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6-pointers-and-array/README.md
+1-1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Display the source diff
Display the rich diff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295,7 +295,7 @@ int main()
295
295
이 예제에서 알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296
296
297
297
*`arr`이란 이름에 `[3]`을 붙였더니, `arr[0]`, `arr[1]`, `arr[2]`라는 변수처럼 보이는 것 세 개가 만들어졌습니다. 즉, 배열의 길이를 N으로 선언했을 때, `<배열의 이름>[0]` 부터 `<배열의 이름>[N - 1]`까지 N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98
-
*`[]`안에는 리터럴만 넣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식을 넣을 수 있습니다. 즉, `[]`는 참조 연산자 `*`처럼 결과가 좌측값이 되는 이항 연산자입니다.
298
+
*`[]`안에는 리터럴만 넣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식을 넣을 수 있습니다. 즉, `[]`는 괄호 왼쪽과 안쪽에 피연산자를 집어넣는 이항 연산자이면서, 참조 연산자 `*`처럼 결과가 좌측값이 됩니다.
299
299
300
300
> `[]`는 `첨자 연산자(subscript operator)`라고 불립니다. 첨자 연산자의 `[]` 안에 들어있는 값을 `첨자(index)`라고도 부릅니다.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