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avigation Menu

Sign in
Appearance settings

Search code, repositories, users, issues, pull requests...

Provide feedback

We read every piece of feedback, and take your input very seriously.

Saved searches

Use saved searches to filter your results more quickly

Sign up
Appearance settings

Commit 5ed83a9

Browse files
update SQLP 공부
1 parent b8d0ed0 commit 5ed83a9

File tree

4 files changed

+164
-1
lines changed

4 files changed

+164
-1
lines changed

‎DB/SQLD.md‎

Lines changed: 148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148 @@
1+
# SQLD 자격준비
2+
3+
이커머스 업무를 하면서 복잡하게 조인된 주문 SQL 쿼리를 이해해야 하고 영향도는 적게, 속도 빠르게 수정해서 사용하려고 하다보니 DB관련 지식에 흥미가 생겼고 시간이 생기면 취득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4+
5+
업무만으로 발전할 수 없다고 생각이 들었던 터라 자격증 취득방법을 인터넷에 검색해보았습니다.
6+
7+
8+
응시료: 5만원
9+
접수일정: 2월, 5월, 8월, 11월
10+
합격기준: 총점 60점 이상
11+
12+
## 1과목 모델링
13+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4+
- 데이터 모델과 성능
15+
16+
## 2과목 sql 기본 및 활용
17+
- SQL 기본
18+
- SQL 활용
19+
- SQL 최적화 기본 원리
20+
21+
대략 1주일 3 ~ 5시간 공부하면 합격할 수 있다고 판단됨.
22+
23+
## 추천 서적
24+
- SQL 전문가 가이드
25+
-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26+
- 네이버 카페: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27+
28+
29+
# SQL 전문가 가이드
30+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데이터베이스를 직접적으로 엑세스할 수 있는 언어입니다.
31+
32+
데이터를 정의하고 조작하며 조작한 결과를 적용,취소,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처리할 때 사용합니다.
33+
34+
## SQL 개발자의 정의
35+
-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조작 및 추출하는데 정확하고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 SQL을 작성하는 개발자를 말합니다.
36+
37+
## 필요성
38+
- 오늘날 기업의 정보화에 있어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데이터 저장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39+
- 직무 수행을 위해 최적의 SQL을 작성할 의무가 있습니다.
40+
41+
```
42+
키워드 모음
43+
엔티티, 속성, 관계, 식별자, 정규화, 데이터 모델
44+
옵티마이저, 인덱스, 튜닝, Lock, 트랜잭션 동시성 제어 기법, 조인
45+
정규화, 일관성, 일반화, 무결성
46+
```
47+
48+
49+
# 궁금한 부분 먼저 학습
50+
2. SQL 기본 및 활용 > 제3장 SQL 최적화 기본 원리(444)
51+
- 인덱스의 기본적인 목적은 검색 성능의 최적화입니다.
52+
53+
3. SQL 고급 활용 및 튜닝 > 제 3장 옵티마이저 원리(556)
54+
- 내부적으로 SQL 처리절차 = 실행계획을 생성합니다.
55+
- 옵티마이저는 SQL을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최적의 처리경로를 생성해 주는 DBMS 내부의 핵심엔진입니다.
56+
- 데이터 딕셔너리에 미지 수집해 놓은 오브젝트, 시스템 통계정보를 이용해 각 실행계획의 예상비용을 산정합니다.
57+
58+
59+
3. SQL 고급 활용 및 튜닝 > 제 4장 인덱스와 조인(596)
60+
- SQL 튜닝의 가장 핵심은 I/O 효율화에 있다.
61+
- 인덱스를 이용하면 원하는 키워드를 포함한 페이지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인덱스가 없다면? 책 전체를 한 장씩 훑어가며 찾는 수밖에 없다.
62+
- 다양한 인덱스 구조가 있다.
63+
- 인덱스 탐색 알고리즘에 따라 루트, 브랜치, 리프 블록까지 수평적 혹은 직적 탐색을 수행합니다. 루트에서 리프 블록까지의 거리를 인덱스 깊이(Height)라고 합니다. 각 노드는 범위를 판단하는 키와 주소정보(rowId)를 가지고 있습니다.
64+
- 인덱스를 스캔하는 범위를 얼마만큼 줄일 수 있는지, 테이블로 엑세스하는 회수를 얼마만큼 줄일 수 있는지가 인덱스 설계와 튜닝의 핵심입니다.
65+
66+
67+
## 제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68+
### 1. 데이터 모델의 이해
69+
모델링의 특징
70+
- 추상화 : 사물을 약속된 표기법에 맞게 표현
71+
- 단순화 :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
72+
- 명확화 : 정확하게 기술
73+
74+
모델링의 관점
75+
- 데이터 관점
76+
- 프로세스 관점
77+
-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상관관점
78+
79+
2. 데이터 모델링의 정의
80+
-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관점의 업무 분석 기법
81+
- 현실세계의 데이터에 대해 약속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과정
82+
-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 설계의 과정
83+
84+
데이터 모델이 제공하는 기능
85+
- 시스템을 현재 또는 원하는 모습으로 가시화하도록 와준다.
86+
- 시스템의 구조와 행동을 명세화 할 수 있게 한다.
87+
- 시스템을 구축하는 구조화된 틀을 제공한다.
88+
-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결정한 것을 문서화한다.
89+
- 특정 목표에 따라 구체화된 상세 수준의 표현방법을 제공한다.
90+
- 다양한 영역에 집중하기 위해 다른 영역의 세부 사항은 숨기는 다양한 관점을 제공한다.
91+
92+
3. 데이터 모델링의 중요성 및 유의점
93+
가. 파급효과
94+
나. 복잡한 정보 요구사항의 간결한 표현
95+
다. 데이터 품질
96+
97+
유의점 - 중복, 비유연성, 비일관성
98+
99+
4.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 진행
100+
개념적, 논리적, 물리적 데이터 모델
101+
EA(Enterprise Architecture) 전사적 구조 수립
102+
ERD(Entity Relation Diagram)
103+
분석단계(개념적,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104+
- 기초적인 업무조사를 포함한 시스템 설계의 전 과정
105+
- 정규화(중복제거 일관성 확보)
106+
설계단계(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107+
108+
109+
5. 프로젝트 생명주기에서 데이터 모델링
110+
111+
112+
### 2. 엔티티
113+
### 3. 속성
114+
### 4. 관계
115+
### 5. 식별자
116+
## 제2장 데이터 모델과 성능
117+
### 1.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개요
118+
### 2. 정규화와 성능
119+
### 3. 반정규화와 성능
120+
### 4. 대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
121+
### 5.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성능
122+
### 6.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성능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DB/자격증목록.md‎

Lines changed: 7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7 @@
1+
# 자격증 목록
2+
1. SQLD - SQL 개발자
3+
2. SQLP - SQL 전문가
4+
3. DAsP - DA 준전문가
5+
4. DAP - DA 전문가
6+
5. ADsP -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7+
6. ADP - 데이터 분석 전문가

‎GIT/마일스톤.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3,4 +13,5 @@
1313
로마의 황제 아우구스트스가 로마의 길에 1마일마다 돌을 세워 표시했다고 합니다.
1414
여행자들로 하여금 여기가 로마이고 거리 감각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였다고 합니다.
1515

16-
깃렙에서는 프로젝트를 위한 마일스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16+
깃렙에서는 프로젝트를 위한 마일스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17+

‎네트워크/QA.md‎

Lines changed: 7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32,6 +32,13 @@ DNS서버 IP에 app.bamcoding.com은 어디에 연결되어 있는가?
3232
ASG는 그 인스턴스를 제거하고 새 인스턴스를 실행시킨다.
3333
스케일인 스케일아웃...
3434

35+
## Virtual Private Cloud
36+
there is a subnet in VPC.
37+
38+
## 서브넷
39+
40+
## 일라스틱 빈스톡
41+
3542

3643

3744
사용자는 우리 프론트엔드 웹의 메인 화면을 보고 있다

0 commit comments

Comments
(0)

AltStyle によって変換されたページ (->オリジナ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