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란 공공기관이 만들어내는 모든 자료나 정보, 국민 모두의 소통과 협력을 이끌어내는 공적인 정보를 말합니다. 각 공공기관이 보유한 공공데이터 목록과 국민에게 개방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를 포털에 등록하면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양질의 공공데이터로 재탄생하게 됩니다.
포털(공공데이터포털)이란 각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하나로 통합 관리하는 창구 역할을 합니다. 국민에게 개방할 공공데이터가 모두 모여 있는 공간으로 누구나 공공데이터포털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창업을 고민하고 있다면 공공데이터 목록에서 개방 가능한 공공데이터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종류별, 내용별로 창업 비즈니스 모델에 활용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 검색이 가능합니다.
하나! 공공데이터 목록은 데이터 명칭, 키워드, 설명 등을 포함해 검색해보세요.
둘! 공공데이터 포털 ‘데이터목록' 메뉴에 들어 간 뒤 필요한 데이터 유형별, 기관별로 자유롭게 검색해보세요.
개방된 공공데이터 외에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공공데이터가 필요할 경우, 별도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법 27조) 필요한 공공데이터를 신청하면 해당기관에서 10일 이내에 공공데이터 제공 여부를 결정한 뒤 신청인에게 통보하게 됩니다.
* 공공데이터 신청이 반려되는 경우도 있어요. 이럴 때에는 명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신청인에게 반려된 이유를 통보합니다. 제공신청이 반려됐다면 분쟁조정 신청으로 한 번 더 공공데이터 요청이 가능합니다.
공공기관은 보유, 관리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제공해야 할 의무를 가지며, 국민은 누구나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거나 오픈API 활용신청을 통해 제약없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공데이터포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공공데이터를 이용하려면 해당 데이터 보유기관에 제공신청을 할 수 있는데, 보유기관이 이를 거부하였거나 이미 제공 중이던 공공데이터를 제공 중단했을 경우, 이용자는 공공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서 복잡한 행정소송을 해야 합니다.
공공데이터 분쟁조정 제도는 국민이 행정소송을 제기하기 이전에 양 당사자의 주장을 토대로 심의하여 요청된 공공데이터가 공공데이터법에서 규정하는 제공대상(공공기관이 보유ᆞ관리하고 있는 데이터 중 개인정보, 경영ᆞ영업상의 비밀 등 비공개 대상정보 또는 제3자의 저작권이 포함된 경우를 제외한 공공데이터)인 경우, 신청인이 공공데이터를 제공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공공기관으로부터 공공데이터의 제공거부 또는 제공중단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공공데이터포털(데이터요청>분쟁조정신청)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위원회 이메일이나 방문 등을 통해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안에 대해 신청인과 공공기관이 모두 수락함으로써 조정이 성립된 경우에는 '재판상 화해'의 효력이 발생됩니다.
*공공데이터분쟁조정위원회
위원회 소개 : 위원회>공공데이터분쟁조정위원회
문의 : 02-6191-2064, odmc@nia.or.kr
* 공공데이터분쟁조정 제도 및 절차 등에 관해 보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경우, 공공데이터분쟁조정위원회(위원회>공공데이터분쟁조정위원회) 메뉴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홈에서 검색
1. 검색유형을 데이터목록 또는 국가데이터맵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구체적으로 검색조건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3. 검색어를 입력 후 최종 검색하면 검색결과로 이동합니다. 4. 인기 검색어를 확인하고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5. 테마별로 중요한 데이터를 정리해 찾아볼 수 있습니다.홈에서 검색
1. 구체적으로 검색조건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2. 인기 검색어를 확인하고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3. 테마별로 중요한 데이터를 정리해 찾아볼 수 있습니다.검색결과 확인
1. 검색조건의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입니다. 2. 데이터목록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검색조건을 추가 또는 변경하여 새로운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원하는 데이터를 찾았다면 데이터목록명을 클릭해보세요. 데이터목록 상세화면으로 이동합니다. 4. 파일데이터와 오픈API에 대해 미리보기 팝업을 지원합니다.검색결과 확인
1. 검색조건의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입니다. 2. 데이터목록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검색조건을 추가 또는 수정하여 새로운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원하는 데이터를 찾았다면 데이터목록명을 클릭해보세요. 데이터목록 상세화면으로 이동합니다.데이터정보 확인
1. 데이터목록 상세화면에서 정보확인 및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2. 데이터의 제공형태에 따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 니다. 3. 현재 게시글을 SNS서비스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데이터목록 메뉴 선택
1. 상세 검색조건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찾고 싶다면 데이터목록 메뉴를 클릭하세요.데이터목록 메뉴 선택
1. 우측 상단의 햄버거 버튼을 눌러주세요. 2. 상세 검색조건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찾고 싶다면 데이터목록 메뉴를 클릭하세요.상세검색 이용
1. 찾고자 하는 검색어를 입력합니다. 연관검색어를 참고해도 좋습니다. 2. 상세검색을 통해 구체적인 조건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더 정확히 찾아보세요 3. 선택한 검색조건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4. 검색조건을 다 지정했으면 검색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5. 데이터목록명을 클릭하면 해당 데이터목록 상세화면으로 이동합니다. 6. 파일데이터와 오픈API에 대해 미리보기 팝업을 지원합니다.상세검색 이용
1. 찾고자 하는 검색어를 입력합니다. 연관검색어를 참고해도 좋습니다. 2. 상세검색을 통해 구체적인 조건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더 정확히 찾아보세요 3. 선택한 검색조건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4. 데이터목록명을 클릭하면 해당 데이터목록 상세화면으로 이동합니다데이터정보 확인 - 파일데이터 정보 확인
1. 파일데이터란 활용 가능한 공공데이터를 포털에 접속해 간편하게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이메일이나 웹페이지로 연결해 손쉽게 공공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2. 제공형태가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인 경우 다운로드 파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3. 제공형태가 기관자체에서 다운로드인 경우 다운로드 버튼 대신 바로가기 버튼 이 노출됩니다. 4. 제공형태가 전자기록매체 저장 제공인 경우 활용신청 버튼이 노출됩니다. 클릭시 활용신청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 현재 게시글을 SNS서비스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데이터정보 확인 - 파일데이터 정보 확인
1. 현재 게시글을 SNS서비스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2. 파일데이터란 활용 가능한 공공데이터를 포털에 접속해 간편하게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이메일이나 웹페이지로 연결해 손쉽게 공공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3. 다운로드 : 제공형태가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인 경우 다운로드 파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4. 바로가기 : 제공형태가 기관자체에서 다운로드인 경우 다운로드 버튼 대신 바로가기 버튼 이 노출됩니다. 5. 활용신청 : 제공형태가 전자기록매체 저장 제공인 경우 활용신청 버튼이 노출됩니다. PC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입니다.데이터정보 확인 - 오픈API 정보 확인
1. 오픈API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를 말합니다.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프로그래밍해 외부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프로그램입니다. 2. 현재 게시글을 SNS서비스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3. 클릭시 OpenAPI 개발계정 신청 페이지로 이동합니다..데이터정보 확인 - 오픈API 정보 확인
1. 현재 게시글을 SNS서비스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2. 데이터목록 상세화면에서 정보 확인 이 가능합니다 3. 데이터의 상세 기능을 확인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4. 연관 데이터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공공데이터 개방 표준 적용 내역
| 구분 | 주요 내용 |
|---|---|
| 분야별 표준 |
제 · 개정 시 정의된 항목과 속성정보 등을 점검하여 데이터목록에 반영
|
| 데이터파일 형식 |
특정 SW에 종속되지 않는 오픈 포맷형식(CSV, JSON, XML 등)으로 제공
|
| 데이터파일 명명규칙 |
제공기관명_데이터목록명_기준일자.파일형식 예시) 서울특별시 중구_주차장정보_20150501.CSV |
| 공공데이터포털 등록 |
데이터 소유권(ownership)을 가진 소관 기관이 직접 등록 오픈API로 개방한 데이터도 표준에 맞게 파일로 변환, 공공데이터포털에 등록 |
데이터정보 확인 - 표준데이터 정보 확인
1. 표준데이터는 양질의 공공 정보를 총망라한 공공데이터로 표준화된 방식으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2. 표준 데이터 표시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구성요소 : 그리드, OpenAPI, 차트 3. 현재 게시글을 SNS서비스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데이터정보 확인 - 표준데이터 정보 확인
1. 현재 게시글을 SNS서비스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2. 표준데이터는 양질의 공공 정보를 총망라한 공공데이터로 표준화된 방식으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3. 표준 데이터 표시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구성요소 : 그리드, OpenAPI, 차트국가데이터맵 메뉴 선택
1. 검색결과만으로는 뭔가 부족할 땐! 국가데이터맵을 이용해 데이터를 찾아보세요. 데이터간 연계성까지 눈으로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국가데이터맵 검색 화면1 (분류체계 트리맵)
1. 데이터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보세요. 선택한 분류체계 결과는 오른쪽 분류체계 트리맵에서 확인하세요 2. 클릭하면 하위 분류체계의 트리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국가데이터맵 검색 화면2 (키워드 트리맵)
1. 분류체계 트리맵의 상세정보를 키워드 트리맵 형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클릭하면 해당영역의 데이터간 관계도 맵 형태로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데이터맵 검색결과1 (관계도맵으로 보기)
1. 키워드 또는 트리맵에 의한 검색결과를 데이터간 관계도 맵 형태로 표시합니다. 2. 검색옵션을 통해 결과 내 재검색 할 수 있습니다. 3. 키워드 또는 트리맵에 의한 검색결과를 데이터간 관계도 맵 형태로 표시합니다. 데이터목록 모양 박스를 클릭하면, 데이터 요약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국가데이터맵 검색결과2 (확장맵으로 보기)
1. 관계도 맵 형태의 데이터목록을 트리 구조로 표시합니다. 2. 검색옵션을 통해 결과 내 재검색 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목록 모양 글자를 클릭해 보세요 데이터 요약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국가데이터맵 검색결과3 (목록정보로 보기)
1. 관계도맵 / 확장맵에 차트 형태로 표시된 검색결과를 목록 형태로 표시합니다. 2. 데이터목록명을 클릭하면 해당 데이터목록 상세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오픈API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를 말합니다.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프로그래밍해 외부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개방된 오픈API를 이용해 다양하고 재미있는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할 수 있는 운영 체제, 혹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입니다.
오픈API 생애주기 : ‘서울버스 데이터’ 예시
서울특별시 버스정보 DB
1. 오픈 API (버스정보 조회 서비스) - 실시간 버스 위치 정보, 정류소별 버스도착 정보 2. 개발자 3. 서울 서브 앱 4. 사용자오픈API 활용신청
1. 개발계정을 먼저 신청해주세요. (* 개발계정이란? 오픈API를 활용해 서비스를 개발할 때 필요한 계정으로 하루 평균 1,000건 규모의 트래픽을 제공합니다.)오픈API 활용신청
1. 운영계정을 신청해주세요. (* 운영계정이란? 개발된 서비스를 이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계정으로 하루 최대 10만 건의 트래픽을 제공합니다.)개발계정과 운영계정 신청이 모두 끝났다면, 오픈API 활용 신청에 대한 승인을 기다려주세요. 승인은 ‘자동승인’과 ‘심의승인’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별도 확인 없이 승인신청과 동시에 자동으로 승인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활용 신청 건에 대해 제공기관 담당자의 별도 확인 없이 신속하게 승인 처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심의승인이란?신청 후 2~3일 후 결과 통보활용 신청 건에 대해 제공기관 담당자의 ‘승인’이 완료되어야 오픈API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 후 보통 2~3일 정도 소요가 되며 승인 여부는 회원가입 시 등록한 이메일로 통보합니다.
승인이 완료됐다면 활용신청 건에 대해 1인당 하나의 인증키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에 데이터 제공 주소(URL)와 오픈API 인증키를 입력한 뒤 API를 호출하면 원하는 데이터를 손쉽게 받아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API 인증키 발급오픈 API 인증키와 URL을 기반으로 API호출 가능
제공기관 : 축산물품질평가원 오픈 API명 : 쇠고기이력정보서비스 상세기능명 : 소 이동정보시각화 소개
1. 공공데이터를 제공받고, 직접 제작하고 싶다면 공공데이터 시각화 메뉴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시각화 소개
1. 공공데이터를 제공받고, 직접 제작하고 싶다면 공공데이터 시각화 메뉴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시각화 데이터 이용
1. 현재 만들어진 공공데이터의 시각화 차트를 다양하게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공유 뿐 아니라 이미지 다운로드, 소스코드, 상세데이터도 함께 제공됩니다.시각화 데이터 이용
1. 공공데이터를 제공받고, 직접 제작하고 싶다면 공공데이터 시각화 메뉴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시각화 만들기
1. 공공데이터의 활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시각화 유형 중 선택해 직접 만들 수 있습니다. 시각화 작업시 데이터 편집과 수정을 할 수 있습니다.위치정보 시각화 소개
1. 행정구역별 위치정보를 시각화한 자료를 보고 싶다면 위치정보시각화 메뉴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위치정보 시각화 소개
1. 행정구역별 위치정보를 시각화한 자료를 보고 싶다면 위치정보시각화 메뉴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시각화 데이터 이용
1. 사용자 위치정보를 사용한다면, 접속한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한 화면이 표시됩니다.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목록으로 제공되며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위치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행정구역을 직접 선택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시각화 데이터 이용
1. 사용자 위치정보를 사용한다면, 접속한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한 화면이 표시됩니다.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목록으로 제공되며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위치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행정구역을 직접 선택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국민참여지도 소개
1. 여러분이 공유하고 소통하고 싶은 이슈를 제공받고 제작하고 싶다면 국민참여지도 메뉴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국민참여지도 소개
1. 여러분이 공유하고 소통하고 싶은 이슈를 제공받고 제작하고 싶다면 국민참여지도 메뉴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국민참여지도 이용
1. 사용자가 이슈에 대해 직접 참여하여 지도에 표현한 공간입니다. 주제별로 공유된 다양한 안건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국민참여지도 이용
1. 사용자가 이슈에 대해 직접 참여하여 지도에 표현한 공간입니다. 주제별로 공유된 다양한 안건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지도 만들기
1. 주제에 맞춰 공유하고 싶은 토픽을 지도로 만들어 공개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가 직접 위치정보(주소, 위도∙경도 좌표정보 등)를 포함한 데이터로 지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미 공개한 지도에 대해서도 편집과 수정을 할 수 있습니다.분석서비스 소개
1.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 자료로 만들고 싶다면 공공데이터 분석서비스 메뉴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분석서비스 소개
1.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 자료로 만들고 싶다면 공공데이터 분석서비스 메뉴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분석서비스 이용
1. 카테고리별로 공공데이터 분석자료를 다양한 분석방법과 시각화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분석데이터의 공유 뿐 아니라 이미지 다운로드, 상세 데이터도 함께 제공됩니다.분석서비스 이용
1. 카테고리별로 공공데이터 분석자료를 다양한 분석방법과 시각화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분석데이터의 공유 뿐 아니라 이미지 다운로드, 상세 데이터도 함께 제공됩니다.분석서비스 등록
1. 공공데이터의 분류와 활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석방법과 시각화 형태를 선택해 직접 분석내용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