.

  • 노인인구 10.4% 수준의115.2만개 일자리 지원(’25년 109.8만개 대비 +5.4만개)

  • 공익형 : 69.2만개 → 70.9만개/+1.7만개

  • 사회서비스형 : 17.1만개 → 20.7만개/+3.6만개

  • 시장형 : 23.5만개 → 23.6만개/+0.1만개

📌 노인일자리 예산

’25년 : 2조 1,847억원

→ ’26년 정부안 : 2조 3,851억원(+2,004억원)


✅ 기초연금

- 65세 이상 노인 779만명을 대상으로 지급하고, 기준연금액 단가를 인상하여 안정적인 노후 소득을 보장합니다.

  • 기초연금 지급 대상 증가: +43만명 증가(736만명 → 779만명)

  • 기준연금액 인상 : +6,850원(342,510원 → 349,360원)

📌기초연금 예산

’25년 : 21조 8,146억원

→ ’26년 정부안 : 23조 3,627억원(+1조 5481억원)


✅ 치매노인 지원

- 치매환자 재산관리지원서비스 시범사업 신설 및 치매안심센터 운영지원을 강화합니다.

  • 치매환자 재산관리지원서비스 시범사업 신설 : 750명 목표, +19억원

📌치매노인 지원 예산

’25년 : 1,782억원

→ ’26년 정부안 : 1,849억원(+67억원)


✅ 장사시설 확충 등

- 화장로 개보수‧자연장지, 화장시설 신증축 확대, 산분장지를 신규 설치합니다.

  • 화장로 개보수 : 202기 → 259기, +57기

  • 자연장지 :4개소 → 5개소

  • 화장시설 신증축 확대 :3개소

  • 산분장지 신규 설치 :4개소

  • 기타 에이지테크 기반 고령친화산업 신규 지원 : +15억원 / 개안수술비 지원 확대 : 6,605안 →8,360안 +1,755안

📌장사시설설치 예산

’25년 : 253억원

→ ’26년 정부안 : 491억원(+238억원)


4️⃣ 의료인력 양성과 정신건강 투자 확대

1 체계적 지원을 통해 안정적으로

의료인력을 양성하겠습니다.

✅ 전공의 지원

- 수련환경 개선 지원을 수련병원 평가를 통한 성과 기반 보상으로 전환하고, 수련 교육.평가체계 개편을 추진합니다.

  • 수련병원 성과 기반 보상 : 971억원

  • 수련 교육.평가체계 개편 :+72억원

  • 8개 필수과목 대상 전공의 수련수당 지속 지급 : 397억원

📌전공의 지원 예산

’25년 : 2,768억원

→ ’26년 정부안 : 1,461억원(しろさんかく1,307억원)


✅ 필수보험

- 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및 필수 8개 과목(내외산소+응급‧흉부‧신경(외)과) 전공의 배상보험료 지원율을 상향하여 의료기관 배상보험 가입을 촉진합니다.

  • 지원율 상향 : 30% → 50%

📌필수의료 보험료 지원 예산

’25년 : 50억원

→ ’26년 정부안 : 82억원(+32억원)


✅ 간호사 지원

- 진료지원 간호사 제도 도입 위한 책임보험료 지원 신설, 교육지원 증액 및 교육기관 지정‧평가 예비도입을 신규 지원합니다.

  • 책임보험료 지원 신설 :+6억원

  • 진료지원 간호사 교육지원 증액 :+4억원

  • 진료지원 간호사 교육기관 지정‧평가 예비도입 신설 :+6억원

📌간호사 등 지원 예산

’25년 : 192억원

→ ’26년 정부안 : 207억원(+15억원)


2 자살예방 등 정신건강

관리체계를 강화하겠습니다.

✅ 자살예방

- 자살 고위험군이 서비스를 보다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지역사회 기반 자살예방 인프라를 강화합니다.

  • 유가족 원스톱서비스 전국 확대 : 12개 시‧도17개 시‧도

  • 자살 고위험군 치료비 지원 시 청년층만 소득기준 면제 → 전연령 소득기준 폐지

  • 자살예방센터 인력 확충 : 668명 → 1,275명, +607명

  • 응급실 생명사랑 위기대응센터 :5개소 확대(93개소 → 98개소)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 예산

’25년 : 562억원

→ ’26년 정부안 : 708억원(+146억원)

[자살유족 지원]

자살 사건 발생 직후 유족에 신속·다각적으로 개입하여 일상회복을 돕는 ‘자살유족 원스톱 서비스’ ’25년 전국 12개 시·도로 확대 실시

* 12개 시·도 : 서울, 대구, 인천, 광주,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제주, 대전, 울산, 경남

[청년 자살시도자 지원]

의료기관·정신건강복지센터(자살예방센터)에 내원한 청년 자살시도자(15~34세)는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치료비 지원


✅ 정신건강 증진

- 급성기 정신질환 집중치료 병상 본사업화에 따른 입원비 및 중독자 치료비 지원 확대,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인력을 확충합니다.

  • 입원비 지원 확대 : +2억원

  • 중독자 치료비 지원 확대 : +6억원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인력 확충 : 센터당 4.4명 → 5명, +32명

  • 정신질환자 가족 상담‧모임 지원, 동료지원인 신규 지원 : 45명

  • 정신건강복지센터 위기개입팀 처우 개선 :연 38.3백만원 → 46.3백만원, +8백만원

  • 정신응급공공병상 확대를 통한 자타해 경감 : 130병상 → 140병상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예산

’25년 : 223억원

→ ’26년 정부안 : 227억원(+4억원)

📌정신건강 증진사업 예산

’25년 : 1,318억원

→ ’26년 정부안 : 1,377억원(+59억원)


5️⃣ AI 기반 보건‧복지 및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1 AI복지로 사각지대 최소화하고

의료AI 투자를 강화하겠습니다.

✅ AI 복지‧돌봄

-복지‧돌봄 현장과 복지행정 분야의 AI 활용 시범사업에 착수하여 수혜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업무를 효율화합니다.

  • ‘복지행정 AI 안내도우미’와 ‘돌봄현장 DX-AX’ 시범사업으로 업무 경감

  • ‘AI 복지상담 및 위기감지’ 시범사업으로 위기가구를 더욱 촘촘히 발굴하여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

  • 돌봄 수요자의 집과 사회복지시설 현장에서 AI를 활용하는 ‘AI 스마트 홈 기반 돌봄서비스’ 및 ‘스마트 사회복지시설 리빙랩’ 시범사업

📌AI 복지·돌봄 혁신 예산

’26년 정부안 : 59억원(신규)


✅ AX-Sprint

- 복지‧보건의료 분야 AI응용제품의 신속한 상용화*를 지원합니다.

  • 복지 분야 고독사 예방, 취약계층 생활안전, 지역특화 복지서비스 제공, 에이지테크 기반 고령친화산업 육성 등에 AI응용 신규지원 : 300억원

  • 보건의료 분야 AI활용 건강관리, 의료시스템, 뷰티 등의 신속한 시장진입 지원 : 200억원

📌AI응용제품 신속 상용화 지원 예산

’26년 정부안 : 500억원(신규)


✅ AI인재 양성

- 신약개발 과정에서 AI 활용하는 전문인력 양성 지원 확대 및 의료AI 산업 특화 6개 대학원 학위과정 1천명을 양성합니다.

  • AI 활용하는 전문인력 양성 지원 확대 :71억원

  • 의료AI 산업 특화 6개 대학원 학위과정 1천명 양성 등 :134억원


✅ 의료AI 경쟁력 확보

- 의료현장 AI 활용 및 AI 기반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확보, 의료데이터 활용 통한 의료AI 기업 육성등을 투자합니다.

📌의료AI 경쟁력 확보 예산

’25년 : 876억원

→ ’26년 정부안 : 1,714억원(+838억원)


2 바이오헬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습니다.

✅ 바이오헬스 R&D

- 1조 원 이상 규모 확대합니다.

  • 바이오헬스 R&D 규모 확대 : 1조 1,232억원, 13.9%↑

  • 환 진단‧치료 기술 등 개발, 미래성장동력 확보 위한 혁신 신약‧의료기기 개발 등 지원

  • 데이터 구축‧활용 및 AI 의료현장 확산 지원, 의사과학자 등 임상-연구 연계 인프라 지원

📌바이오헬스 R&D 예산

’25년 : 9,858억원

→ ’26년 정부안 :1조 1,232억원(+1,374억원)


제약‧바이오산업

- 제약산업 투자 촉진과 공급망 강화 등을 지원합니다.

  • K-글로벌백신펀드 :200억원

  • 임상3상 특화 펀드 신규 조성 :600억원

  • 공급망 안정 : 158억원

  • 수출 유망 의약품 선진화 : 81억원

📌제약산업 경쟁력 강화 예산

’25년 : 177억원

→ ’26년 정부안 : 1,194억원(+1,017억원)


✅화장품

- 판로개척을 위해 인허가등록 등을 지원하고 수출규제 대응을 위한 안전성 평가 정보 제공 및 제품개발과 인프라 구축을 지원합니다.

📌화장품 산업 경쟁력 강화 예산

’25년 : 133억원

→ ’26년 정부안 : 528억원(+395억원)


글로벌 진출

- 수출 역량 강화를 위한 규제대응 및 컨설팅‧마케팅‧현지 거점 구축 등 차등 지원, 글로벌 기업과 개방형 혁신등을 촉진합니다.

📌글로벌 진출지원 예산

’25년 : 160억원

→ ’26년 정부안 : 502억원(+342억원)


2026년에도 보건복지부는 주어진 예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저출산과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며, 국가의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앞으로도 국민 여러분께서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다양한 정책에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의견을 보내주신다면, 언제나 국민들의 목소리에 적극적으로 귀를 기울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注記) 욕설 및 타인 비방 등의 내용이 포함된 댓글은

임의로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저작자 명시 필수 영리적 사용 불가 내용 변경 불가
저작자 명시 필수 - 영리적 사용 불가 - 내용 변경 불가
태그
[フレーム]
[{"title":"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137.6조원 규모, 전년 대비 9.7% 증가","source":"https://blog.naver.com/mohw2016/223994745279","blogName":"보건복지부..","domainIdOrBlogId":"mohw2016","nicknameOrBlogId":"대한민국 보건복지부","logNo":223994745279,"smartEditorVersion":4,"outsideDisplay":false,"lineDisplay":true,"blogDisplay":true,"cafeDisplay":true,"meDisplay":true}]

이 블로그의 저작물은 별도
표시가 없는 한 아래 조건에
따라 사용 가능합니다

  • 저작자 명시 필수
  • 영리적 사용 불가
  • 내용 변경 불가


안녕하세요.
이 포스트는 네이버 블로그에서 작성된 게시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감사합니다.

글 보내기 서비스 안내

2009년 6월 30일 네이버 여행 서비스가 종료되었습니다.
네이버 여행 서비스를 이용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더 좋은 서비스로 보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닫기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파일{FILENAME}

백신 프로그램으로 치료하신 후 다시 첨부하시거나, 치료가 어려우시면
파일을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네이버 백신으로 치료하기

고객님의 PC가 악성코드에 감염될 경우 시스템성능 저하,
개인정보 유출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다운로드 취소
닫기

작성자 이외의 방문자에게는 이용이 제한되었습니다.

{ALERTMESSAGE}

이용제한 파일 : {FILENAME}

다운로드 취소
닫기
[フレーム]
닫기 사진정보보기
카메라 모델
해상도
노출시간
노출보정
프로그램모드
ISO감도
조리개값
초점길이
측광모드
촬영일시

글보내기 제한 공지

저작권 침해가 우려되는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어
글보내기 기능을 제한합니다.

네이버는 블로그를 통해 저작물이 무단으로 공유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저작권을 침해하는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게시물의 경우 글보내기 기능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상세한 안내를 받고 싶으신 경우 네이버 고객센터로 문의주시면 도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건강한 인터넷 환경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고객님의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닫기

주제 분류 제한 공지

저작권 침해가 우려되는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어
주제 분류 기능을 제한합니다.

네이버는 블로그를 통해 저작물이 무단으로 공유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저작권을 침해하는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게시물의 경우 주제 분류 기능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상세한 안내를 받고 싶으신 경우 네이버 고객센터로 문의주시면 도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건강한 인터넷 환경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고객님의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닫기

작성하신 게시글에 사용이 제한된 문구가 포함되어 일시적으로
등록이 제한됩니다.

이용자 분들이 홍보성 도배, 스팸 게시물로 불편을 겪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경우 해당 게시물 등록이 일시적으로 제한됩니다.

  • 특정 게시물 대량으로 등록되거나 해당 게시물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구가 포함된 경우
  • 특정 게시물이 과도하게 반복 작성되거나 해당 게시물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구가 포함된 경우

스팸 게시물이 확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구 및 사용 제한기간을
상세하게 안내해 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모두가 행복한 인터넷
문화를 만들기 위한 네이버의 노력이오니 회원님의 양해와 협조 부탁드립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문의하시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수정하신 후 다시 등록해 주세요.

회원님의 안전한 서비스 이용을 위해 비밀번호를 확인해 주세요.

다시 한번 비밀번호 확인 하시면 이용중인 화면으로 돌아가며, 작성 중이던
내용을 정상적으로 전송 또는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1일 안부글 작성횟수를 초과하셨습니다.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안부글 자동등록 방지를 위해 1일 안부글 작성횟수에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확인
닫기
1일 안부글 작성횟수를 초과하셨습니다.
고객님이 남기신 안부글에 대한 다수의 신고가 접수되어
1일 안부글 작성 횟수가 5회로 제한되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 즐거움을 나누는
공간으로 모든 분들이 기분좋게 블로그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고객님의 이해와 협조 부탁 드립니다.
확인
닫기
공감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글의 공감수도 함께 차감됩니다.

확인 취소

닫기
이웃으로 추가하시겠어요?
프로필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공식 블로그
이웃추가 레이어 닫기

작성하신 에 이용자들의 신고가 많은 표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신고가 많은 표현

다른 표현을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건전한 인터넷 문화 조성을 위해 회원님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문의하시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블로그 마켓 가입 완료

내 상품 관리에서 배송비 설정 후
상품 판매를 시작해보세요!

블로그 마켓 탈퇴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의사항은 블로그 마켓 고객센터로 연락주세요.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