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8 | 48 |
|
49 | 49 | 위에서 배운 세 연산은 모두 C에서 연산자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위에서 사용한 연산자와 모양이 다릅니다. C에서 논리합은 `||`, 논리곱은 `&&`, 부정은 `!`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
50 | 50 |
|
51 | | -> `|`라는 기호는 `바(bar)`라는 이름이 있습니다. |
| 51 | +> `|`라는 기호는 `바(bar)`라는 이름이 있습니다. 키보드에서 `Shift + ₩`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
52 | 52 |
|
53 | 53 | ```c
|
54 | 54 | #include <stdio.h>
|
@@ -87,6 +87,8 @@ int main()
|
87 | 87 |
|
88 | 88 | > `printf`에서 `\n`을 사용하면 줄바꿈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이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문자열에 대해 다룰 때 하겠습니다.
|
89 | 89 |
|
| 90 | +> `\`라는 기호는 `백슬래시(backslash)`라고 불립니다. 사용하시는 폰트가 돋움같은 한국어 폰트이면 `\`는 `₩`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
| 91 | + |
90 | 92 | C를 포함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선 어떤 값을 논리값으로 사용하게 되면, `0`을 거짓으로, `0`을 제외한 모든 값을 참으로 취급합니다. 따라서 위의 예제에서 `1`을 `2`나 `(-5)`같은 다른 값으로 바꿔도 논리 연산자의 결과값은 같습니다.
|
91 | 93 |
|
92 | 94 | `&&` 연산자는 `||`보다 우선 순위가 높습니다(`&&`는 논리**곱** 연산자). 그래서 `1 || 2 && 5`는 `1 || (2 && 5)`로 번역됩니다. `!` 연산자는 형변환 연산자나 `sizeof` 연산자처럼 산술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그래서 `!1 + 5`는 `(!1) + 5`가 되어 결과값이 `5`가 됩니다.
|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