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 | 27 | <h5> 1.3.1 컴퓨터 시스템을 위한 주변 장치</h5>
|
28 | 28 | <h5> 1.3.2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주변 장치</h5>
|
29 | 29 | <h5> 1.3.3 라즈베리 파이와 SD 카드</h5>
|
30 | | -<h5> 1.3.4 라즈베리 파이와 주변 장치</h5> |
| 30 | +<h5> 1.3.4 라즈베리 파이와 주변 장치의 연결</h5> |
31 | 31 | <h4>1.4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준비 운동 : 사용 환경 설정</h4>
|
32 | 32 | <h5> 1.4.1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운영체제</h5>
|
33 | 33 | <h5> 1.4.2 라즈베리 파이의 디스크 이미지 설치</h5>
|
34 | 34 | <h5> 1.4.3 라즈베리 파이의 기본 계정과 부팅 시 환경설정</h5>
|
35 | 35 | <h5> 1.4.4 라즈베리 파이의 환경설정</h5>
|
36 | | -<h5> 1.4.5 네트워크의 사용</h5> |
| 36 | +<h5> 1.4.5 네트워크를 이용한 접속</h5> |
37 | 37 | <h4>1.5 요약</h4>
|
38 | 38 | <br>
|
39 | 39 | <h3>2장. 리눅스의 기초: 라즈베리 파이와 친해지기</h3>
|
|
45 | 45 | <h5> 2.2.1 셸과 프롬프트</h5>
|
46 | 46 | <h5> 2.2.2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h5>
|
47 | 47 | <h5> 2.2.3 사용자 계정과 그룹</h5>
|
48 | | -<h4>2.3 vi 에디터</h4> |
| 48 | +<h4>2.3 리눅스 텍스트 에디터</h4> |
49 | 49 | <h5> 2.3.1 텍스트 에디터</h5>
|
50 | 50 | <h5> 2.3.2 vi 에디터</h5>
|
51 | 51 | <h5> 2.3.3 nano 에디터</h5>
|
|
97 | 97 | <h4>4.3 파일 정보와 권한</h4>
|
98 | 98 | <h5> 4.3.1 파일 정보와 권한을 위한 리눅스 명령어</h5>
|
99 | 99 | <h5> 4.3.2 파일 정보</h5>
|
100 | | -<h5> 4.3.3 권한과 소유자</h5> |
| 100 | +<h5> 4.3.3 보안을 위한 권한과 소유자</h5> |
101 | 101 | <h4>4.4 디렉터리와 시간 처리</h4>
|
102 | 102 | <h5> 4.4.1 디렉터리</h5>
|
103 | 103 | <h5> 4.4.2 유닉스의 시간</h5>
|
|
115 | 115 | <h4>5.3 프로세스 간 통신</h4>
|
116 | 116 | <h5> 5.3.1 파이프</h5>
|
117 | 117 | <h5> 5.3.2 FIFO</h5>
|
118 | | -<h5> 5.3.3 유닉스 시스템 V의 IPC 함수</h5> |
| 118 | +<h5> 5.3.3 유닉스 시스템 V/XSI의 IPC 함수</h5> |
119 | 119 | <h5> 5.3.4 POSIX IPC 함수</h5>
|
120 | 120 | <h4>5.4 POSIX 스레드와 동기화</h4>
|
121 | 121 | <h5> 5.4.1 POSIX 스레드</h5>
|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